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불교학 연구 프로젝트 현황

        이민성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The present paper is based on a survey of recent Buddhist studies in Germany prepared for the inaugural conference of the 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Seoul. The article introduces several projects on or related to Buddhist studies which are currently carried out at the universities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Universität Heidelberg, Ruhr-Universität Bochum, Georg- 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Thus, it aims at providing some insight into recent methodologies, topics of Buddhist Studies in Germany. 본고는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창립 학술대회를 위해 작성한 독일의 불교학 연구에 관한 소개문이다. 독일의 뮌헨 대학, 하이델베르크 대학, 보훔 대학, 괴팅엔 대학에서 현재 진행 중인 불교학 관련 프로젝트 연구 사업들을 소개하는 것에 집중하였으며, 특히 최근 연구 방법론 및 연구 주제에 대해알아보는 것을 그 목표로 두었다.

      • KCI등재

        Cu-Fe-Sn-S계(系) 광물(鑛物)의 산출상태(産出狀態)와 상안정관계(相安定關係)

        이민성,Lee, Min S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0 자원환경지질 Vol.13 No.4

        Stannite is mainly found in hypothermal ore deposits, whereas mawsonite and stannoidite occur characteristically with bornite and chalcopyrite in subvolcanic (xenothermal) ore deposits. Mawsonite always shows the replacement on the rims of stannoidite grains or along the grain boundaries of stannoidite, bornite and chalcopyrite. In the Tada mine, Japan, the following mineral assemblages of the Cu-Fe-Sn-S minerals were observed. 1) bornite-stannoidite; 2) stannoidite-chalcopyrite; 3) stannite-chalcopyrite; 4) bornite-mawsonite-stannoidite; 5) bornite-stannoidite-chalcopyrite; 6) mawsonite-stannoidite-chalcopyrite; 7) stannoidite-stannite-chalcopyrite; 8) bornite-mawsonite-stannoidite-chalcopyrite The heating and D.T.A.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natural stannoidite containing 3 weight percent of zinc decomposes to bornite, stannite and chalcopyrite at above $500^{\circ}C$, whereas zinc-free synthetic stannoidite is stable up to $800^{\circ}C$. The stability temperature of zincian stannoidite depends on the zinc content. Mawsonite is stable at temperatures below $390^{\circ}C$ and decomposed to stannoidite, bornite and chalcopyrite above it. According to the sulfur fugacity determination by the electrum tarnish method the univariant assemblage of mawsonite, bornite, stannoidite and chalcopyrite requires a higher sulfur fugacity than that of bornite, stannoidite and chalcopyrite assemblage.

      • KCI등재

        192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항공부대 설치와 지역사회

        이민성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3

        This article reviewed the Imperial Japanese Army Air Force`s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facilities in Pyongyang during the 1920s. At the military le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Japanese army aviation forces made it possible to plan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n aviation unit in Joseon. The reason why Pyongyang became an aviation station was then confirmed using survey data for on the selection of sites. The army focused on the route from Japan’s “Inland” to the continent. Daegu and Pyongyang, the Japanese military garrison in Joseon, drew attention, and Pyongyang was selected as an area where various military and economic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ould be compromised. The military flight training was conducted at the Army’s aviation unit in Pyongyang, and the connection between Joseon and the “Inland” and its influence on the Chinese continent were expanded. As its aeronautical influence gradually crossed the border, Consequently the army organized additional bomber units to realize an active expansionist policy. In summary,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army air force stationed in Pyongyang set the foundation for a connection with Japan’s “Inland,” maintenance of security within Joseon, and continental invasion. At the social level, the presence of the aviation force encouraged the desire for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n the provinces, Attraction campaigns were actively held. The arm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of stationing expenses by fostering this drive for “development.” The Governor -General also helped in this endeavor.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army and the Governor-General were not always in agreement. The Governor-General, Japanese Army, and local influential groups formed an axis of the colonial system by competing, clashing, or uniting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interests. Meanwhile,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a bombing practice field, it was confirmed that most ordinary Koreans were recognized only as unilateral objects of the governance system and objects of suppression, coercion, and deception. Unlike the tension of conflict due to gains and losses within the colonial power, ordinary Koreans were not given such space. 본 글은 192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항공대의 설치와 설비 확장 과정을 검토하였다. 군사적 차원에서, 초기 일본육군 항공전력의 특징은 조선군 항공대 신설 계획의 배경이었다. 다음으로 왜 평양이 항공대 주둔지가 되었는지, 부지 선정을 위한 조사 자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육군이 주안점을 두었던 것은 일본 ‘내지’에서 대륙 방면으로 이어지는 경로였다. 그 중에 조선군 기존 위수지였던 대구와 평양이 주목받았고, 평양이 여러 장단점을 절충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평양 주둔 항공대를 기반으로 육군의 비행훈련이 진행되었고, ‘내지’와의 연결과 더불어 대륙으로의 영향력을 넓혀갔다. 육군의 항공전력 투입 범위가 조선 북부 국경을 넘어갈 정도가 되자, 육군은 정찰 및 전투 분과에 폭격대를 추가하였다. 보다 적극적인 팽창주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였다. 평양 주둔 항공대의 설치와 운용을 통하여, ① 일본 ‘내지’와의 연결 ② 조선 내 ‘치안유지’ ③ 대륙침략의 단초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차원에서 항공대 주둔은 지역사회의 ‘개발’ 욕망을 자극하는 것이었다. 지역 간 유치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육군은 이러한 ‘개발’ 욕망을 자극하여 비용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했다. 육군과 총독부의 입장이 항상 균일하지는 못했다. 지역사회의 유력자 집단, 그리고 총독부와 일본육군은 자신들의 이해득실에 따라서 경합, 갈등하거나 연대하며 식민 통치체제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비교하면, 폭격 연습장 설비 과정에는 통치체제의 일방적인 객체로서만 인지되어, 탄압 혹은 강압, 기만의 대상으로만 인지되었던 대다수 일반 조선인의 모습이 확인된다. 식민권력 내에서 이해득실에 따라 갈등 및 충돌의 긴장이 존재한 것과 달리, 일반 조선인 지역주민에게는 그러한 여지가 주어지지 않았다.

      • KCI등재

        옥천계(沃川系) 함(含)우라늄 탄질암중(炭質岩中)의 우라늄의 존재상태(存在狀態)와 광물종(鑛物種)

        이민성,김상욱,Lee, Min Sung,Kim, Sang Wo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5 자원환경지질 Vol.18 No.2

        The radioautographing of U-bearing cloaly slate samples were initiated in order to clarify the uranium distribution patterns in the samples of Ogcheon system. Moreover, x-ray powder diffraction and x-ray single crystal analysis studies were undertaken to identify the uranium mineral which was extracted from U-bearing coaly slate. The hand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Boseong mine, located in Deokpyeong area, Goesan-gun, Chungcheongbug-do.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studies, it has been found the following facts: (1) fixed carbon has close relation with uranium contents, (2) quartz veins developed in U-bearing coaly slate are diveded into two groups based on mode of occurrence, formation stage and uranium distribution pattern; early quartz vein ($QV_1$) with low uranium concentration and late quartz vein ($QV_2$) with high uranium concentration, (3) matrixes around $QV_1$ are displayed homogeneous and high uranium concentration, while matrixes around $QV_2$ are low uranium concentration, (4) uranium mineral is identified as a variety of autunite.

      • KCI등재

        규기의 주장에 대한 원효의 견해, 그리고 원측과의 접점(Ⅰ)

        이민성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2 No.-

        The Taehyedogyŏng chongyo attributed to Wŏnhyo is a commentary of Xuanzang’s last translation, Da bore boluomiduo jing (Skt. Mahāprajñāpāramitā Sūtra). However, the main contents consist of somewhat far from prajñā, such as the three natures and tathāgatagarbha.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contents are critique of Kuiji's arguments; that is to say, Wŏnhyo directly took part in the debate on ‘the ‘Distinctiveness of the Five Natures(五性各別說)’ and on ‘Emptiness and Having / Existence(空有)’, which were big issues in 7th century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1910년대 중반 조선 주둔 일본군 군영 배치계획과 軍營 유치운동의 양상

        이민성 한국근현대사학회 2017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3 No.-

        Japanese troops in Korea was activated under the name ‘Choseon-Juchagun’ in 1910. And it reorganized their stationary form. In April 1915, lobbying for military camps started in colonial Korea. Lobbying centered on the local elites.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ook the lead in the initial lobbying. They wrote and filed petitions with the Japan Department of the Army. In name of "Development," each region contended to invite a military camp. The aspect of lobbying gradually included the Korean elite internally, and widened to other areas in colonial Korea externally. They also promised to donate land. Terauchi Masatake tried to control lobbying. However, Japanese Army wanted to save the budget. They granted a petition in Hamhung and Daegu, and decided the deployment of regiments. But, protests began in Daejeon. Terauchi demanded again the deployment of additional troops in Daejeon. In the end, Army divided the regimental force in Daegu, and deployed a battalion of troops in Daejeon. 본 글은 1915년 조선 주둔 일본군 상주사단의 군영 배치지역 선정과 지역사회의 군영 유치운동의 양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1915년 6월 일본 제국의회는 상주사단 설치안을 승인하고, 육군은 군영 배치지역의 조사를 추진하였다. 한편 재조일본인과 일부 조선인은 각지에서 군영 유치운동을 전개하였다. 재조일본인은 운동을 결성하고 주도하여, 청원서를 작성하고 육군성에 제출하였다. 공직자와 직접 면담을 하는 곳도 있었다. 청원서는 각 지역의 이점을 강조하고, 일본의 침략·식민통치가 ‘발전’을 가져왔다고 미화하였다. 점차 운동양상은 지역적·계층적으로 확장했다. 지역 간 경쟁의식을 드러내는 경우도 나타났다. 토지를 기부하겠다는 조건을 추가하거나, 다른 지역의 운동을 비판하는 예도 빈발했다. 공직자도 관여하였다. 총독부는 유치운동이 통치에 문제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이에 육군 측에 협조를 요청했으나, 육군은 대구·함흥의 유치운동을 일부 수용하였다. 그 결과 8월 초 군영의 배치지역이 정해졌으나, 대전에서 유치탈락에 따른 시위가 일어났다. 이에 총독과 육군성이 재차 협의하였다. 결국, 대구에 배치할 연대병력 중에서 1개 대대를 대전에 분산 배치하기로 확정했다.

      • KCI등재

        공공디자인진흥계획의 설문분석을 통한 공공디자인 중점 개선사항에 관한 연구

        이민성,송정식,윤종영,박은일,김영진,오영효,한진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at are the important elements that public design should be developed and improved through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The scope of the survey was Osan City, Namyangju City, and Gapyeong County in Gyeonggi Province, three major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Province where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was completed at the time of the research. The survey analysis of public design improvement items of each local government was conducted by the main author as a project manager. As for the survey method, the opinions of experts and non-experts of each local government were collected, and an online/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is analysis, we intend to present as a priority element for public design improvement by analyzing what key areas of improvement need to be improved by the major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and what factors make citizens feel most uncomfortable. In addition, when the key elements of public design improvement in Gyeonggi-do were derived, the items were classified and items that could be improved were presented and studied to be a major priority for specific public design development projects.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통해 공공디자인이 발전되고 개발되어야 하는 중점 요소가 무엇인지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의 범위는 논문의연구 시점에 공공디자인진흥계획이 완료된 경기도 주요 지자체 3곳을 선정하였으며 경기도 오산시, 남양주시, 가평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지자체의 공공디자인 개선사항 설문분석은 본 주저자가 총괄책임연구원(Project Manager)으로 직접 수행하였으며 각 지자체마다 전문가, 비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경기도의 주요지자체가 개선되어야 할중점 개선사항은 무엇이며 시민들이 가장 불편하게느끼고 있는 부분은 어떠한 요소인지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개선사항의 우선 요소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경기도 내의 공공디자인 중점개선 요소가 도출되면 해당 항목을 재분류하여 개선할 수 있는 항목들은 어떠한 요소가 있는지 도출하여 구체적인 공공디자인 개발사업의 주요 우선 사항이 될 수 있도록연구 분석하였다.

      • KCI등재

        앙상블 모델에 임계값을 적용한 3단계 순차적 응용 트래픽 분류 시스템

        이민성,김명섭,박지태,백의준,최정우 한국통신학회 2023 KNOM Review Vol.26 No.1

        Application traffic classification is essential for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and operatio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network security improvemen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application traffic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o classify application traffic due to the generation of encrypted traffic. However, in order to derive high accuracy, methods that increase the total processing time, such as adding a new methodology for data prepossessing or repeating the structure of a model, are being u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duce the total processing time by sequentially using three simple models. Data were classified by applying two ensemble models and one deep learning model to the proposed classification system. Data that can be classified by applying an appropriate threshold in the ensemble model with high processing speed is first classified, and the remaining data is used in the deep learning model with slow processing speed to improve overall processing spe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6% higher accuracy was derived than the result using the CNN single model, and the total processing time was shortened by 0.21 seconds.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및 운용, 서비스 품질 개선, 네트워크 보안 향상을 위하여 응용 트래픽 분류가 필수적이다. 암호화된 트래픽의 발생으로 응용 트래픽을 분류하기 위한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사용한 응용 트래픽 분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높은 정확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처리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추가하거나 모델의 구조를 반복하는 등, 전체 처리 시간이 증가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3가지 모델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전체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류 시스템에 2가지 앙상블 모델과 1가지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처리 속도가 빠른 앙상블 모델에서의 적절한 임계값을 적용하여 분류가 가능한 데이터를 먼저 분류하고, 남은 데이터를 처리 속도가 느린 딥러닝 모델에 사용하여 전체 처리 속도를 개선한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CNN 단일 모델을 사용한 결과보다 6% 높은 정확도를 도출하였으며, 전체 처리 시간은 0.21초 단축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