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공인 CEO의 개인적 자질과 지식경영 실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루리,이소영,Lee, Ru-Ri,Lee, So-Young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성공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소공인 CEO의 특성을 파악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지식경영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지식경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소공인이 성공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소공인CEO의 대인유연성과 스트레스 내성이 직접적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에 더 나아가 도전정신과 글로벌 역량이 지식경영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소공인 CEO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공인의 글로벌 역량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소공인의 스트레스 내성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공인의 도전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지식경영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소공인의 대인 유연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지식경영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술 집약형의 소공인 업체가 적은자원을 투입하고도 스스로 활성화가 가능한 지식생태계를 구축하여 경영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풍부한 지식경영의 노하우를 보유한 소공인이 지적자산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렇게 얻어진 지식을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시장가치로 전환 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그 것이 성공적인 기업성과를 창출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식경영에 기술을 통합하는 최선의 방법과 소공인 CEO가 지식경영에서 얻어진 경험, 직감, 신념 등의 가치가 성공적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어떻게 탄생할 것인가를 주목하고 인식하여 의지를 다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When we assume the transition to a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what factors should be differentially add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EOs of small enterprises to enhance management performance? This can be done by measuring the core competence of the CEO who is an importance asset of the small firm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four inquiri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re competence of the CEO,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rms. First, we test the influence of the core competence of CEO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we explore the effects of CEO characteristics on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rm. Third, we test whether knowledge man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EO which is a parameter,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irm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th, for the sake of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EO of the small firms, we conduct t-test or multiple comparison to find ou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eans of the main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O, which influence the business performance:the global competence, challenge spirit, interpersonal flexibility and stress tolerance, in connection with the knowledge management of small firms.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CEOs can demonstrate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rather than measuring business performan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profit and loss statements in this era of uncertainty.

      • KCI등재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사회심리학적 연령 간 차이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메시지의 유형

        이루리(Luri Lee),고서진(Sujin Ko)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3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자신의 실제 연령 뿐 아니라 인지적 연령, 이상적 연령 등 마음속에 여러 나이를 가지고 있다.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실제 연령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회심리학적 연령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진행되기는 하였으나, 관련 연구들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사회심리학적 연령과 실제 연령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의 차이가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실제 연령과 어떤 사회심리학적 연령과의 차이를 상기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해석수준의 광고 메시지를 선호하며, 이러한 효과가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해 실험을 설계·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사회심리학적 연령 간 차이는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연령이 30대인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간의 차이는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 간의 차이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면, 실제 연령이 20대인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간 차이와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30대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간의 차이를 상기한 소비자는 낮은 해석수준의 광고 메시지를 접했을 때 제품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 간의 차이를 상기한 소비자는 높은 해석수준의 광고 메시지를 접했을 때 제품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대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서로 다른 사회심리학적 연령과의 차이를 상기한 소비자들 간에 광고 메시지의 해석수준에 따른 제품 구매의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사회심리학적 연령의 차이가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연령 간의 차이들이 광고 메시지의 해석수준과 어떠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구매 시 연령을 민감하게 고려하는 상품 중 하나로 분류되는 화장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s, consumer ag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for market segmentation and targeting. Many previous studies argue that the age of a consumer is the key variable which influences his or her life values, attitudes, and patterns of behavior. However, not only chronological age, but also social-psychological age such as cognitive and ideal age may affect consumer decision making. Recent studies of the effects of social-psychological age on consumer decision making argue that these types of age are better predictors of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s than chronological age because they more directly reflect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s and needs. Although the psychological side of consumer age is very important, most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chronological age. In addition, even if social-psychological age can be classified diversely, a few studies to date have looked at various types of the social-psychological age simultaneously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purchase or consumption. For example, cognitive age (the age at which one perceives or feels about oneself) can be distinguished from ideal age (the age at which one aspires or desires to be like). Also,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we posit that social-psychological age must be examined within the correlation with chronological age since it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psychological 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discrepancies between chronological and social-psychological age and how such discrepancies differ depending on the chronological age group. Also, we examine such discrepancies as important in predicting a different consumer response to advertisements. Based on the concept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CLT, we propose that consumers with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cognitive age respond differently to advertisements from those with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ideal age. We particularly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age discrepancy and advertisements are moderated by the chronological age group, thereby expanding an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role of consumer age from a mor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We conducted an experiment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the two types of social-psychological age varies depending on the chronological age group. The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30s when calculated with the ideal age compared to the cognitive ag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or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20s. That is, both cognitive and ideal ages were almost identical to chronological age for these consumer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ond,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ge discrepancy and advertisements on purchase intention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chronological age group. In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30s, the group that perceived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cognitive age showed more favorable purchase intention for the low construal message, while the other group with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ideal age presented more positive purchase intention in response to the high construal message.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20s.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미세플라스틱이 Pb 흡착 및 독성에 미치는 영향

        이루리 ( Ruri Lee ),조은혜 ( Eun Hea Jho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 크기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다. 농업 환경에서는 작물 재배를 위해 하우스용 비닐, 멀칭비닐과 같은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이 자주 이용되는데 이후 파편화되어 미세플라스틱이 된다. 기존 연구들은 생성된 미세플라스틱이 환경 오염물질을 흡착 및 전달할 수 있는 벡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고, 이에 미세플라스틱은 육상 환경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농업환경 주변에서 산업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농경지 토양 및 농업용수가 중금속으로 오염될 수 있고, 이들의 거동은 미세플라스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생육에 필요하지 않은 비필수 원소 중 하나인 납(Pb)을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미세플라스틱이 Pb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등온 흡착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 미세플라스틱으로는 PE, PVC, PS pellet(<125 μm)을 사용하였다. Pb 용액을 0-10ppm의 농도로 제조하여 미세플라스틱이 담긴 튜브에 넣고 교반기에서 48시간 동안 흡착시킨 후 잔류 Pb 농도를 분석하여 결과를 Langmuir, Freundlich 흡착식에 적용하였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흡착 후 Pb 용액의 독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Microtox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Pb가 미세플라스틱에 흡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흡착 후 Pb 용액의 독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계 내 오염물질에 의한 독성 영향이 미세플라스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이 오염물질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학술연구 : 도서관의 그림책 수서 방향 -그림책 고르기-

        이루리 ( Rury Lee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4 디지틀 도서관 Vol.75 No.-

        바야흐로 그림책의 시대다. 그림책 독자, 작가, 시장 모두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림책이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모든 세대가 함께 읽고 공감할 수 있는 문화 콘텐츠로서 세대 간에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림책이 텔레비전과 스마트기기로 인해 야기된 단절의 벽을 허물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한 것이다. 이에 도서관 사서들은 그림책 수서 방향의 원칙과 기준을 세움으로써 세대 간의 소통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t’s time for picture books. Readers, authors and market of picture books are all increasing. The reason is that picture book itself is contents for all generations and provides opportunity for various generations to communicate and sympathize each other. Finally we have found the alternative replacement for TV and all the smart equipment, which have caused a generation gap. Librarians now can establish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to acquire picture books which will contribute to communications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루리(Lee, Roo-Li),배진호(Bae, Jin-Ho)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 :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도 D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이중에서 홀수 번호 학생 13명을 실험집단으로, 짝수 번호인 학생 1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 기반의 기후변화 교육 수업을 15차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육과정에 의거한 일반적인 설명식 수업을 15차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인식과 지식 하위 영역의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4개의 하위 영역인 자기확신 및 독립성, 확산적 사고, 비판적·논리적 사고, 동기적 사고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위와 같이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후변화 및 미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데 효과적인 학습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o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ttitude about climate chang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3 students in one class as a experimental group and 12 the other students of the same class as comparison group in D elementary school in G province area. The experimental group had climate change education lessons based on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and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group had climate change education lessons with teacher’s explanation and materials related to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had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limate change, especially knowledge and perception. Seco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other word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of the four sub-areas of self-confidence and independence, extended thinking,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nd motivational thinking. As above results,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ttitud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of climate change,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learning program to solve climate change and future problems creatively.

      • KCI등재

        신체의 상향·하향 이동경험이 심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루리(Luri Lee),이승연(Seungyon Lee),정현정(HyunJung Chu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인간의 행동이 생각이나 마음에 의해 지배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인간의 생각이나 마음이 행동에 의해 지배되기도 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이 2000년대 후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물리적 경험이 은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상적 개념을 상기시켜 결과적으로 특정 대상에 대한 판단이나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들은 인간이 보는 대상, 만지는 대상, 들고 있는 대상 등에 따라 인지 및 판단이 달라진다는 연구들로서 아직까지 인간의 특정 행동 패턴에 따른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희박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신체의 위치 이동이 일어날 경우 심리적 판단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1차 실험에서 은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단어들끼리 짝짓는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2차 실험에서는 피험자들이 복잡한 연산문제를 짧은 시간 내에 풀게 하고,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 관련된 영상물을 보게 한 후, 이에 대한 심리적 판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의 ‘하향 이동’은 ‘종결’과 은유적인 연결이 있는 반면, ‘상향 이동’은 ‘진행’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고, 신체의 상향 이동 경험자에 비해 하향 이동 경험자의 경우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한 번복의향이 낮게 나타나고, 의사결정에 대한 확신과 성과에 대한 기대감은 높게 나타났다. Studies that approach from the point of view that human thoughts or minds are dominated by behavior as well as that human behavior is dominated by thoughts or minds, have begun to attract attention from the late 2000s. The physical experience is reminiscent of a metaphorically connected abstract concept, which ultimately affects the judgment or evaluation of a particular object. However, stud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have been limited to studies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judgment depending on the objects to be viewed, the objects to be touched, and the objects to which they are carried.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at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body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affects the psychological judgment differently. In the first experiment, a pair of words that were considered to be connected metaphorically was tested.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subjects tried to solve the complicated calculation problem in a short time, and then they watched the video related to the upward movement or downward movement, and then proceeded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judg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ownward movement of the body has a metaphorical connection with closure’, while upward movement is related to progress . In the case of downward-experienced group compared to upward-experienced group, the reverse intentions of their own decision were low, and the confidences in their own decision and the expectations for performance were high.

      • KCI등재
      • KCI등재

        중장년층,노년층의 노화인식과 세대간 결속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순둘 ( Soon Dool Chung ),이루리 ( Lu Ri Le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aging and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on life satisfaction of two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e middle-aged and the older adults,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later life. A total of 702 respondents consisted of people aged 40-64 and aged 65 and above were used for the analysis, which was the part of data collected by quota sampling method from 1,000 Korean adults aged 20 and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ose two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m. The common factors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the older adults were self-rated economic status and affectional solidarity.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the middle-aged. While a self-rated economic statu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middle-aged, an affectional solidarit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Based on the results, countermeasure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for later lif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