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서치료의 인지 텍스트학적 기초

        이민용 한국독서치료학회 2015 한국독서치료학회 학술대회지 Vol.- No.13

        독서치료(Bibliotherapy)는 그 명칭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도서를 바탕으로 하는 치료이다. 그래서 이것은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는 치료이기도 하다. 독서치료는 출발할 때부터 텍스 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지만, 현대에 와서는 그 영역이 더욱 넓어져서 전통적인 책뿐만 아니라 그림책, 사진,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등도 그 치료적 매체로 잘 활용하고 있다. 그 렇다고 해서 현대 독서치료가 텍스트에서 분리되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현대적 의미에서 텍스트의 개념과 영역 또한 이제는 책에만 갇혀 있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게르만 신화집 『에다』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전략 - 갈등 회피 등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중심으로

        이민용 한국헤세학회 2016 헤세연구 Vol.36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untersuche ich Erzählstrategien in der germanischen Mythossammlung Prosa-Edda. Mythen sind eine Art der Erzählung oder Storytelling. Das Narrativ besteht aus Story (Geschichte) und Diskurs. Es gibt dominierende Diskurse, welche die Gesellschaft innerlich beherrschen. Die Prosa-Edda wurde von Snorri Sturluson etwa 1220 in Island aufgezeichnet. Damals beherrschte die christliche Religion den Norden Europas. Deshalb war es schwer, heidnisch-germanische Mythen öffentlich zu erzählen oder aufzuschreiben. Um ohne Gefahr über die germanischen Mythen schreiben zu können, benutzte Snorri darum besondere Erzählstrategien: Rahmenerzählungstechnik, Dialogform, Wissenswettstreit, Distanzierung zu heidnischen Mythen durch Sinnestäuschung, und Poesiedidaktik. Snorris Mythologie, die er in der Prosa-Edda voll ausgebildet beschreibt, darf demnach nicht als unmittelbar authentische Wiedergabe nordgermanischen Heidentums missverstanden werden. Allein in seiner folgerichtigen Komposition und Geschlossenheit mit Erzähltechniken wie Rahmenerzählung, Dialogform, und so weiter erweist sich das mythologische System als Ergebnis der denkenden und ordnenden Erzählstrategien zur Vermeidung von religiösen Konflikten.

      • KCI등재

        서구 불교신행의 양태와 서구적 불교의 탄생

        이민용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8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cent situation of Buddhist activities in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as well as in the west in general.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west since the victorian period of the Europe has given impact to the western religious and spiritual arenas. Buddhism delivered from the Asian countries to the west has been uninterruptedly changed in various ways. It has been accepted, adjusted and transformed in the western world depending on their host countries. Particularly, the Buddhist faith in the American continent seems to be phenomenal and the Buddhist sympathizers are very active how to adjust themselves to this Asian faith. And they try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Buddhism in their own ways in a new western format of Sangha community,non-celibacy as well as non-laity and non-hierachical community as well as non-patriarchal democratic community. The scholarly category and the tendency of the Buddhist studies have been changed and diverisified in order to overcome the Orientalism latent in the previous Buddhist studies. Buddhism will be considered as a new religious movement and should be looked at it as a new creative growth in a new soil of the west, not simply implanted old religion from the East in the new world. And Buddhism can be explored as much as the modern scientific endeavours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neuroscience, psychology, psychoanalysis are pursued. 서구에서 불교가 중심화제로 떠오른 것은 빅토리아조 때였다. 동양에 대한 낭만주의적 상상력의 확대와 제국주의적 팽창이라는 두요인과 기독교의선교활동의 편승이 불교 이해의 큰 틀이 되었다. 이후 불교는 유우럽뿐만 아니라 신대륙인 미국에도 동일한 정서를 지니고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동양학 전문의 학자들의 관심과 세계종교의회와 같은 문화적인 행사를 통해 미국에 본격적으로 전파되었다. 덧붙여 미주 동양계의 이민을 따라 불교 신행은 자연스럽게 미주에 유입된다. 그러나 불교를 받아드리는 태도는 인종간의격차를 보인다. 소위 백인불교와 이민불교로 대분되는 것이다. 또는 미국화된 불교 이거나 소수민의 불교로 정착된다. 미국사회의 성격을 따라 불교는동양전통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패턴을 이루게 된다. 실생활로 부터 학문적인 영역에 이르기 까지 새로운 불교 접근 방식을 개발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이미 미국 자신의 체질의 한 부분으로 새살을 돋게 하는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서사이론에서 본 게르만신화 로키 이야기

        이민용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9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8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untersuche ich die Loki-Erzählungen in der germanischen Mythologie aus der Sicht der Erzähltheorie. Hier geht es um die zwei germanischen Mythossammlungen Lieder-Edda und Prosa-Edda. Während die Lieder-Edda zwischen 800 und 1200 entstanden ist, wurde die Prosa-Edda von Snorri Sturluson um 1220 in Island aufgezeichnet. Mythen sind eine Art der Erzählung oder des Storytellings. Die Erzählung besteht aus den beiden Hauptbestandteilen Story und Diskurs. In diesem Kontext zwischen Story und Diskurs spielt die Story eine Rolle als das abstrakte Original und drückt den Erzähltext durch den Diskurs aus. Andererseits könnte die Story wegen des Primats des Diskurses über die Story keine Rolle als das Original eines narrativen Textes spielen. In diesem Fall würde die Story vom narrativen Text durch den Diskurs erzeugt werden. Dadurch verstehen wir, dass die Story nicht nur in den Erzählungen durch den Diskurs ausgedrückt, sondern auch aus dem narrativen Diskurs-Text extrahiert wird. Unter diesem Gesichtspunkt stoßen wir beim Lesen der Loki-Episoden in den germanischen Mythossammlungen, Lieder-Edda und die Prosa-Edda, zuerst auf den Diskurs von Loki-Erzählungen, der Lokis Geschichte darstellt. Die Loki-Story kann erst nach Lesen des Loki-Diskurses extrahiert werden. Eine Besonderheit des Loki-Diskurses ist, dass ein impliziter Autor in den Erzählungen der anderen Götter über Loki erzählt, anstatt Loki als eine wichtige Person zu behandeln. Wenn wir jedoch alle hier extrahierten Geschichten betrachten und miteinander verbinden, ist Loki die Hauptfigur der fertigen Loki-Geschichten mit einer ganzen Reihe von Erlebnissen. Aus diesem Grund wird Loki in modernen kulturellen Werken wie Filmen als wichtiger angesehen als Odin. Dies ermöglicht es uns, den Charakter von Loki zu analysieren. Lokis Persönlichkeit wird in Bezug auf die Ereignisse und Motive in der Loki-Episode definiert, wodurch er in eine witzige Figur, einen Betrüger, einen heimlichen und einen krassen Antagonisten unterteilt werden kann. Auf der anderen Seite ist bei der Analyse der Loki-Episode aus der Perspektive der Zeit in der Geschichte zu sehen, dass sich diese persönlichen Merkmale von Loki im Laufe der Zeit allmählich von denen eines Tricksters zu denen eines krassen Antagonisten wandeln. 신화는 내러티브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이론의 관점에서 내러티브 2층위론, 즉 서사를 스토리와 디스코스로 나누어 보는 이론을 중심으로 스토리와 디스코스의 관계, 스토리의 특성, 인물ㆍ사건ㆍ시간 등의 스토리 구성 요소, 서술관점 등의 디스코스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게르만신화의 로키 이야기를 연구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게르만신화 로키 이야기에 접근해서 볼 때 게르만신화집 운문 『에다』와 산문 『에다』에서 우리가 우선 접하는 것은 로키 이야기의 디스코스이다. 이에 관해 연구해보면 로키 디스코스의 서술 화자 혹은 내포작가는 로키를 결코 중요한 인물로 다루지 않고 있다. 다른 신들을 모두 언급하고 나서야 남신들의 맨 마지막에서 로키에 관해 다루고 있고, 로키에 관한 다른 많은 에피소드들은 토르, 오딘, 발드르 같은 중요한 게르만 신들의 에피소드 속에서 더불어 언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로키 이야기의 디스코스에서 추출한 스토리들을 모아서 스토리의 특성인 의미 연결성과 시간 순차성에 따라 로키 이야기의 전체 스토리를 연결해보면 아주 중요한 사실이 발견된다. 로키 이야기의 전체 스토리는 굉장히 풍성하며 기승전결이 살아 있는 완성도 있는 아주 흥미로운 연결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점들에서 오늘날 게르만신화가 반영된 많은 현대문화콘텐츠에서 로키가 토르 다음으로, 오딘보다도 더 자주 중요한 인물로 등장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 KCI등재

        내러티브와 서사학, 그리고 인성교육

        이민용 국제언어인문학회 2014 인문언어 Vol.16 No.3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Although cognitive science is associated with mechanical technologies that seem unliterary, the central issues for cognitive science are in fact the issues of the narrative mind because most of our experience, our knowledge, and our thinking is organized as stories. In this sense, narratives play an essential role in one’s personality formation and mental development. There are three methods in the narrative moral education: traditional narrative moral education, formal narrative moral education, and ordinary narrative mo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three other narrative moral education methods: contents centered moral education, process centered moral education, and reflection centered moral education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there is a concrete narrative level of text and three abstract narrative levels of story, narration, and textuality. While the traditional narrative moral education and the content-centered moral education are related to the narrative level of story, the formal narrative moral education and the process-centered moral educ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narration level of the narrative. The ordinary narrative moral education and the reflection centered moral education can correlate with the level of textuality. This paper, therefore, shows how narratives play a role in character education, and how the main components of the narrative levels can used effectively for that.

      • KCI등재

        서사학의 관점에서 연구한 마이클 화이트의 내러티브 치료 - 서사 층위와 구성요소의 치유적 연결을 중심으로

        이민용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80

        본 논문은 연결이 중요한 초연결시대에 서사 층위와 그 구성요소의 치유적연결을 중심으로 서사학의 관점에서 마이클 화이트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연구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문학 텍스트가 작가에 의해 집필되고 독자에 의해 재수용되는 것과,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마음의 문제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 서로 비슷하다고 생각한 M. 화이트가 문학에서 아이디어를 가져다가 내러티브, 스토리, 텍스트, 담론 등 주요 서사학적 개념으로 자신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구성하였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내러티브 치료의 이론적 기초에 대해 서사학의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서사학의 층위론과 서사 구성요소 연결의 관점에서 M. 화이트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이트는 내러티브의 스토리 층위와 스토리 구성요소들을 잘 활용하여 ‘지배적 스토리’ ‘대안적 스토리’ ‘특별한 결과’ ‘행위 영역조망’ 등을 중심으로 자신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의 서술 층위와 그 구성요소들을 활용해서도 정체성 영역 조망을 통해 대안적 스토리를 재저작하는 내러티브 치료 이론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텍스트 층위와 텍스트성 층위를 활용해서도 텍스트 유추 개념과 메타텍스트, 상호텍스트를 통해서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전개하였다. 내러티브 치료는 서술 층위의구성요소 개념이나 텍스트 층위의 매체(매질, medium) 개념을 더 적극적으로활용하면 더욱 확장된 내러티브 활용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Michael White's narrative therap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M. White thought that the way a literary text is written by a writer and re-received by a reader is similar to the way a therapist helps a client solve problems of the mind in the narrative ways. So, he took ideas from literature and constructed his narrative therapy theory with major narratological concepts such as narrative, story, text, and discourse. Starting from these, this paper studied the theoretical basis of narrative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and analyzed M. White's narrative therap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s layer models and narrati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 White constructed his narrative therapy theory by making good use of the story layers and story components of narrative. The key contents of the theory included ‘dominant story’, ‘alternative story’, ‘unique outcomes’, and ‘perspective on the Landscape of Action’. And he developed a narrative therapy theory that rewrites an alternative story through a view of the Landscape of Identity area, utilizing the narration layer and its components. Using the text layer and textuality layer, he developed a theory of narrative therapy through the concepts of text analogy, metatext, and intertext. Narrative therapy could become a more effective narrative therapy by more actively utilizing the concepts of components on the narration layer or the media(medium) concepts on the text l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