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소통학회 20주년 기념 : 한국소통학보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이명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소통학회의 20주년을 기념하는 4분야의 특별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한국소통학보 논문 동향 분석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소통학회의 학술지인 한국소 통학보의 20년의 발자취를 뒤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보 20년의 거시적 시간 속에서의 논문 형태의 동향들과 게재된 논문들의 각각 의 미시적인 연구 동향 유목화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논문형식 자체 변화는 20년 학술지의 변화 (권 과 호), 논문 양 (한국어, 영어, 논문증가량)의 변화, 논문 투고 자 (소속대학, 개인 또는 공동 연구, 대학 외 연구기관, 외국연구기관)의 동향, 방법론 (양적 또는 질적) 동향에 관한 분석이다. 그리고 20년 362개 논문 주제들의 동향을 연 구주제어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또는 양적 방법으로 분석 을 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접근으로서는 진행형 사회학의 개념을 사용했다. 그 결과로 서, 한국소통학보 20년 역사에서 학보는 학보 자체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면서 다 양한 연구 특히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연관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 그리고 국제적 소통 관련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의미 있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소통학보는 다양한 게재논 문을 통해 사회와 사람들에게 ‘확장’과 ‘다양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주고 있다고 보인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JSMCR), which is part of a special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The study reflects on 20 years of recognizing the present and looking forward. Researchers analyzed 364 papers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based on changes to the journal, the journal registration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s. The concept of progressive sociology was used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analysis. During the 20-year history of JSMCR, the journal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and published meaningful research on current affairs. In particular, it delivered 'expansion' and 'diversit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among people through research and papers.

      • KCI등재
      • KCI등재

        마틴 구티에레즈의 패션미디어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 표현 -주디스 버틀러와 아테나 아타나시오우의 박탈(Dispossession) 개념을 중심으로-

        이명선,임은혁 한국의류학회 2023 한국의류학회지 Vol.47 No.2

        The boundaries between fashion and contemporary art are increasingly blurred showing their inter- changeability. This study examines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to ana- lyze expressions of gender, racial, and class identity in Martine Gutierrez's representative work, Indigenous Woman. First, gender expressions in Indigenous Woman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performative and prac- tical gender as an image that rejects norms that grant authority according to the possession of innate body parts. Second, racial identity is expressed through resistance to the ideology of whiteness and imperialism re- inforced by fashion media. The author aims to overcome normative stereotypes through the media she creates, which reveals her identity as a person of color. Third, class identity is represented through stereotypes that lim- it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 to primitive and natural things. The author reveals a critical awarenes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ese stereotypes have created. This study analyzed con- temporary artworks using fashion media through the concept of disposs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aising a critical awareness of the practices that diffuse minority identities in fashion media.

      • '더 나은' 성과 성적 친밀성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硏究論叢 Vol.28 No.-

        인간에게 성이란 무엇인가? 인간관계에서, 성관계는 다른 행위와 어떻게 구분되는가? 성관계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간의 관계는 어떻게 다른가? 우리는 악수와 같은 '일상적' 행위와 '성관계'라는 행위가 상대적으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하거나, 후자에 보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성관계라는 행위가 다른 행위와 구분되어 특별하게 여겨지는 주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루밤을 자도 만리장성을 쌓는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하루밤 즉 최소한 한번의 성관계만으로 만리장성처럼 길고 긴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음을 함의한다. 일반적으로 성관계는 보다 친밀한 관계에서 가능하거나, 친밀함을 결과한다고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성관계를 가진 사람의 관계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그리고 다른 관계 '보다' 더 친밀한 관계로 구분된다. 인간관계에서 친밀함은 여러가지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성적 친밀성은 특히 성관계를 매개로 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렇다면, 성적 친밀성의 구체적 의미와 내용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을 갖고, 이 글에서는 '성관계는 하나의 신체언어이다'라는 명제를 통해 성적 친밀성의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 신체언어로서의 성관계를 설명하고, 2장에서는 현재 우리사회에서 나타나는 성적 친밀성의 내용을 검토한다. 1, 2장을 기초로 3장에서는 '더 나은' 성관계의 조건과, '더 나은 성'이 '더 나은 성적 친밀성'을 결과함을 살펴보려 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더 나은' 인간관계의 경험으로서 성적 친밀성의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1)

      • KCI우수등재

        산업장 근로자의 성별특성에 따른 건강습관 비교분석연구

        이명선 한국환경보건학회 1996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industrial workers health habits by sex. Data was collected from 900 workers at 57 industries in Inchon. Th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from the analysis of health examination rec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of women were 20-30 years age group(44.3%) and of men were 30-40 years one(45.6%). As for the marital status, 48.1% of women were single and as were 30% of men. High school graduates were over 62.2% of both sex, 32.5% of the men and 58.0% of the women worked between 1 and 5 years. 2. As far as the health habits, women practiced better than men in smoking, drinking and breakfast habits while men practiced better than women in exercise, sleeping and snack habits(p<0.001). 3. According to the odds ratio of health habits by sex, gender was related to health practices in the present study, men had worse health habits than women by 139.83 times in smoking, by 6.97 times in drinking consumption(p<0.001). And as for eating regular breakfast habits, women had better health habits than men by 2.53 times(p<0.001). 4. Good health practice scores(5-7) were 25.0% in women and 12.6% in men and those had bad health practice (0-4) were 75.0% in women and 87.5% in men(p<0.001). 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health habits by sex, men had worse health habit than women by 114.5 times in smoking, by 3.1 times in alcohol consumption more than once per week in control of the other factors. Women had better health habits than men by 4.5 times in regular breakfast habits. 6. Health habi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ood health status among men, but the relationship was nonsignificant in the women. According to the odds ratio, men who had bad health habits were poorer health status than who had good health habits by 1.95 times(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