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전문학사 서술과 문학사 교육의 거리

        이민희 ( Lee Min Heui )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3

        100여 년 문학사 서술의 역사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방대하며 거시적 이론과 미시적 작품 분석을 고루 갖춘 문학사로 평가받는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이후로는, 역설적이게도, 사적 체계를 갖춘 문학사 서술이 쇠퇴하고 있다. 민족문학론에 편승한 문학사 서술의 시대는 저물고, 교육을 위한 도구로서의 문학사 교육이 주목받는 시대에 양자 간 거리를 진단하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설계하는 일이 긴요한 과제다. 이에 국내 고전문학사서술과 문학사 교육 양 측면에서 영향력이 큰 『한국문학통사』와 2015 개정교육과정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단원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양자의 거리를 살폈다. 현행 『문학』 교과서에 교술 포함 4분법에 의거한 문학 갈래 흐름 설명, ‘이면적 표면적 주제’, ‘영웅의 일생 구조’ 등을 활용한 교육 내용 설계 자체는 『한국문학통사』의 영향력을 반영한다. 그러나 『한국문학통사』에서 보이는 주관적 서술은 문학사 교육 교재로서 담보해야 할 객관성, 보편성과는 거리가 있다.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교육은 갈래적 특성 파악 위주학습활동으로 치우쳐 있고, 2천 년 문학사를 너무 소략히 다루고 있어 비현실적이며 비교육적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시대구분에 따른 사적(史的) 이해 교육이 부재하고, 불명확한 용어나 개념어 사용으로 인한 혼란도 문학사 교육에서 바로잡아야 할 과제다. 문학사의 효용가치와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오늘날, 이미지와 표현,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극 활용한 문학사 서술과 문학사 교육의 접점 찾기가 필요하다. 문자 위주의 민족주의 문학사 서술과 교육에서 탈피해 다원체계를 지닌 문학사 서술과 교육이 요청된다. 다원체계는 작품과 실재의 파악뿐 아니라 독자의 수용에서도 적극 요구된다. In the history of literary history of 100-year, about 90 national literary history have appeared. Since Cho Dong-il's Korean Literature History(韓國文學通史)(1982~1988),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systematic, massive, and macro-theory and micro-art work analysis, has appeared, paradoxically, there is no more works of literary history. In the 1950s, Kang Bum-woo's Korean Literary History for Education(1956) appeared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 Recently, the proportion of literary history fo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elatively. The era of description for literary history riding on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goes on, and instead of it, the era of literary history as a tool for education come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distance between both and to design a new one.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descriptions of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4th edition)(2005) and literary history units in the “Literary” textbooks(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are highly influential in both aspects of Korean Classical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and literary history education, it is required to find a clue. In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explaining the flow of literary genre change based on the four-genre method and dealing with the 'teaching(敎述)' genre itself is the influenc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he gap between the subjective argument shown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the provision of objective knowledge to be secured as a teaching material for literary history is a task to overcome.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grasping characteristics of genres, and dealing with the literary history of 2000 years too briefly is unrealistic and non-educational.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only staying on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and memorization. In addition to the absence of historical understand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periods, the use of ambiguous terms and conceptual words is causing confusion.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national literature, which focuses on characters, ignoring learners' digital literacy has its limit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of description and educ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a multidisciplinary system(complex) for future-oriented literary history and education. Today, as the utility value and paradigm of literary history are changing, This paper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y actively utilizing images and digital literacy. In literary history, the realiza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system is required not only in grasping works and reality, but also in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인공지능(AI) 시대의 인간 정체성 탐구 및 고전서사의 역할 - <이생규장전>과 <옹고집전>을 중심으로-

        이민희(Min-heui Lee)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6

        본 논문은 인공지능(기계)과 인간의 관계성 탐구를 본질로 하는 포스트휴머니즘 연구에서 국내 고전서사 작품이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지를 탐구한 성과에 해당한다. 아감벤(Agamben)의 ‘몸(신체)의 사용’이란 개념을 토대로 머지않아 도래할 인공지능 시대에 안드로이드, 아바타(Avatar) 등으로 대표되는 비인간적 존재와 인간 사이의 관계 맺기의 양상과 그 의미를 고전서사 중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애정전기소설)과 <옹고집전>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몸(신체)의 사용’을 ‘노예의 신체 사용’으로 보았다. 이렇듯 신체를 가진 비인간적 존재들은 역사적으로 ‘쓰고 버려지는’ 도구성을 지닌 ‘노예와 다르지 않다. 근대 산업 현장에서의 ‘노동자’, 현대 과학에서의 기계, 그리고 인공지능 시대의 인조인간 로봇이나 아바타 등은 인간의 신체와 친밀함을 지닌 도구나 기술이다. 기계나 인간의 형상을 한 비인간적 존재들은 인간의 보조재로서 조력성(도구성)이 강하지만, 그렇기에 ‘잠재성’ 또한 강하다. 비인간적 존재의 ‘잠재성’은 결국 기계(비인간적 존재)가 얼마나 인간과 가까워질 수 있고, 이때 둘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인간성’ 문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생규장전>에서 가짜 몸인 환체(幻體)를 사용해 죽은 최랑(崔娘)이 인간 이생(李生)과 관계를 유지한다는 서사 설정에서 가상현실(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와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원천을 발견할 수 있다. 명혼(冥婚) 전기(傳奇)소설 작품은 비인간적 존재가 감정을 느낀다는 가정의 현실성과 별개로 그것이 가능하다는 잠재성을 미학화하여 가정하고, 그 잠재적 상황이 현실화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사유실험 속에 놓은 결과물과 같다. 또한 <옹고집전>처럼 진짜와 가짜를 판별하는 서사는 진짜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속에서 존재론과 인간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단서로 긴요하다. 인간이 ‘사용’의 대상이 될 때, 인간성은 ‘내가 다른 사람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의 다른 이름이나 마찬가지다. 신체의 ‘사용’이 지닌 ‘잠재성’을 염두에 두고, 인간과 비인간, 정신과 신체 등 이원적 구분이 양산하는 고정적 위계를 해체하고, 지금까지 소홀히 취급되었던 타자들뿐만 아니라, 머지않은 시기에 나타날 다양한 혼종적 존재들과의 공존 방법을 모색하는 시각을 고전서사 작품에서 마련할 수 있다. 몸의 사용이란 관점에서 고전서사를 새롭게 읽어낼 때 미래 사회의 인간 존재를 궁구하는 또 다른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role that Korean classic narrative works can play in the study of post-humanism, which has the essence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and humans. Through Agamben’s concept of ‘use of the bodies’, I explore the aspect and meaning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represented by artificial human robots and avatars in the coming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I tried to help understanding by taking YiSaengGyuJang-Jeon(李生窺墻傳) and OngGoJip-Jeon as examples.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saw the ‘use of the bodies’ as ‘the use of the body of a slave’. In this way, non-human beings with bodies are historically no different from ‘slaves’ with instrumentalities that are ‘used and thrown away’. ‘Workers’ in modern industrial settings, machines in modern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or avata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tools or technologies that have intimacy with the human body. Non-human beings in the form of machines or human beings have strong assisting properties (tools) as human assistants, but therefore their ‘potential’ is also strong. The ‘potentiality’ of non-human beings is important in that it ultimately leads to the ‘humanity’ issue of how close a machine (non-human beings) can be to a human and how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narrative setting in which the deceased Choi-Rang(崔娘) uses a fake body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the human YiSaeng(李生) in YiSaengGyuJang-Jeon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s and humans in the virtual reality(=Meta-verse) space. Useful for these classic narrative work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the result of aestheticizing and assuming the potential that it is possible apart from the reality of the assumption that non-human beings feel emotions, and putting situations that will occur when that potential situation becomes a reality in a thought experiment. In addition, the narrative that distinguishes the real from the fake like OngGoJip-Jeon is a valuable clue to understanding ontology and human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humans and non-humans. When a human being becomes the object of ‘use’, it’s like acknowledging that humanity is another name for ‘the possibility that I can eventually be someone else’.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various hierarchies produced by the dual divisions of humans and non-humans, mind and body, etc., keeping in mind the other value of ‘use’ of bodies, namely ‘potentiality’.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coexist not only with others who have been neglected until now, but also with various hybrid beings that will appear in the near future. When we read the classic narrative anew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e’ of bodies, we can be provided with another perspective to explore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한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토로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현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고소설 수업 시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이 라 여기는 활동들을 제안 받아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 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고소설 수업 시 문학의 수용과 생산, 그리 고 적용이란 측면을 고려해 고소설 어휘 교육과 인물 교육, 그리고 사건 교육 관련 여러 수업활동들을 설계해 보았다. 문학의 수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되는 어휘 이해와 내용 이해 중심 활동이 중요하다. 한자어 교육 및 벼슬명 교육, 그리고 인물관계도 와 사건기차를 통한 내용 파악 활동, 인물평을 담은 신문기사 작성 활동, 고소 설 속 인물이 되어 SNS에 글 써 보기 같은 활동, 고소설 작품을 소재로 한 웹 툰 작품과의 비교 활동 등이 작품의 내용 이해를 돕는 활동으로 유용하다. 특히 복잡한 서사구조와 갈등을 지닌 작품의 경우, ‘사건 기차’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학의 생산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 후 학습 자의 표현 및 창작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요구된다. 본문을 시나리오 대본 또 는 만화로 바꿔보는 창작 활동에서도 새로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지막으로 문학의 적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토대로 현 실생활 속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들, 이를테면. 선인과 악인에 대한 상장 수여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의 현상수배지 만들기, 작품 주제를 소재로 한 문학재판 활동, 또는 인물에 관한 문학 토론 활동 등을 활용해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은 단순히 수업 초기에 흥미 유발을 목적으로 한 준비활동이 아닌, 본격적인 수업 속에서의 활동을 의미한 다. 수업 전반에 걸쳐 재미를 느끼며 행할 수 있는 활동들, 곧 본문 작품 이해를 달성하고 폭넓은 체험 활동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실천적 활동들이 고소 설 수업 시간에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 제안한 수업활동 중 일부는 교 과서 본문 내용이해를 위한 학습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설계와 실천적 활동은 재미가 교육 수단뿐만이 아닌 교육적 목 표가 될 때 더욱 그 의미가 커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practice specific and fun activities for the classic novel work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current 73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vocabulary, main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lesson of classic novel.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feel fun about classic novel work, and to do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Students think that the strange Chinese vocabulary and a frequent title(position name) changes used on the classic novel text in textbook make themselves not to understand the work easily. The translated text using easy vocabulary in textbooks will need for students to feel interested. Therefore, here this paper suggest the fun activities that teach the classic novel work in class. These are so good activ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 study that to create a character relationships map, to write on SNS in a view of figures in classic novel work, to make a certificate of merit for giving to the good and the wicked, to make a leaflet seek for character wanted in connection with a crime in classic novel work, and to write newspaper articles to introduce a good or bad person in classic novel work and etc. And when you want to analyze the classic novels with a complex narrative structure and conflic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event in classic novel work like following ;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ic novels can use the ``train incident`` activity. And an activity of changing original text in classic novel work into the scenario script or cartoon is also effective. A classic novels trial or literary discuss with content of classic novel work may also attempt to use activities. Providing interesting lessons design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lesson for classic novel is difficult and tedious. The classic novel class a fun-borne navigation is possible in the hope that it can also be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 KCI등재

        1920-1930년대 고소설 향유 양상과 비평 연구

        이민희(Min-Heui L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8 No.-

        본 연구는 1920-1930년대의 고소설 비평 및 인식의 문제를 짚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920-1930년대에 특별히 주목한 이유는 독서물로서의 고소설 향유 양상과 고소설 인식의 문제가 비교적 선명히 포착되는 마지막 시기이면서 근대적 독자와 지식인의 눈에 비친 고소설 인식의 문제와 위상을 들여다 본 기존 연구가 부족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고소설 비평 및 인식의 내용이 그 시기 고소설 향유 양상과 향유 주체와 맞물려 있는 관계로 고소설의 향유 양상과 비평 문제를 함께 다루고자 했다. 1920-1930년대에도 고소설 작품들이 여전히 필사와 세책, 출판물(방각본과 구활자본), 그리고 낭독(음독) 등의 형태로 유통ㆍ향유되었다. 이 시기에 나타난 고소설 긍정론은 새로운 이론적 논거랄 것이 없는 관념적 평가에 그쳤다. 부정론 역시 큰 틀에서는 이전 시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고소설 비평을 가한 이들이 신학문을 접한 근대소설가나 문학평론가, 국문학자 등의 지식인이었기에, 서양의 문학 이론과 사상적 영향 하에서 고소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개진했다. 특별히 그들은 심미론적 관점에서, 기존에 고소설에 관해 언급되던 도덕적ㆍ교훈적 효용론을 무마시키고 고전문학 자체, 소설 장르 자체의 차별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고소설이 지닌 서사상의 특징과 향유 방식을 거론하며 부정적 담론을 공고화하고 일반화했다. 그러나 이태준을 비롯해 고소설을 부정적으로 비평한 지식인들이 고소설의 단점이라며 내세운 제반 특징들은 실은 고소설 작품 전체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닌, 당시에 성행했던 구활자본 소설에 국한한 평가의 결과였다. 제한된 소설(특히 국문 영웅소설과 신소설) 작품을 볼모로 고소설의 일반적 특징이라며 운운한 비평의 결과는 그 이후로 오늘날까지 고소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생산해 내는 단초가 되었음을 지적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고소설 전반의 특성을 제대로 평가함으로써, 교육 현장과 일반인 사이에 잘못 인식되기 쉬운 이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search for the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n old novel in the 1920's-1930's. In these periods, new readers who learned new knowledge and modern sciences appeared in a mass and old novel was criticised in a various perspective by them. Though modern novel was written in a mass, and new reader read it widely, there were still so much readers who wanted to read and hear old novel. A circulation and enjoyment of old novels in the 1920's~1930's were as follows: Copying oneself and lending old novels from lending bookstore, recitation of old novel, publishing of old-type printed novel (舊活字本) and of wood-print old novel for commercial profit(坊刻本), and etc. It was almost same in a way of enjoying old novel, when it was compared with previous period. But one thing was different. That is, old-type printed novel became readable novel, since old-type printed novel had published at the first time in 1912. In those period, there were both viewpoints for the old novel. One was related to the affirmation that old novel give a moral, educational lesson and fun to the readers. But the other was negative view, which is connected with a special quality of old novel, eg., reading aloud instead of silent reading, or fixed and typical character, happy ending, a chance meeting, a exaggerated expression, nonrealistic description, a typical life story of hero and etc. But these negative comments of critics about old novel is just applicable to the old-type printed novel, not to all old novels. It means that negative understanding for a special quality of old novel was caused by the partial and limited criticism of modern-educated critics. We need to undeceive contemporaries of their misconception for old novel's original trait.

      • KCI등재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및 방향

        이민희(Lee, Min-heui)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4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trends of Korean studies in Europe in order to check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Korean studies in the rapidly changing academic societ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history,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Central and East European Society of Koreanology (CEESOK), which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researches on European studies for over the last 100 years in Europe. CEESOK has succeeded in developing Korean studi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independently since the communist era, while maintaining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traditions and academic color of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region. Since its formation in 2003, it has hosted academic conferences every year. Now it publishes its own academic journals online in Korea, providing communication and academic exchange with Korean researchers in Korea. Al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it has a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study in a bigger category of understanding oriental culture. It also has harvested various research results related to Korean studies. When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recent research papers presented at CEESOK conferences, we confirm that it has been moving on from the humanities-centered researche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nd presenting a new direction to Korean Studies by crossing boundaries of the academic fields. It devotes itself to the study of Korean Studies, focusing on North Korea, politics, economy, society, art, culture, religion, history, and life. In the case of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classical, modern literature), Korean and Chinese researcher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ave a high level of native language translation. It is also encouraging that the attitude of ‘literature-first, language-second’ is being promoted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of ‘language-fist, literature-second’, which is in relation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Studies. It is now time for Korean researchers to look into the results of the textual analyses and works done in the tradition of long-standing text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cluding Russia. It is also requested to apply the perspectiv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of foreign scholars with excellent foreign language skills and broad perspectives to domestic studies. It is possible to pursue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times, when vigorous reflux work is carried out by systematically providing communication, academic exchanges, and team collaboration systems between Korean researchers and Korean researchers abroa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8~19세기 미국의 세책(貰冊) 문화 연구 - 한국 세책 문화와의 비교 및 검토 가능성에 관한 고찰-

        이민희 ( Lee Min-heui ) 연민학회 2016 연민학지 Vol.26 No.-

        본 연구는 18~19세기 미국 내 세책(貰冊) 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하고, 이에서 세책업의 흥성 요인과 그 의미를 궁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 세책문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 것으로, 세책문화의 형성, 발달, 쇠퇴에 이르는 세책문화사 자료가 풍부히 남아 있는 미국의 사례를 토대로 18~19세기 국내 세책문화 이해를 위한 보충 자료로 삼는 한편, 그 시사점을 생각해 보고자 했다. 미국에서는 18세기 중반(1762) 동부 아나폴리스(Annapolis)에서 월리암 린드(William Lind)가 처음 세책점을 연 이후로 독립전쟁을 거쳐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성장했다. 19세기 전반기에 최고 절정을 이루었고, 19세기 중반 이후 신문 등 대체 독서매체의 등장과 독자 취향의 변화로 점차 쇠퇴의 길을 걷었다. 약 150여 년간 꽃피운 미국 내 세책 문화는 영국 세책 문화의 영향도 적지 않게 받았지만, 이주 정착민들이 독자적으로 만든 문화도 적지 않았다. 미국에서 세책 문화가 흥기하고 반대로 쇠락해 간 이유를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경제에 대한 낙관주의적 사고다. 상업성(소비성)과 오락성(여가활용)이 세책 문화 발달을 견인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이라는 점이다. 지식과 책이 상품으로 인식되고 돈을 매개로 한 소비 및 매매의 대상이 되면서 세책 독서가 소비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세책을 목적으로 한 신문 광고 및 카탈로그 제작 등 홍보에 관심을 쏟은 것이 그 한 예이다. 둘째, 독서 수요와 공급이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 인구를 갖춘 대도시에서 세책업이 발달할 수 있었다. 셋째, 대도시 내 세책점의 위치 또한 세책업 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넷째, 세책점은 회원제로 대여 영업을 했지만, 일부 세책점에서는 전당금을 요구했다. 그러나 비정기 회원 독자들도 주당 6펜스만 내면 마음대로 빌려다 볼 수 있었다. 저렴한 대여비야말로 세책 독서가 생활화되고 서적 매매보다 선호하게 된 중요한 이유였다. 다섯째, 세책문화 발달의 주역은 여성 독자였다. 남성 독자도 존재했지만 여성 독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 흥미롭다. 여섯째, 최고 인기 있었던 세책용 도서는 소설책과 문학책이었다. 일곱째, 문자해득률의 상승이 세책 독서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여덟째, 도서 대여뿐만 아니라 커피를 판매하거나 음악 감상실을 운영한다거나 배를 이용한 이동식 영업 등 겸업이 발달했다. 아홉째, 19세기 중반 이후 다양한 정보와 오락적 읽을거리를 신문에서 얻게 되고, 무료 열람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등장함에 따라 세책업이 점차 쇠락해갔다. 독서사에서 이런 미국 내 세책 문화의 형성 및 발달이 지닌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책을 읽을 만한 중간층 독자의 성장과 소설 시대의 도래를 견인했다. 둘째, 개인적인 수양 활동, 또는 자족적 성격에 머물던 독서에서 타인(또는 사회)과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전제한 독서로 변화시켰다. 셋째, 독서 가치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작품성(문학성)만이 아닌, 통속성(오락성)과 정보성(교양과 계몽)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독서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넷째, 음악, 커피 등과 결합된 독서 활동과 그 영업을 추구함으로써 타 영역과의 융합적 독서문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미국 세책문화 연구는 유럽 세책문화 이해를 위한 좋은 참고자료일 뿐 아니라, 전 세계 세책문화 이해의 근간이 된다. 특히 세책 관련 자료가 부족한 국내 세책문화를 이해하고자 할 때 미국 세책문화 관련 자료는 비판적 이해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arious aspects of the culture of lending-book that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8th~19th centuries. It is the first time I introduce the American culture of lending-book in Korea. It i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hoseon`s culture of lending-book in the 18th~19th century based o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 wealth of cultural history of lending-book. In the United States, the first circulating library began in the mid 18th century, in 1762 by William Lind in Annapolis. After that, business of circulating library was rapidly growing around the big cities after the war of independence and reached its peak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re has been a gradual decline due to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reading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changes in readers` preferences. For over 150 years, the culture of lending-book blossomed. In the process, the influences of the British culture of lending-book were not negligible. However, the culture of the lending-book created by the immigrant settlers showed both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The following are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US culture of lending-book. First, the optimistic consciousness of the economy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lending-book.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hat knowledge and books are perceived as commodities, consumed by money, and bought and sold. Commerciality(consumption) and amusement(recreational use) have led to the culture of lending-book. In the United States, it is confirmed that the company promoted aggressive promotional strategies such as newspaper advertisement and catalog production.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business, it was necessary to have a large-scale economic population capable of reading demand and supply. Third, the location of circulating librar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an important factor for sales. Fourth, generally circulating libraries were leased to regular reading members. But even irregular member of readers can freely borrow six pence per week. This low cost made it possible to read books borrowed. Fifth, the leading role of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culture was female readers. Therefore, circulating library has developed various service strategies for female readers. Sixth, the most popular books at circulating library were novels and literary books. Seventh, the increase of the letter reading rat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ending-book culture. Eighth, the operation of a multi-purpose business such as cooperating of a coffee shop and circulating library, or common using of a music listening room and circulating library,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ending-book culture. In Korea, the novel reading of professional reader(called by `Jeongisu`) was like a kind of `oral story rental` that `rented reading` by lending the act of reciting.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newspapers have gained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readings, and as the public library has become available for free reading, book rental business has gradually declined. In a history of reading book, such culture of lending-book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it led to the growth of middle class readers who could read books and the advent of the novel era. Second, it means that the book has been changed from readings that have remained in self-cultivation activities or self-sufficient personality to reading that presupposes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or society) and communication. Third, it led to a change in reading value. That is, culture of circulating library was aiming for a reading that satisfies entertainingness and information(culture and enlightenment) as well as literacy value at the same time. Fourth,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fusion reading culture with other areas by pursuing reading activities combined with music and coffee etc. In this way, the study of American lending-book`s culture can become a channel for the understanding of European lending-book`s culture, and it can be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lending-book`s culture. In particular, when you want to understand the domestic currencies that lacks the relevant data about lending-book and circulating library, the wealth of those materials in America can be a good supplement.

      • KCI등재

        근대인의 눈에 비친 강화도의 제 모습

        이민희(Lee Min-heu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0 인천학연구 Vol.33 No.-

        근대 이후 강화도의 모습은 어떠하며, 강화도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개항 이후부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시기까지 강화도에 관한 기록물을 망라해 수집해 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역사적 기록물, 문학 작품, 내국인 기행문, 강화인 회고록, 신문과 잡지 기사, 외국인의 여행기 등 근대 강화도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삼았다. 1876년 개항 후 1910년까지의 기록물에 나타난 강화도의 모습은 다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강화도는 최초의 기독교(개신교) 전파와 신앙 공동체의 형성, 그리고 새로운 문물 수용의 최첨단 지역이었다. 둘째, 강화도는 보창학교, 계명의숙, 합일학교 등 강화도 내 지식인들이 사립학교를 설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대 신식교육과 계몽운동이 활발했던 신교육의 요람이었다. 셋째, 강화도는 1900년대 후반 강화도 의병 활동 등 정치적, 사회적 소요와 항일 저항이 일어난 공간이었다. 이러한 장소성을 종합할 때, 이 시기 강화도를 ‘새로운 문물 수용 및 계몽 교육의 선구지’라 평할 만하다. 일제강점기에 강화도는 1919년에 3.1.만세 운동이 가열하게 일어나 항일운동이 적극적으로 일어난 것을 제외하면 1920년대 이후로 ‘여행 명소 및 풍요의 고장’으로 각인되었다. 일제의 여행 장려, 탐승지 개발 계획에 의해 강화도가 수도 인근 여행 명소로 부각된 것도 특징이다. 이때 지식인들은 강화도를 역사적 요람지로 인식하고, 망국의 현실과 과거 역사를 오버랩하면서 자기 성찰과 불투명한 미래를 전망하는 기억의 장소로 호명해냈다. 또한 강화도는 감과 쌀 등 농산물과 어산물이 풍족하고 면포, 화문석 등 제조업이 발달한 곳으로 알려졌다. 강화도는 배륙(排陸) 사상이 강하고 자족 자립이 가능한 풍요로운 곳이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강화도는 사회 재건에 대한 희망이 다른 지역보다도 강했다. 강화문화관을 건립하고 민생과 복지, 경제 발전을 위한 실천적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어수선한 정치 상황과 한국 전쟁을 겪은 후, 강화도를 군사적 긴장감이 감도는 위험 지역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요컨대, 근대인의 눈에 비친 강화도는 산물이 많고 풍요로운 땅이자 근대 교육의 산실이며 애국의 고장이면서 긴장과 화합이 공존하는 점이지대로 자리해왔다 할 것이다. It is relatively unknown what Ganghwa Island(= Gangwhado, 江華島) looked like for more than 150 years since modern tim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looked through the materials related to modern Ganghwado, including historical records, literary works, travel documents of Koreans, memoirs of Ganghwa people, article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ravel journals of foreigners from the openning of the port to the pre-1950 period.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to the beginning of 1910, Ganghwado was a state-of-the-art area of the first Christian propagation, the formation of a religious community, and the acceptance of new civilizations. Second, Ganghwado was a cradle of modern new educ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by intellectuals. Third, Ganghwado was a place where political and social unrest and anti-Japanese resistance occurred, including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of Ganghwado in the late 1900s. In Japanese colonial era, Ganghwado has emerged as a tourist attraction near the capital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plan to encourage travel and develop tourist destinations. At this time, Korean intellectuals recognized Ganghwado as a historical cradle and named it as a place of memory that overlaps the reality and past history of the country, and predicts self-reflection and an opaque future. Ganghwado is also known to be place of affluent and rich place where the idea of not relying on land was strong and self-sufficient. With liberation, Ganghwado had stronger hopes for social reconstruction than other regions. However, after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the Korean War, the perception that Ganghwado is a dangerous area of military tension has grown. Such eyes are still in progress. Through modern record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Ganghwado, which is reflected in the eyes of internal and external visitors, is recognized as a rich land, a cradle of modern education, a place of patriotism, and a place where tension and harmony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