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규제연구 동향 분석(1990-2012)

        이민창(Lee, Min Chang),최성락(Choi, Seongrak)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2

        한국의 규제연구는 1990년대 이후부터 본격화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약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많은 이론적 발전이 있어왔고, 또 규제정책의 내용 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규제정책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 논문들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기간 규제연구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규제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대한 규제연구를 정리해 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행정학보, 한국정책학회보, 행정논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한국행정연구 등 주요 5개 학술지에 1990년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규제 관련 연구 결과물을 대상으로 하여, 지난 20년간 규제연구의 경향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 관련 연구는 5개 학술지에서 어느 한 부분에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일정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규제연구는 이제 행정학 및 정책학 분야에서 중요한 세부 연구 분야로서 입지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었다. 학술지 별로는 한국행정연구와 행정논총에서 규제 일반 이론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단독 연구의 비중이 높다는 특성이 있었다. 규제 유형별로 보면 사회적 규제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제적 규제는 시기별 편차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규제평가, 규제개혁과 관련된 논문의 비중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살펴 볼 때 규제의 세부 이론 영역에 대한 연구는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었다. The volume of Korean research on regulatory policies has increased since 1990. In this period up until the presen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nature of regul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ndencies and key features in regulation research, and to discuss future directions for regulation studies. A search for articles about regulation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2 was conducted in the five main academic journals in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Korea: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regulation research has become an important branch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The majority of articles are written by single authors, rather than being the result of collaboration between several researchers. While research on social regulation has been conducted steadily, the number of studies on economic regulation has varied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theoretical approaches to regulation.

      • KCI등재

        자율규제의 성공요인과 한계

        이민창(Lee Min-Chang) 서울행정학회 200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e the premises and limits of self-regulation. As its purpose is above, the analysis includes how market structure is composed, what is the actor's behavioral incentives, and on what reason are the actors comply those regulation. The result shows us that newspapers in korea never had traded in the normal market which price and competition mechanisms are working. In conclusion, it is not only difficult to apply the self-regulation mechanism on the business area without any market mechanisms are working, but also very inadvertant trial if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s regarded as means of making an order to set a well functioning self-regulation system.

      • KCI등재

        밀렵방지정책의 이슈와 대안

        이민창(Lee Min-chang) 서울행정학회 200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 of ineffectiveness in wildlife protectio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property rights and transaction cost theory and to suggest a new ideal model for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as an alternative. Wildlife animals are reproducible common property. In this paper. wildlife protection policy is re-interpreted as an institutional design issue of common pool resource. Transaction costs of each policy related actors(hunters or special killers, residents, brokers, sellers, government etc.) and their incentives are analyzed. Theoretical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is including comprehensive actors to ensure the successful policy enforcement.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co-production in public service delivery is also probed in this paper.

      • KCI등재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이민창(Lee Min-Chang) 서울행정학회 200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deduce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studies through positive analysis of Greenbelt and Yongwol Dam cases using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which could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property rights, transaction cost and institutional lear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us that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property rights and transaction cost as key factors of policy and behavioral incentives of related policy actors provides us with the deep explanation of the real world: the reasons and processes of policy change, causes of the formation of policy networks and their transition. and why, when and how policy compliance occu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책갈등과 제도변화

        이민창(Min Chang Lee) 한국정부학회 2011 한국행정논집 Vol.23 No.1

        이 연구는 공식제도와 비공식제도의 관계유형을 중심으로 정책갈등을 재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입어관행사례를 분석한 결과 1910년경 공식제도 형성 초기에는 ``대체적 비공식제도 관계``에서 ``보완적 비공식제도 관계``로 변화하였으며, 1953년 수산업법 제정으로 ``경쟁적 비공식제도 관계``로 변화하였다가 1990년 전면개정을 통해 정책적인 차원에서 관행어업권이 소멸되는 과정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세계의 입어관행은 개별적 차원에서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서 ``수용적 비공식제도 관계``를 보이고 있다. Helmke와 Levitsky의 유형분류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사례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제도가 공식제도와 비공식제도의 충돌에 의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안정성을 해치고 행위자들의 예측 가능성을 저해하며 정책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 데는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a policy conflict case from the perspective of Helmke & Levitsky`s typology of informal institutions. In this paper, conflicts occurred from interactions between fishing conventions(informal institution) and fishery management law(formal institution) are analyzed. On 1910s, fishing conventions worked as a general rule which constraints actor`s behavior. At this era, conventions could be categorized as ``substitutive informal institutions``, and it changed into ``complementary informal institutions``. On 1953,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Fishery Management Law, fishery conventions shifted into ``competing informal institutions``. After enforcing amended version of Fishery Management Law on 1990, fishing conventions were rejected and extirpated. But fishing conventions at the individual or personal level are discovered and in effect on regulating actor`s behavior at present. These conventions could be called as ``accommodating informal institutions``. Even Helmke and Levitsky`s typology has its own limitations on expl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fishing conventions and Fishery Management Law, it is effective in explaining conflicts caused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Institutional conflicts due to institutional interactions may evolve into the policy conflict which reduce the stability of institutions and actor`s predictability.

      •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규제

        이민창(Lee Min-Chang)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3 지역개발연구 Vol.8 No.1

        This article aims to revisit the possibilities of regulatory reform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rket oriented mechanisms in environmental policy area. For the past 30 years, traditional government leaded regulation has been a major instrument to attain a desirable environmental quality. In this paper, new ideas based on liberal market system is suggested and shows a direction for renovating a key tone in environmental policy.

      • KCI등재

        역사적 제도주의의 진화론적 접근을 위한 시론: 경상북도 학교급식 지원정책 변동과정을 중심으로

        이재술 ( Lee Jae Sul ),이민창 ( Lee Min Ch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3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의 최근 연구 흐름은 구조중심주의라는 비판을 극복하고 빈번한 제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행위자를 분석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제도변화를 명시적으로 진화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의 제도변화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첫째, 행위자를 분석대상에 포함시키면서도 행위를 설명할 이론적 분석틀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변화를 진화로 명시적으로 표현하면서도 정작 진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가 노정해온 이런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적 진화이론을 접목해 보고자 한다. 도출된 분석틀을 적용하여 경상북도의 학교급식 지원 정책 변동과정을 분석한 결과 거시구조와 제도적 맥락의 변화에 따른 행위자의 전략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통해 거시 구조와 제도적 맥락 변화가 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진화론적 관점을 통해 행위와 제도진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설명방식이 그동안 노정해온 역사적 제도주의 제도변화 이론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seen in the trends of the latest research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viewpoints, doers are included in its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lled the structure-specific and to give explanations to frequent changes in systems. In addition, changes in systems are specifically understood as a progress. However, the studies on the changes in systems concerning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viewpoints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even with the doers included into the target of analysis, the theoretical analytical framework to elucidate the doers` actions; and second, although changes were explicitly expressed as a progress, there was lack of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progress. This study aims to incorporate a cultural progressive theory to overcome such theoretical limitation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revealed. The analysis of the school meal support policy of the Gyeongsangbuk-do based on the elicited analytical framework shed light on the doers` strategic changes in line with the changes in macroscopic structures and systemic contexts.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explanations on what impact macroscopic structures and the changes in systemic contexts have on the changes in systems and on actions and systemically progressive mechanism from progressivism viewpoints. It is expected that the way this research explains would compensate the theoretical limitations of the changes in systems about the thus far revealed historical institutionalism.

      • KCI등재

        경로의존인가 경로진화인가?

        이재술(Jae Sul Lee),이민창(Min Chang Lee)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2

        본 연구는 경로의존모형이 제도변화를 설명할 때 생길 수 있는 한계를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사적 제도주의의 경로의존모형에서는 제도가 외부 충격(우발성)에 의한 급격한 변화 이후 경로 의존적으로 유지된다고 보고 있다. 이런 관점은 급진적 제도변화를 설명하기에는 유용하겠으나, 점진적이고 완만한 제도변화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노정 한다. 최근 역사적 제도주의 연구자들은 제도변화 양태에 관해 초기 제도변화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실증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변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논의되는 제도변화 이론을 적용한 사례분석을 시도해 봄으로써 경로진화 개념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정책변동의 결정적 사건을 중심으로 소득보장정책 변동 사례를 분석한 결과 소득보장정책 변동 패턴의 설명에는 경로진화 모형이 보다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rgument that path dependency model is limited in making appropriate explanation of institutional change through a case analysis. Path dependency model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defined that institutions are path dependently maintained after asudden change by external shock(critical juncture). Such perspectives are considered useful when explaining a radical change of institutions, but are exposed to the limitation of being unsuitable for explaining progressive and gradual change of institutions. Regarding the aspect of institutional- 401 -change, historical institutionalists point out the constraints of early theories on institutional change and are recently suggesting a new theory on institutional change which is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institutional phenomena of real world. This study tried to test som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path evolution using a cas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se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path evolution model is proper in explaining the changing pattern of income security policy.

      • KCI등재

        고등교육 프랜차이즈 특징에 관한 연구 - 한국, 영국, 미국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이영환(Lee, Young Hwan),이민창(Lee, Min Cha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고등교육 국제화 방법 중 최근 국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고등교육 프로그램 프랜차이즈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교육 프로그램 프랜차이즈의 개념과 도입배경을 살펴보고 한국, 영국, 미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 분석 기준은 품질관리, 표준화, 현지화의 개념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품질관리를 위해 진입규제 장치를 마련한 점, 형식인 통제가 강한 점, 학사제도의 동등성을 강조한 점, 학생의 경험과 성과에 대한 규정이 부족한 점, 현지화와 관련된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 점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영국과 미국에서는 프랜차이즈 진입규제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교육과정의 동등성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경험과 성과의 동질성을 중요시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제도 도입 시 프랜차이즈 운영의 동등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규제, 학생의 경험과 성과를 강조하는 형태의 검토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Higher education franchise is actively discussed in academic and policy community as a successful internationalization. This stud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 education franchise program. To attain this aim, we review the meaning,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status and necessity of franchise in higher educatio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in terms of quality assurance, standardization, localization. Comparing Korea, UK and U.S.A. guidelines, this research finds that Korean franchise guideline regulate pre-qualification, the type of franchise which focus on formal aspects while lack in content regulation such as student experience, performance and localization. In contrast to Korea, UK and U.S.A. do not regulate qualification for franchise while they focus on student experience and performance.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that Korean franchise have to consider comparability of program and focus on student experienc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