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大學入試의 意味와 그 內的 論理

        李美娜 弘益大學校 敎育硏究所 1991 敎育硏究論叢 Vol.- No.7

        This study examines each group's maning system and dynamics for college entrance exam, which distorts Korean education seriously. This issue is investigated through the following guestions: 1. What is our nominal goal of education? 2. Which goal is more dominant and more powerful at the real educational setting, human education or competitive education? 3. How much do people compete for their educational aspiration? 4. What kind of Koreans' belief system leads Korean eduation to degree competition? To explore thre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Korean peoples' opinion toward education" survey which was done by Jong-Geun Bai and me in 198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loglinear models. The present study shows an intereating finding. Opinion-leading-groups, urban·highly educated and middle class groups, wish humanistic education more desperately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identical(opinion-leading) groups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diploma competition gam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t is ironical that the same groups wish humanistic education more but contribute to creating competitive education more. Their behaviour seems to be followed by their belief in the myth of meritocracy. Besides, this study finds 1) our nominal goal of education is humanistic education rather than competitive education: 2) However, competitive education is realized at the educational setting; 3) most Korean parents are willing to send their children to university and to sacrifice even their economic welfare in order to earn their children's B.A. degree; 4) Korean people's belief in meritocracy seems to drive them to compete desperately at the educational setting. Therefore this study concluds that our educational goals are dually structured : humanistic education at the nominal level and competitive education at the actual level. We fing a hopeful fact that people's hehaviour regarding college entrance competition is departed from their wish toward an ideal education. Here we can find a chink where educational policy makers can do something in order to reform problems originated from college entrance competition.

      • KCI등재

        나눔문화 및 재능기부에 대한 의미: 빅 데이터 활용 연구

        이미나,김동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본 연구는 나눔문화 및 재능기부에 대한 인식을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악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 구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카페, 지식인, 뉴스 등을 분석 채널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빅 데이터 사이트인 텍스톰을 활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2016년 8월 1일부터 2018년 8월 20일까지 총 2년 동안 검색된 나눔문화+재능기부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이버와 다음, 구글, 지식인 등의 자료를 택스톰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을 하였고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눔문화+재능기부” 키워드로 검색되는 총 142,421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나눔문화 및 재능기부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는 ‘재능’, ‘문화’, ‘봉사’, ‘기부’, ‘사회’, ‘활동’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눔문화+재능기부”라는 주요 키워드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나눔문화 및 재능기부에 대한 단어 의미를 통해 빅 데이터를 활용한 기초연구는 나눔문화 및 재능기부에 대한 보다 폭넓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sharing culture and talent donation using big data. For this, Daum, blogs, cafes, intellectuals, and news provided by Google and Naver were selected as analysis channels. Data collection used Tektom, a big data site. The data collection is based on the sharing culture + talent donation keywords searched for 2 years from August 1, 2016 to August 20, 2018.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we collected a total of 142,421 data that were searched by the keyword “sharing culture + talent donation”. As a result, the main keywords related to sharing culture and talent donation were 'Talent', 'Culture', 'Serving', 'Domination', 'Society', and 'Activ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emantic network using the key keyword “sharing culture + talent donation”. Therefore, basic research using big data through the meaning of the word about sharing culture and talent donation will provide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sharing culture and talent donation.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HPV Vaccination Inten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and The Role of Subjective Norms

        이미나,김예솔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0 No.3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Human Papilloma Virus (HPV) vaccination int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whether the variables constituting TPB might show differential effects on college men and women’s HPVvaccination intention. The current study also examined which specific subjective norms are more influentialin explaining HPV vaccination intention of men and women.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revealed that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get the HPV vaccin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an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vaccination intention was best predict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whereas friend norm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ale students’ intention to get the HPV vacc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persuasive strategies required to appeal to college men andwomen to increase HPV vaccination rate.

      • KCI등재

        김동석 수필 연구

        이미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김동석 수필 연구이 미 나*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김동석의 수필을 면밀히 연구하여 그의 문학관을 형성하고 있는 내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김동석의 수필은 대부분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창작되었으며, 일상적인 생활을 묘사한 작품과 식민지 현실과 해방 직후의 현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작품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연구 내용: 김동석은 가까이에 있는 자연을 소재로 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아름다운 문체로 묘사하고, 삶을 살아가는 지식인의 태도를 보여주면서 해방기의 혼란스러운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그의 수필은 소소한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교훈적인 이야기와 자연을 소재로 한 자연친화적인 이야기, 사회비판적인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김동석은 일제 강점기에 “무저항의 저항”으로서의 글쓰기로 수필을 창작하였고, 스스로를 수필가로 자처할 만큼 수필에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김동석의 수필은 지식인으로서의 삶의 태도나 예술가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글이자 그의 문학 세계 전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핵심어: 김동석, 수필, 『해변의 시』, 『토끼와 시계와 회심곡』, 해방기 □ 접수일: 2022년 11월 7일, 수정일: 2022년 12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교수(Professor, Seoul National Univ., Email: abyeole@snu.ac.kr) Study on Kim Dong-seok’s EssayMina Lee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study Kim Dong-seok’s essay in detail to examine the inner factors that form his view of literature. Most of Kim Dong-seok’s essays were created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liberation, and can be divided into works that depict everyday life and works that look at the reality of colonialism and the reality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Kim Dong-seok critically looked at the chaotic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depicting everyday life in a beautiful style using nature nearby as a subject, and showing the viewpoint of an intellectual living his daily lives. His essays consist of instructive stories from small everyday life to nature-friendly stories based on nature to social critical stor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Kim Dong-seok wrote multiple essays by implementing writing as a “non-resistant resistance”, and had an extraordinary affection for essay as he referred to himself as an essayist. Kim Dong-seok’s essay can be evaluated as an article that fully reflects his attitude of life as an intellectual and his artistic side, and as an important measure for understanding his entire literary world. Key Words: Kim Dong-seok, Essay, “Poem of the shore”, “Rabbit, Clock, and a Song to Turn the Mind”, Liber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재일 디아스포라 한국어 시문학 연구

        이미나 국제한인문학회 2019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5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을 총련계 작가와 총련을 탈퇴한 작가, 민단계 작가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작가들의 시적 특성을 고찰하여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총련계 시문학의 주제의식을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조국’ 예찬과 통일 지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민단계와 그 외 시인들의 시세계를 고찰하면서 ‘재일’의 현실과 정체성의 혼란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재일 동포들에게 빼앗긴 언어와 문화, 역사를 되찾아 민족성을 회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으며, 모국어를 모르는 자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재일 동포가 빼앗긴 문화와 민족적 자긍심을 회복하고 ‘조국’과의 연계의식을 보존하기 위해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정체성을 획득하는 중요한 일이었기에, 총련계 시인은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민족교육과 함께 ‘조국’에 대한 예찬이 중요한 주제로 나타났다. 총련계 시문학이 북한을 지향하는 것은 당시 북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단계 시인과 그 외 시인들의 작품은 이방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재일’의 현실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에 비해 고단하고 힘겨운 재일동포들의 현실을 보다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다.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의 안타까운 현실과 고물을 팔고 사며 어렵게 살아가는 ‘재일’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주된 주제로 나타나고 있지만, 남과 북 어느 쪽으로도 편향되지 않은 근원적 고향을 향한 그리움을 그리고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재일 한민족 문학 연구에 있어 배제되어 왔던 시문학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일은 향후 연구의 종합적인 토대를 마련하여 재일 한민족 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일조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 톳(Hizikia fusiforme)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연구

        이미나 부산여자대학 2007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29 No.-

        AT the investigate of Pound Cake addition Hizikia fusiforme powder the more addition quantity the less gradually elasticity and agglutinabitity and it shows a slight decline chewing nature and breaking nature, but it was not showed certain difference between 10% addition quantity and 15% addition quantity. In the case of color, it shows the more hizikia fusiforme powder the less L, a and b In the organic functions parity, it shows good taste of color. Smell, taste at the 5% addition hizikia fusiforme powder. 50, it is estimated quality of pound cake improve without change. 5pecial quality and good taste when we add 5% the hizikia fusiforme powder.

      • KCI등재

        이광수 소설 『흙』의 영화화 양상 고찰

        이미나 춘원연구학회 2018 춘원연구학보 Vol.0 No.13

        1930년대 농촌소설의 계보에 놓인 이광수의 『흙』은 농촌계몽운동과 애정의 삼각관계라는 두 축의 서사로 전개된다. 가난한 농촌 출신의 고학생 ‘허숭’이 농촌사업을 통해 농민을 계몽하고자 하는 자력갱생의 의지를 보여주면서 ‘정선’과의 결혼으로 극적인 신분상승을 이루는 것이 『흙』의 핵심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작품론에 머물고 있으며, 소설 『흙』의 영화화에대해서는 단편적인 언급에 그치고 있어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광수 소설 중에서도 가장 많이 영화화되었던 소설 『흙』의 영화화 양상을고찰하였다. 이광수가 한국영화계에 계속해서 호명되었던 연유는 시대적․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때 그 의미가 더욱 분명해진다. 1950년 중반 이후부터 이광수의 소설은 ‘문예영화’의 원작으로 각광받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이어진다. 식민지시기를 제외하고라도 근 30년 동안 이광수의 소설은 계속해서 초청된 것이다. 여기에는 대중에게 끊임없이 사랑 받는 이광수의 작가적 입지와 전집 발간 등 그의 문학이 집대성되는 당시 출판 시장과의 역학 관계가 놓여있다. 또한 이광수의 납북과 민족 작가로의 복권, 국가가 국책으로 내세운 ‘민족계몽’ 사상과 ‘문예영화’라는 문화적 담론 등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광수의 소설 『흙』은 당시 문화적 담론과 상호작용하면서 시대적 자장 안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으며 전유되는 양상을 보인다. 1960년의 <흙>은 전후 ‘새로운 국가의정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흥하고자 원작 소설을 충실히 옮기는 데 주력한 것으로형상화되며, 1967년의 <흙>은 국가의 개입으로 형성된 ‘문예영화’라는 이데올로기적담론의 자장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한국영화 암흑기에 제작된 1978년의 <흙>은 국책을 내세워 이중검열을 피하고, 대중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선정성을 강조하면서원작과는 다소 거리가 멀어진다. 이처럼 이광수 소설 『흙』과 영화 <흙>의 매체전이양상과 서사의 대중적 변형은 시대적으로 많은 함의를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관계 연구

        이미나,장정백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은 광주, 전남에 소재한 25개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280명(어린이집 교사 162명, 유치원 교사 118명)을 2014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측정을 위해 백은주․조부경(2004)이 개발한‘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척도와 1989년 UN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근거하여 Hart, & Zeider(1993)가 개발한 척도 현영렬(2009)이 사용한 유아인권의식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각 하위요인별 평균(M)과 표준편차(SD) 및 Pearson 적률상관 관계를 SPSS WIN 17.0 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 전문성 발달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은 유아인권의식 하위변인 중 보호할 권리, 발달할 권리였으며, 이는 유아의 발달권과 보호권에서 교사의 의식이 높았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 전문성과 유아인권의식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시사한다. The study to know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relationship of early child-right ethics to fine the effectiveness. The subjects and the experimental dates were 280 teachers out of 25 child educational organization(162 kindergarten teachers, 118 preschool teachers) which are tested from 1st, 9, 2014 to 10, 10, 2014. the measurement tool for knowing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was used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tool by bak eun ju, jo boo kyung(2004) and based on UN child-right by UN international agreement in 1989, fundamentally tools by Hart & Zeider(1993) is used with young child right ethics by hyeon young ryel(2009). However, assembled papers are depend on study problems to be analysed the teacher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child-right ethics, with under each groups which are average(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kno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to the early child-right ethics, analyzed through rare analysis SPSS WIN17.0 program. The final result,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child-right ethics are correlated in the whole sections. especially, the most effectiveness among the early child-right ethics by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is right of protection and right of development. As far as teachers ethics are revealed high points on the child development right and protection right. Eventually, Implied in the child education places are necessary to more various educational support for The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expertise and The early child-right ethics.

      • KCI등재

        동아시아 냉전 질서 형성과 해방 직후 ‘공간’ 연구 -채만식의 「역로」와 허준의 「잔등」을 중심으로

        이미나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냉전은 전후 국제 질서를 이르는 말로 정치적․경제적 발전의 경로가 서로 다른 글로벌한 양극 간의 충돌, 극단으로 분단된 세계의 세력 및 의지 다툼과 그 지배적 질서 체제를 의미한다. 동아시아 냉전 체제는 앞선 일본 제국주의와 그에 반한 움직임의 복합적 작용으로서 식민지 체제에 국제적 힘이 더해진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이 냉전체제는 전 세계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에서도 한반도는 지금까지도 냉전 문제가 가장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한반도의 해방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계기로 맞이한 것인 동시에 한국이 미국과 소련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된 역사적 사건이었고, 때문에 해방이 곧 남북 분단을 의미하게 되는 아주 특수한 양상이 만들어졌다. 냉전은 세계적 질서이기도 하지만, 민족국가에서 지역적으로 경험된 갈등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경험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냉전 시대에 양극단 진영의 사회적 변화를 사회사․문화사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일은 남북한 질서의 전환이 어떠한 상관관계 속에서 재구성되는지 밝히는 일이 된다. 본 연구는 문화 지리적 공간이 냉전이 구축되는 공간 지표를 따라 물질적 토대인 ‘실제 공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역사적 맥락 안에 위치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냉전의 질서가 구체적인 장소에서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는지, 해방 공간의 치열한 정치적․군사적 대결의 형태로 경험되었던 ‘일상생활의 정치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해방기 창작된 소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설로 평가받는 허준의 「잔등」과 채만식의 「역로」는 모두 ‘여로’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해방 정국의 혼란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해방 직후 한국은 미․소 양국의 분할점령 하에 냉전 체제를 구축하게 되었고, 이는 지리적 공간이 분할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허준과 채만식 작품의 ‘공간’은 해방 직후 미․소를 중심으로 구축된 냉전체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남한과 북한에서 맞이하는 ‘해방’의 현실이 그 ‘냉전’과 맞물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잔등」과 「역로」는 소련과 미국이라는 거대 냉전 권력이 해방 직후 탈식민화 과정과 교차하는 접점의 공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면서 남북으로 분할된 두 진영의 사회적 정체성과 동아시아 냉전의 초기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the actual and imaginary space of literature, to meticulously examine its interaction and the ways literary imagery is formed to reveal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 and to further interpret the meaning of “space” divided under the Cold War system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with a new perspective. It also observes at how literary and geographical space interacts with “real space,” a material foundation, while following the spatial indicator in which Cold War is established to examine it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By taking issue of the literary and geographical theory, the writing strives to newly interpret the literary space Korean novels. Heo-Jun's “The Faint Lamplight(Jandeung)” and Chae Mansik's “Passing Road (Yeongno)”, which are both acclaimed as the best novels written in the period of liberation, have the common structure of “Traveling Road” and also the common traits of realistically drawing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Heo-Jun's “The Faint Lamplight” depicts the traveling road of returning from Changchun in Manchuria to Seoul and Chae Mansik's “Passing Road” is set in the train space that starts from Seoul to the Jeolla provinces that pass through Daejeon. After the liberation, the structure of Cold War was established under the divisional occupation of America and Soviet Unionl, leading to the division of geographical space. The “space” of Heo-Jun and Chae Mansik's pieces directly reflects the Cold War structure established around the U.S. and the Soviet Union right after liberation, and the reality of “liberation” in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ws different aspects in line with the ‘Cold War’ which requires attention. By focusing on the ‘Cold War’ represented by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and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toward it, the reality of ‘Cold War’ which was extrapolated in the period of liberation in Korea will be explored and through literary and geographical ‘space’, the writing will examine the situational cause that led to the division of the territory from the 38th parallel. In addition, by focusing on that ‘Seoul’, which was the final destination of Heo-Jun ‘The Faint Lamplight’ was set as the starting point at Chae Mansik's “Passing Road”, the meaning that ‘Seoul’ held as the ‘connective site’ in Korean railways will be examined from the aspects of ‘placeness’ established through movement in ‘space’ represented in both works. This study will in earnest discuss the ‘space’ of Korean literature in Cold War perio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eocriticsism and holds significance as the contemplative procedures of space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of Cold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