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연발표 : 세포전문병리사 수급에 관한 기초연구

        이문정,김순재,한명기,우희숙,윤석준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9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9 No.-

        배 경 의료시장 개방 등 보건의료 환경변화 속에서 국내 세포병리검사 부분의 효율성과 전문성향상을 위하여 세포전문병리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세포전문병리사의 현재 공급량에 대한 적정성을 살펴보고, 2016년 수급비교를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2006년 세포병리협회에 등록되어있는 세포전문병리사 365명의 인구학적 특성과 설문지를 이용한 생산성 파악을 통해서 2016년 수급비교를 실시하였다. 양성기관과 교육기간을 조사하고 유입과 유출에 의한 분석으로 공급추계를 실시하였고, 인구 수와 세포병리사의 비, 의사 수와 세포병리사의 비, 의료이용량 분석 후 추계, 종합병원 병상 수 변화, 국내 판독권장 상한선 적용 시 생산성을 세포전문병리사 수요추계 근거로 사용하였다. 결 과 수급비교 결과는 수요추계 근거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2016년 세포전문병리사 수는 추정 인구와 의료이용량추계에 따르면 과잉공급이 예상되고, 의사 수 대비, 국내 판독권장 상한선 적용 시, 종합병원 병상 수와 근무의사 수에 근거하면 공급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 찰 근거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하나의 변수에도 결과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추계연구의 한계를 인식하여야 한다. 세포전문병리사의 국내 자격제도 실시 이후 처음 시도된 본 연구는 의료시장 개방과 의료서비스 표준화 등 사회적인 변화가 예고되는 시점에서 세포병리검사의 인적 효율성을 재고해보는 의미를 가진다. 더불어, 현재 세포병리사의 실태파악과 적정량 분석의 기초 자료가 되어 향후 수급계획 수립과 전문병리사제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청각장애청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 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문정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a structural relationship exists among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young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propose a carer decision making model by identifying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2 people who have graduated from or are attending at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career barriers scales, career decision making scal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s. An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through Path analysis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lso conducted. First, it is found that career barriers has negative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econd, it i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has positive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Finding also suggest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barriers. Based on the finding, it is offer various career counseling programs about reduced career barriers and improv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young adult with hearing impairment. 본 연구는 청각장애청년의 진로장벽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18-34세 청각장애청년 222명으로 진로장벽,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결과 진로장벽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의사결정에 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의 경로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청년들의 진로상담을 위한 주요한 시사점은 청각장애청년이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에 대해 파악하고 감소시키고 조력해주는 집단상담 및 멘토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울러 개인 심리 상담을 병행하여 청각장애청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영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이문정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영아교육에 대한 어머니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취업모와 비취업모 사이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취업모와 비취업모 모두 현 영아교육에 대해 만족을 못하고 있었으며 자녀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취업모와 비취업모 모두 5명 이하의 규모로 애정적인 교사에 의해 놀이중심으로 운영되는 영아교육을 원하고 있었으며 부모 참여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다만 영아교육 기관의 운영 시간과 교육비에서는 취업모화 비취업모에 따라 선택의 여지가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parent’s perception and need of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The Questionnaire divided into 2 areas(the basic perception of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 the need of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was mailed to 400 parents and 305 responses analyzed. χ2, t-test, percentil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 was the most parents, both of the working and not working, unsatisfied the current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But their need was very divers in the working mothers and the home-stayed mothers. The working mothers want more care services and home-stayed mothers need more educational.

      • 간선급행버스(BRT) 정류장 우선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이문정,이정환,김형준,이동우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최근 신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BRT(Bus Rapid Transit, 간선급행버스체계)는 지난 2004년부터 서울, 경기, 세종 등 여러 지역에 거쳐 도입되었으나 서비스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완성도 높은 BRT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들이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RT의 서비스 수준 향상과 정체성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정류장 시스템 개선’에 주목했으며, 승하차인원과 노선 개수, 지하철역 인접 여부, 인근 주거단지 규모 등을 기준으로 BRT 전용 정류장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점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BRT 전용 정류장의 우선입지를 지하철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과 승하차인원, 인접 주거단지 규모 등 ‘수요’의 측면에서 간략하게 분석해보았으며, 특히 교통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교통 수단 간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지점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교통 공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윤리의 재공식화를 위한 여정 : 마크 퀸의 작품에 나타난 이중 전략

        이문정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美學·藝術學硏究 Vol.54 No.-

        Marc Quinn's work explores how personal and social values are formed, realized, and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s, and pores over unsettled boundaries,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heterogeneity, and expression of individuality and difference. Hence, Quinn depicts the extreme difference which is hard to be tolerated or the subject's situation that cannot be wholly explained in any language, and presents the events that their meanings are fixed or changed in a moment. He also shakes public order and norm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the truths, by inheriting and dismantling the classical tradition. His work, which is reconsidering the value of diversity(difference) that should be regarded as incompatible, makes you reserve the value judgment and highlights the journey of exploring the meaning. Quinn's work expresses in this way herethics of sexual difference that Julia Kristeva argued. Kristeva attempts the reformulation of ethics as a model for an alternative ethics escaping from restrictions and repression through poetry, maternity, and psychoanalysis, not ethical questions or submission to the law. As Kristeva did, Quinn interprets and depicts Christianism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while he reveals religion is an illusion that satisfies human wishes. And he shows delusions of love that human beings chase and crave, and suggests that the history of mankind may be artificially constructed and distorted. Religion, value, and history are all relative and fluid that the subjects build and change. He also quests for the subject's identity, personal and social roles through portrait sculptures of people who have had their bodies amputated. He reveals that new value and new look suitable for the changing subject and world are required by reproducing beings who are derogated and defined as abnormal in a rash moment just because they are different. Lastly, Quinn practices art in the way of embracing differences by reproducing a pregnant body and motherhood. Quinn's work formulates his philosophy based on the reality containing truths of an endlessly changing world, which is subtle, complicated, and diverse, so that he tolerates heretical herethics that ultimately embraces heterogeneity and alterity. 마크 퀸(Marc Quinn)의 작업은 인간 개인과 사회의 가치관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형성되고 실현되며 해석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동시에 불안정한 경계, 동일성과 이질성의 관계 재정립, 개별성과 차이의 표현 등에 주목한다. 이에 퀸은 용납하기 어려울 정도의 극단적 다름이나 언어로는 온전히 설명할 수 없는 주체의 상황을 재현하며, 한 순간에 의미가 고정되거나 전환되는 사건들을 제시한다. 또한 고전적인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해체시켜 진리처럼 여겨지던 질서와 규범을 흔든다.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다양성(다름)의 가치를 재고하는 그의 작업은 모든 가치 판단을 유보시키고 의미를 탐구하는 여정을 강조한다. 이와 같은 퀸의 작업은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주장했던 이단/여성 윤리(herethics), 즉 차이의 윤리를 재현한다. 크리스테바는 제한과 억압을 벗어난 대안적 윤리의 모델로 도덕에 관한 질문이나 법에 대한 항복이 아닌, 시적 언어, 모성, 정신분석을 통해 윤리의 재공식화(reformulation)를 시도한다. 크리스테바가 그랬듯, 퀸은 종교가 인간의 소망을 충족시켜주는 환상임을 드러내는 한편 기독교의 교리를 동시대적으로 해석하고 재현한다. 인간이 추구하고 갈망하는 사랑이 가진 허상을 보여주고 인류의 역사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고 왜곡될 수도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교, 가치, 역사는 모두 수많은 주체들이 만들어나가고 변화시키는 상대적이고 유동적인 것이다. 퀸은 또한 자신의 육체를 개조한 사람들의 초상 조각을 통해 주체의 정체성,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역할을 탐구한다. 단지 다르다는 이유로 한 순간에 평가 절하되고 비정상으로 규정되는 존재들을 재현함으로써 변화하는 주체와 세계에 맞는 새로운 가치와 새로운 시선이 필요함을 피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퀸은 일반적이지 않다고 여겨지는 임신한 몸과 모성을 재현함으로써 차이의 포용을 예술로 실천한다. 이와 같은 퀸의 작업은 미묘하고, 복잡하며, 다양한, 끝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진실을 담아내는 현실에 근거한 철학을 완성하여 궁극적으로 이질성과 타자성을 포용하는 이단적 여성 윤리를 실천한다.

      • KCI등재

        나와 코헤이의 작품에 나타난 다의적 중간 지대

        이문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polysemous middle zone, created by Kohei Nawa’s works, makes it possible to think in a way disintegrating the uniformity of notions. To this end, Rudolf Steiner’s theory, concepts related to posthumanism and hybridit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life and death were applied. First of all, Nawa’s PixCell series reflects the reality of the digital age, where a real object transforms into pixel images. The approach of turning pixel images into a physical sculpture maximizes visual and tactile senses. He emphasizes the property of materials in order to explore the nature of matter and the human experience of sensing and thinking it. As a result, his PixCell series creates an in-between space where matter and images, physical and digital senses, and real and virtual worlds exist together. Second, the Beads and Polygon series, reminiscent of a new variety from genetic manipulation, and the Trans series, which reproduces the mixed subject of the posthuman era, 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human and non-human, machine and organism, and original and replication. Nawa’s sculptures present an existence, not fixed but constantly changing and redefining itself. Third, Liquid and Foam series show that the space of life and death are not clearly separated by intuitively revealing creation and extinction as a perpetual continuum. As the creation and burst of bubbles, the principle of cells shows that death is a necessary condition to maintain life and a driving force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he world. To be brief, Kohei Nawa creates the middle zone where reality and virtuality, material and image, sense and mind, purebred and hybrid, and creation and extinction, which used to be considered confrontational, coexist and interact to generate various meanings simultaneously. 본 논문은 나와 코헤이(名和晃平, Kohei Nawa)의 작품이 만들어 낸 다의적 중간 지대가 어떻게 고착된 관념을해체하는 사유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이론,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혼종성과 관련된 개념들,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논의 등이 적용되었다. 첫째, 나와의 <픽셀(PixCell)> 시리즈는 실재하는 오브제가 픽셀(pixel)화된 이미지로 전환되는디지털 시대의 현실을 반영한다. 한편 픽셀 이미지를 물질적 조각으로 환원시키는 작업 방식은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감각 경험을 강조한다. 나와는 물질의 본질, 그것을 감각하고 사고하는 인간의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재료의 물성을 부각시킨다. 결과적으로 <픽셀> 시리즈는 물질과 이미지, 신체적 감각과 디지털적 감각, 현실과 가상세계가 공존하는 사이 공간을 창조한다. 둘째,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새로운 변종을 연상시키는 <비즈(Beads)> 와 <폴리곤(Polygon)> 시리즈, 포스트휴먼 시대의 혼종적 주체를 재현한 <트랜스(Trans)> 시리즈는 인간과 비(非)인간, 기계와 유기체, 자연과 인공, 원본과 복제 사이의 대립 구조를 해체한다. 나와의 조각은 고정된 정체성을 벗어나 끝없이 변화하고 재정의되는 과정 중의 존재를 제시한다. 셋째, <리퀴드(Liquid)>, <폼(Foam)> 시리즈는 생성과 소멸이 무한 반복되는 연속체임을 직관적으로 드러내어 삶과 죽음의 영역이 완벽히 분리된 것이아님을 보여준다. 세포의 원리를 담아내는 거품의 생성과 소멸이 보여주듯 죽음은 생명을 유지시키는 필수 조건이자 세계 속 존재의 의미를 숙고하게 해주는 원동력이다. 이처럼 나와 코헤이는 이분법적 대립항으로 여겨지던실재와 가상, 물질과 이미지, 감각과 정신, 순종과 잡종,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의미를동시다발적으로 생성하는 중간 지대를 창조한다.

      • KCI등재

        유아 예비교사의 책읽기 효능감과 읽기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문정,심성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6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of reading book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targeted 291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 university, college located in Kyong Gi Do and Chung-Cheong Do.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correlation of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reading efficacy is above average. Also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of reading book is above average too. Finally ther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reading efficacy. Especially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sub category of teaching efficacy of reading. That is the preliminary reading of time early childhood teacher can see the importance of reading to teaching efficacy. Keyword : Pre-service teacher, reading efficacy, teaching efficacy of reading, personal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책읽기의 효능감은 어떠하며 읽기교수의 효능감은 어느 수준이며 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책읽기 효능감과 읽기교수 효능감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와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학생 24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책읽기 효능감과 읽기교수 효능감 질문지의 문항은 각각 37, 21문항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책읽기 효능감은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 영역에서 독해력과 생리적 상태의 효능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읽기교수 효능감은 중간 이상이었으며 개인교수 효능감이 교수결과 기대 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책읽기 효능감과 읽기교수 효능감은 유의하게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범주에서는 책읽기 효능감의 경우는 하위 범주 모두에서 개인교수 효능감과 관계가 있었으나 교수결과 기대감에서는 사회적 피드백 범주와만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경계와 이질성의 재구축 : 안드레 세라노(Andres Serrano)의 작품에 재현된 타자성

        이문정 한국미술이론학회 2016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2

        본 논문은 안드레 세라노의 작업이 갖는 의미를 타자성의 담론 속에서 파악하고, 그 예술적 가치를 재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라노는 사회정치적 이슈에서부터 종교적 상징과 신성에 이르는 주제를 넘나들면서 타자의 의미, 주체와 타자 사이의 관계, 위치의 전환 등을 탐구한다. 또한 타자성이 평준화되고 권력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명확한 하나의 입장이나 성명을 제시하는 것을 경계하고 다양한 질문과 해석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주력한다. 다중부정을 지향하는 주변화된 분석가이자 해석자로서의 예술가를 지향하는것이다. 궁극적으로 그의 사진은 상층부와 하층부, 천상과 세속, 신과 인간, 영혼과 육체, 신성과 물질성처럼 서로 반대된다고 여겨지는 대립항들을 결합시키고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세계의 양가성을 이끌어낸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aesthetic value of Andres Serrano’s work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iscourse of otherness. In dealing with a range of subject matters implicated in a variety of issues from politics to religious symbols and divinity, Serrano consistently highlights the way in which the category of otherness can be critically examined at locales of subjectival formation or its transformations. However, this critical observation is not to suggest any monolithic or hegemonic image of otherness: Without any particular attachment to social or locational specificity, the other in his work comes off as a kind of ontological aporia, whose affects and traces prompt questions and interpretations. Seen in this sense, an artist, according to Serrano's view, is the one who remains in the perpetual cycle of questions and negations, haunted as he is by the shadow of the other. In this ambivalent mode of questions and self-doubt, his photographic works all tend to question or reinterpret the distinction drawn between conceptual or cultural opposites in representation such as sacred and secular, God and man, soul and body, divinity and materiality.

      • KCI등재

        장애청년의 장애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이문정,나운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0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a structural relationship exists among disability 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a career decision making model by identifying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01 people who have graduated from or are attending at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An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through Path analysis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lso conducted.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disability 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rticipants' career decision making. Namely, higher degree of disability identity, stronger social support,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and decrease in career barriers positively influenced participants' career decision making.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barriers,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identity among participants. Based on the findings, it can be inferred that more effort to develop feasible and practical policies to facilitate employment and social integration for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Further, disability resources centers a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create and implement a service delivery program to improve disability identity, strengthen social support, lower the career barriers, and enhance self-efficacy for college attending student with disabilities. Finall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must pay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order to help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are attending at or have graduated from colleges to choose and realize his or her desired career goals. 이 연구는 장애청년의 장애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진로의사결정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장애청년의 진로의사결정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18세-34세 장애청년 601명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결과 장애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장애청년의 진로의사결정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장애청년의 진로의사결정 최종모형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 사회적 지지와 진로의사결정, 장애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 간의 경로에서 부분매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청년의 진로․취업과 사회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