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읍 고사부리성 출토 「상부상항」명 인각와에 대한 연구

        이문형,이다운 중앙문화재연구원 2019 중앙고고연구 Vol.0 No.28

        The Sangbu and Busanghang stamped roof tiles from Gosaburi Fotress have the names of Obu and Ohang stamped on them. It is highly significant that they were found in Jungbang Fortress, an Obang (a local organization) rather than a central organization. By deciphering the two stamped roof tiles and examining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we examined the master craftsmen of roof tiles, the craftsmen who stamped the tiles, and the production system and its time period of the tiles. By examining the vestiges of the seal, the fonts, the strokes of the remaining letters, and the scars of the seal, we discovered that both Sangbu and Busanghang were stamped with the same seal. However, a big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between the two tiles reveals that the tiles were produced by different tile craftsmen. Especially, Sangbu tiles were produced by a tile craftsman with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ontents written on Sangbu Sanghang indicate that they were produced to record the donors. Given that the tiles were not excavated in Gongju, Buyeo or Iksa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were not produced in the central area but near Gosaburi Fotres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tiles produced by different tile craftsmen were stamped with the same seal indicates that it was not the tile craftsmen but the inspector who stamped the tiles, following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stamped-roof tiles with the name of Obu, often found in the central region. Stamped roof tiles show that they were from Baekje in terms of the written content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lthough there may be disagreements about the specific dates, we estimate they were produced in the mid-seventh century, based on the seal vestiges similar to those of Subu, and written contents quite different from the Obu stamped roof tiles from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고사부리성 출토 「上部??」와 「?部上巷」명 인각와는 五部와 五巷의 명칭이 새겨진 인각와로서 중앙이 아닌 지방을 편제했던 五方, 특히 中方城에서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두 인각와에 대한 판독을 비롯해 기와 제작기법을 통한 와공, 인장을 찍은 주체, 기와 생산체제, 생산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上部??」와 「?部上巷」은 인발, 글자체, 잔존 글자체의 획에 대한 판독, 그리고 인장의 상흔을 통해 동일한 인장으로 날인하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두 인각와는 제작기법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계통이 다른 와공에 의해 각각 생산되었음을 말해준다. 그중 「上部??」은 재지성이 강한 와공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上部上巷」은 표기 내용으로 보았을 때 기부한 곳을 명시하기 위해 생산한 기진용 기와이며, 공주・부여・익산에서 출토되고 있지 않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중앙이 아닌 고사부리성 인근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서로 다른 와공이 생산한 기와에 동일한 인장이 사용되었다는 것은 와공이 아닌 검사관에 의해서 날인되었고, 이러한 생산체제는 중앙에서 다수 출토되고 있는 오부명인각와의 생산체제를 답습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인각와는 그 표기 내용과 제작기법이 백제 기와임을 말해주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 않지만, 「首部」와 인발이 유사하다는 점, 7세기 전반의 오부명인각와 표기 내용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생산시기를 7세기 중엽 이후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능동형 RFID 시스템의 소비 전력 예측

        이문형,이현교,임경희,이강원,Lee, Moon-Hyoung,Lee, Hyun-Kyo,Lim, Kyoung-Hee,Lee, Kang-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8

        2.4 GHz 능동형 RFID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요인 중 하나는 배터리 수명 문제다. 그러나 현재 까지 소비 전력 예측을 위한 정확한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태그의 전력 소비를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충돌 제어와 query 명령어 사용 방법에 따라 6개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 하였다.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태그의 작동 모드를 몇 개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전력 소비와 작동 시간을 조사하였다. 태그 수집과 응답 확인 과정을 간소화 하는 Query command 명령 방법과 최근에 제안된 충돌 제어 알고리즘을 본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하였다. 소비 전력 이외에도 시스템 효율과 다중 태그의 인식 시간, 그리고 인식률과 같은 성능 지표를 구하여 기존의 ISO/IEC 18000-7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For the 2.4 GHz active RFID to be successful in the market, one of the requirements is the increased battery life. However, currently we do not have any accurat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which can be used to estimate power consumption of tag accurately. Six different simulation models are proposed depending on collision algorithm and query command method. To improve estimation accuracy, we classify tag operating modes as the wake-up receive, UHF receive, sleep timer, tag response, and sleep modes.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time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ag operating mode. Query command for simplifying collection and ack command procedure and newly developed collision control algorithm are used in the simulation. Other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throughput, recognition time for multi-tags, tag recognition rate including power consumption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urrent standard ISO/IEC 18000-7.

      • KCI등재

        淸州 松節洞 多重溝狀遺構 性格의 試論

        李文炯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청주 송절동과 봉명동지역 일대는 無心川邊으로 충적평야와 낮은 구릉성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의 많은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원삼국~백제시대에 이르는 대규모 매장유적이 보고된 지역으로 봉명동유적(Ⅳ지구)의 대규모 토광묘는 원삼국시대의 표식적인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분묘를 조성한 집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생활유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일부 한정된 지역에서 구상유구가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연접한 송절동지역 일대에서 기존 봉명동유적(Ⅳ지구)에서 보고된 다중구상유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구상유구가 조사되었다. 보고된 유적을 중심으로 다중구상유구의 범위를 추정해보면 명심산에서 분기한 북쪽 능선을 따라 봉명동-송절동지역까지 연결된 하나의 단일 유구로 판단된다. 송절동 다중구상유구는 능선의 방향을 따라 ‘―’자상의 선상 배치로 3중으로 축조되었으며, 방어적인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축조시기는 중복된 유구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이후에 축조되어 원삼국~백제시대 이전 혹은 거의 동시기에 폐기된 것으로 보이며, 내부에서 소토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인 폐기로 판단된다. 이러한 다중구상유구의 폐기는 송절동 일대의 주거집단 간의 통합에 따른 방어 기능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나아가 통합에 따른 생활공간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송절동일대 지역은 백제의 본격적인 세력확장과 더불어 기존 지역 주거 집단의 통합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 판단된다. A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dated to prehistoric and historic periods have been reported in the Songjeol-dong and Bongmyeong-dong in Cheongju where alluvial plains and low hills are developedalong the Musim River Valley. In particular, many burials dated to Proto-Three Kingdoms and Baekje periods have been unearthed at Bongmyeong site (District IV), and large pit burials at this site have been regarded as typical ones of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Up to now, however, residential sites directly related to the population to construct these burials are not been discovered except a few ditches. Recently, a ditch was found at Songjeol-dong near the Bongmyeong-dong site, and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that the ditch at Songjeol-dong can be connected to a multi-connected ditch previously found at the Bongmyeong-dong site. According to inference for the range of the multi-connected ditch based on available data, the ditch can be a single feature connected from Bongmyeong-dong to Songjeol-dong along a northern ridge branched from Mt. Myeongsim. According to writer’s interpretation, the multi-connected ditch might be trebly constructed in linear pattern along the direction of the ridge as a defense facility. Based on overlapped features with this ditch, this ditch is considered to be constructed not earlier than Bronze Age and destroyed at one time period between Proto Three Kingdomsand Baekje periods gradually or simultaneously. Fired clay found inside the ditch may imply intentional abandonment. The intentional abandonment of the ditch may also suggest that unificationof residential groups around Songjeol-dong made the function of defense unnecessary and that the unification asked to extend residential space. In conclusion, the ditch around Songjeol-dong may be archaeological data to suggest political expansion of the Baekjealong with unification process of preexisting groups in the region.

      • 파생상품시장의 투자심리와 주식수익률 예측에 관한 연구

        이문형,윤선중 한국재무학회 201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본고는 개인투자자들이 활발하게 거래하는 KOSPI200 파생상품시장(선물 및 옵션) 의 긍정적 거래량과 부정적 거래량 정보를 이용해 투자자 심리를 측정하고, 이러한 정 보가 KOSPI 지수의 월간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증한다. 또한 추정된 파생시장 심리지수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수 및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 심리지수 와 가지는 관련성을 VAR 분석을 이용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물시장의 심리지수와 옵션시장의 심리 지수는 모두 1개월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계수의 부호는 부의 값으로 투자자 심리에 의한 수익률의 과도반응현상을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개월 이상의 전망기간에서 투자심리지수는 유의성을 잃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지수의 일반 특성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VAR분석 결과,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 수(VKOSPI) 및 소비자심리지수는 파생거래 심리지수와 독립적 정보를 보유하고 있었 으며, 파생시장 심리지수에 비해 투자심리 측정에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 로, 금융위기 전후의 분석에서는 금융위기 전에는 선물시장 투자심리가 주식수익률의 예측력이 컸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옵션시장 투자심리 만이 예측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도(古都)지구 현상변경시 문제점과 대안 - 익산 고도지정 지구를 중심으로

        이문형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1

        If we classify distribution of ruins in Iksan located in the northwest of Jeollabuk-do, they may be divided largely into Geumgang basin area with the landmark of Ypjeom-ri tomb cluster and Geumma area in which the relics related to the ancient capital such as Mireuksa Temple site, royal palace etc. are placed. As if to prove this, Iksan was designated as an ancient capital along with Gyeongju, Gongju, and Buyeo when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Special Act on Conservation of Ancient Capitals (Ancient Capitals Conservation Act)」in 2004. An ancient capital could be defined as a place that served as the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ast, and has played a role of project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symbolism. In reality, however, the residents in the ancient capital area are experiencing relatively lots of difficulties caused from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In other word, it might be said that the challenges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re still ongoing issues due to the peculiarity of cultural heritage sites. Chapter Ⅱ in this study briefly summarizes the original objective and revised process of the cultural property law which was enacted in relation to the ancient capitals. In sum, the「Ancient Capitals Conservation Act」was revised several times, and finally changed to the「Special Act on Conservation and Forstering of Ancient Capitals (Ancient Capitals Fostering Act」in 2011. It can be said that it was revised for ‘conserving and fost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the ancient capitals and at the same time for ‘improving the lives of the residents’ as was purported originally. Chapter Ⅲ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apital district in Iksan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its statu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ancient capital district in Iksan is that the natural landscape remains in relatively good state compared to other ancient capital districts, while a disadvantage is that there is no Baekje-related heritage in Geumma-myeon which was designated as a pilot district of an ancient capital. As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policy changed recently to a wide-area landscape conservation policy in Korea, frictions with the residents arose. Moreover,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status became complicated and related expenses were required, since the pilot district of an ancient capital was re-designated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district'. There are quite a number of civil complaints being filed actually in this regard.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is dilemma can be solved through a consistent cultural policy, transparent and prompt information disclosure, and support for the residents concerned with the ancient capital district. 전라북도 북서쪽에 위치한 익산의 유적 분포를 살펴보면 입점리고분군을 표식으로 하는 금강유역과 미륵사지, 왕궁 등 왕도와 연관된 유적이 분포한 금마(金馬)지역으로 크게 양분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듯 2004년 정부의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고도보존법)」제정에서 경주, 공주, 부여와 함께 익산이 고도(古都)로 지정되었다. 고도는 과거 우리민족의 정치·문화적 중심지 기능을 했던 곳으로 국가적 차원의 정체성과 상징성이 투영된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상대적으로 고도지역 주민은 문화유산의 보호로 인해 파생되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문화유산의 특수성으로 인해 보존과 개발이라는 난제(難題)는 현재에도 진행형이라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고도와 관련하여 제정된 문화재법령의 원래 목적과 개정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도보존법」은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011년 「고도보존과 육성에 관한 특별법(고도육성법)」바뀐다. 원래 취지의 고도의 역사문화환경을 ‘보존·육성’하고 ‘주민의 생활 개선’ 이라는 측면으로 개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익산 고도지구의 특징과 해당지역에서 현상변경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익산 고도지구는 타 고도지역에 비해 자연 경관이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고도시범지구로 지정된 금마면 소재지에 백제 관련 유산이 없는 것이 단점으로 꼽고 있다. 최근 문화재 보호정책이 광역의 경관보호 정책으로 변화하면서 이에 따른 주민과의 마찰이 대두되는가 하면, 고도시범지구가 ‘역사문화환경지구’로 지정되면서 현상변경의 절차가 복잡해지고 이와 연관된 경비가 소요되면서 적지 않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고도지구에 대한 일괄된 문화 정책, 그리고 투명하면서도 신속한 정보공개, 나아가 주민지원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고고학 자료로 본 익산 쌍릉 피장자

        이문형 한국고대사학회 2022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6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were re-examined follow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erson buried in the tomb of the great king dur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reporting the data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new facts that were not previously known were confirmed, which ultimately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to broaden the awareness of the royal tombs in the late Baekje period.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based on the archaeological data to understand the order of incidents between the tombs of the great and small kings as well as the personage buried in the tombs. In chapter II, examined were not only the exact size of the stone chamber but also the possibilities of 1) a royal cemetery (陵園), 2) application of Banzhu (版築) technique, 3) use of Southern Dynasty’s scale (南朝尺), and 4) a reserved tomb (壽陵)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Furthermore, a natural scientific analysis of human bones (102 specimens) unearthed from the tomb of the great king evidenced that the deceased was an elderly male taller than average who died before or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nd ate mostly high-caloried foods. In Chapter Ⅲ, the ancestral relationship of the Twin Royal Tomb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excavated relics and th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For this purpose, first, the Twin Royal Tombs were compared with the stone chamber tombs of the royal cemetery in Buyeo, which revealed that the Twin Royal Tombs faithfully followed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other royal tombs in Buyeo, proving that the Twin Royal Tombs were royal ones since they are not inferior in scale in the slightest. In addition, judging from the ceiling type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from which excavated was a silver flower crown representing the true aspect of the bureaucratic rank system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it was believed that the tomb in the middle below (中下塚) was the one for King Seong (聖王), the one below east (東下塚) was for King Wideok (威德王), the one to the west below (西下塚) was for King Hye (惠王), and the one to the west above (西上 塚) was for King Beop (法王), respectively. Moreov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Twin Royal Tomb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omb of the small king was built prior to the one of the great king. In particular, the jade ornaments unearthed from the tomb of the great king confirmed to be the decorations of the belts worn by the highest class at the time of Baekje, based on the examples of the artifacts unearthed from the tombs of the Sui (隋) and Tang (唐) emperors in China. Taking the above facts into account, the person buried in the great king tomb of the Royal Twin Tombs in Iksan was supposed to be the 30th King ‘Mu’ of Baekje, who died in 641. Chapter IV examined the genealogy of King Mu and his queen in the literature records. Through this, it was presumed that King Mu was the son born of an abnormal marriage expressed as a dragon born in the pond (池龍), and King Mu’s first queen was considered the Princess Seonhwa who founded Mireuksa Temple. In the end, by correlating the archaeological data reviewed above with the records of the literature, it could be summed up that the person buried in the great king tomb was ‘King Mu (武王)’ and the one buried in the small king tomb was ‘Princess Seonhwa (善花公主)’. 익산 쌍릉은 일제강점기 자료를 정리하고 보고하는 과정에서 대왕릉의 피장자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인하여 再조사되었다. 그 결과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사실들이 확인되었으며, 궁극적으로 백제 말기 왕릉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본 논고는 고고학 자료를 토대로 쌍릉의 구조와 특징을 검토하여 대왕릉과 소왕릉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고 그 피장자를 살펴본 글이다. Ⅱ장에서는 쌍릉의 조사 결과 석실의 정확한 규모는 물론이거니와 1) 능원의 가능성, 2) 판축기법의 응용, 3) 남조척의 사용, 4) 수릉의 가능성 등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대왕릉에서 발견된 인골의(102개체) 자연과학적 분석 결과 그 주인공은 7세기 전·중반경에 사망한 노년층 남성으로, 평균 이상의 身長을 가진 고칼로리성 음식을 주로 섭취한 사람으로 파악되었다. Ⅲ장에서는 횡혈식석실과 출토유물 등을 통해 쌍릉의 선후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여 왕릉원의 석실과의 비교를 통해 쌍릉 역시 부여 왕릉의 구조와 속성을 충실하게 답습하고 규모에 있어서도 뒤지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왕릉이 확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백제 사비시기의 관등제의 실상을 대변하는 銀花冠飾이 출토된 횡혈식석실분의 천장유형으로 볼 때 중하총은 聖王, 동하총은 威德王, 서하총은 惠王, 서상총은 法王의 능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쌍릉은 석실의 구조와 출토유물의 분석을 통해 소왕릉이 대왕릉보다 먼저 축조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대왕릉에서 출토된 玉 장신구는 중국 隋·唐 황제릉의 출토품 사례로 보아 당시 백제 최고위 계층이 착용한 허리띠 장식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익산 쌍릉 대왕릉의 피장자는 641년에 사망한 백제 제30대 ‘무왕’으로 비정된다. Ⅳ장에서는 문헌기록상의 무왕의 출계와 무왕의 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왕은 池龍으로 표현된 비정상 결혼에서 출생한 아들로 추정되며, 무왕의 첫째 왕비(妃)는 미륵사를 창건한 선화공주로 검토되었다. 결국 앞 서 살펴본 고고학 자료를 문헌기록과의 연관성으로 볼 때 쌍릉 피장자는 대왕릉은 ‘武王’, 소왕릉은 ‘善花公主’라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 KCI등재

        최근 고고학적 성과로 본 익산토성의 성격

        이문형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8

        익산토성은 오금산 줄기의 정상부(해발 125m)에 축조된 포곡식 산성이다. 익산토성은 일명 ‘오금산성(五金山城)’ 또는 ‘보덕성(報德城)’으로도 불린다. 익산토성은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익산토성은 석축성이다. ②기존 알려진 남문지는 새롭게 확인된 서문지(폐쇄)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개축된 것이다. ③익산토성은 북성벽(외성벽) 하부에서 확인된 주공열과 기존에 조사된 남문지 서측 판축토루 등을 종합해 볼 때 토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④익산토성의 남동모서리(Ⅲ-2구역)에서 기존 성벽과 다른 축조 방법과 석재 등으로 보아 백제시대 익산토성의 평면 형태는 지금과 다른 모습일 가능성이 있다. 익산토성에서는 출토된 유물 대부분이 백제시대 유물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익산토성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로 「北舍」銘 토기편과 「首府」銘 인장와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북사」명 토기편과 「수부」명 인장와는 부여와 익산 지역에 한정되어 왕실 관련 유적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익산토성은 금마 지역의 이원적 방어체계 내에서 왕궁과 미륵사의 중간 연결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익산 왕궁의 피난성으로 해석된다. Iksan Earthen Fortress is a mountain fortress of Pogok type (包谷式) built at the top of Ogeumsan Mountain range (125m above sea level). It is also called ‘Ogeumsan Mountain Fortress (五金山城)’ or ‘Bodeokseong Fortress (報德城)’. The excavation results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may be summed up as follows: ①Iksan Mountain Fortress is a stone-built castle. ②The south gate (南門址) which was already discovered seems to have been re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judging from the newly confirmed site of west gate (西門址) (closed). ③Considering the row of pillar holes f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northern wall (outer wall) of Iksan Earthen Fortress and the existing investigation of the stamped earthwork mound on the west side of the south gate, the possibility that it must be an earthen fortress cannot be ruled out. ④Judging from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tone materials used in the southeastern corner (section III-2) of the Iksan Earthen Fortres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walls, it is possible that the planar shape of Iksan Earthen Fortress during the Baekje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 one. Most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Iksan Earthen Fortress are from the Baekje period. In particular, the pottery with inscription of ‘Buksa(北舍)’ and roof tiles with stamped letters ‘Subu(首府)’ are the representative relics that display very well the character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such relics have been excavated only in the royal family-related ruins, limited to Buyeo and Iksan. Considering that Iksan Earthen Fortress is located on the midway link between the royal palace and Mireuksa Temple within the dualistic defense system of the Geumma area, it is interpreted as a refugee castle of the Iksan royal pa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