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 에너지 전자빔 조사에 따른 ZnO 기판의 결함생성 및 전기적 특성 변화

        이동욱,송후영,한동석,김선필,김은규,이병철,Lee, Dong-Uk,Song, Hoo-Young,Han, Dong-Seok,Kim, Seon-Pil,Kim, Eun-Kyu,Lee, Byung-Cheol 한국진공학회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3

        수열합성법(hydrothermal) 방식으로 성장한 ZnO 기판에 고에너지의 전자빔을 조사시킨 후 쇼트키(Schottky)다이오드를 제작하여 결함상태와 전기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1 MeV 및 2 MeV 전자빔으로 $1{\times}10^{16}$ electrons/$cm^2$ dose로 기판의 Zn 면에 조사하였다. 1 MeV 전자빔이 조사된 시료에서는 표면에 전자빔 유도결함을 형성시켜 누설전류를 증가시켰고, 2 MeV 전자빔의 경우는 오히려 다이오드 누설절류 감소와 on/off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시료에 대한 DLTS (deep level transient spectroscopy) 측정결과 전자빔 조사에 따른 전기적 물성변화는 활성화에너지와 포획단면적이 각각 $E_c$-0.33 eV 및 $2.97{\times}10^{15}\;cm^{-2}$인 O-vacancy가 주된 연관성을 보였으며, 활성화에너지 $E_v$+0.8 eV인 결함상태도 새롭게 완성되었다.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defect states in ZnO substrates were studied during high-energy electron beam irradiations. 1 MeV and 2 MeV electron-beam with dose of $1{\times}10^{16}$ electrons/$cm^2$ were irradiated on Zn-surface of the sample. In the sample irradiated by 1 MeV, the leakage current was increased by electron-beam induced surface defects, while the enhancement of on/off property and the decrease of leakage current appeared in the 2 MeV irradiated sample. From the deep level transient spectroscopy measurements for these samples, it showed that the defect states with the activation energies of $E_c$-0.33 eV and $E_v$+0.8 eV are generated during the high energy electron-beam irradiation. Especially, it considered that the $E_c$-0.33 eV state related with O-vacancy affects to their electrical properties.

      • KCI등재

        설문지를 통한 소음성난청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이동욱,유재형,한우재,Lee, Donguk,Yu, Jyaehyung,Han, Woojae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4

        소음성난청은 고려 시 되어야 하는 공중보건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큰 소음의 노출로 인해 난청이 발생됨을 많은 사람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심각하게 소음성난청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지 22개의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0대부터 60대의 성인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청력손실과 이명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건강 문제들에 대한 사회 및 개인적 중요도, 소음노출과 청력손실에 대한 인지 정도, 청력 보존 방법에 대한 인식을 문답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건강 문제들과 비교하여 응답자 중 약 17.33 %만이 청력손실을 '매우 큰 문제'로 인식하였다. 놀랍게도 다수의 응답자인 82 %는 청력손실에 관한 정보를 듣거나 보지 못하였다고 답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약 85 %의 응답자들은 큰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청력 문제 및 이명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하였지만, 그 중 11.33 %만이 이어플러그를 착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많은 응답자들은 추후 의료진이 권장하거나(80 %),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접한다면(78.67 %) 청력보호를 위해 소음 노출 시 이어플러그를 착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 손실의 잠재성과 효율적인 청력 보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일반인들의 소음성난청을 예방하여야 하겠다. Although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many people might not be aware that exposure to loud noise could occur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how importantly and seriously people are aware of NIHL using a 22-question survey. It was administered to random 150 people including between 20 s to 60 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about i) views toward general health issues including hearing loss and tinnitus, ii) noise exposure, and iii) views toward hearing protection. Results showed that hearing loss was defined on a likert scale as 'a very big problem' by 17.33 % of respondents compared with other health issues. Surprisingly, most respondents (82 %) had not heard, read, or seen anything lately related to the issue of hearing loss. Many respondents had experience hearing problem or tinnitus under loud noise situations (85 %), however, only 11.33 % of respondents had used earplugs. Fortunately, many could be motivated to try ear protection if they were advised by a medical professional (80 %) or were aware of the potential for permeant hearing loss (78.67 %). We concluded that awareness of the potential for permanent hearing loss with noise and effective methods of hearing protection should be announced to public for preventing NIHL.

      • KCI등재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ZnO Nano-Particles Embedded in a Polyimide for Application as a Nano-Floating Gate Memory

        이동욱,Seon Pil Kim,Tae Hee Lee,김은규,Hyun-Mo Koo,조원주,김영호 한국물리학회 2008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3 No.1

        Nano- oating gate memory (NFGM) devices with ZnO nano-particles embedded in polyimide insulators were fabricated. The ZnO nano-particles were created by chemical reactions between polyamic acid and a zinc thin film. The size and the density of the ZnO nano-particles were about 10 nm and 2 × 1011 cm-2, respectively. The threshold voltage shift (△VTr) of the NFGM with ZnO nano-particles was about 2.35 V at the initial stage of the programming and the erasing operations. The subthreshold characteristics and the output current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NFGM with ZnO nano-particles embedded in polyimide has possibility for high-performance non- volatile memory device applications.

      • SCOPUSKCI등재

        Metal-citrate Process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유전체용 (Pb<sub>0.5</sub>Ca<sub>0.5</sub>)(Fe<sub>0.5</sub>Nb<sub>0.5</sub>)O<sub>3</sub> 나노 분말의 저온 합성

        이동욱,원종한,심광보,강승구,현부성,Lee, Dong-Wook,Won, Jong-Han,Shim, Kwang-Bo,Kang, Seung-Gu,Hyun, Boo-Sung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11

        마이크로파 유전체용 $(Pb_{0.5}Ca_{0.5})(Fe_{0.5}Nb_{0.5})O_3$ (PCFN) 나노 분말을 metal-citrate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금속 이온들과 유기 조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구체를 형성시키고 이를 열처리하여 화학양론적 조성과 균일한 크기 분포를 갖는 PCFN 분말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초기 비정질상 PCFN 분말은 약 $400{\circ}$에서부터 결정화가 시작되어 $700{\circ}$에서 완전한 결정화를 이루었고, $900{\circ}$ 이상에서는 PbO의 해리로 인한 pyrochlore상이 생성되었다. $700{\circ}$에서 열처리된 단일상의 perovskite PCFN 분말은 약 40 nm의 평균 크기와 균일한 형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Nano sized $(Pb_{0.5}Ca_{0.5})(Fe_{0.5}Nb_{0.5})O_3$ (PCFN) powders with the stoichiometric composition and the uniform size distribution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the metal-citrate process through the calcination of the polymeric precursor which consisted of the metal ions and the organic network. The crystallization of the initial amorphous powders began at $400{\circ}$ and completed at $700{\circ}$. The pyrochlore phase was detected caused by the dissociation of PbO above $900{\circ}$. Single phase perovskite PCFN powders with 40 nm size and uniform shape were obtained through the calcination at $700{\circ}$.

      • 소나무 꽃가루에서 분리한 Trehalase의 정제 및 성상에 관한 연구

        이동욱,이희성,조성희,Lee, Dong-Wook,Lee, Hi-Sung,Cho, Sung-Hee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1 한국생화학회지 Vol.14 No.2

        소나무 꽃가루를 파쇄하여 Hogeboom (1968)의 방법으로 세포의 각 분획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trehalase의 활성도를 측정하고 세포질 분획의 trehalase 를 ammonium sulfate에 의한 침전, DEAE-cellulose 및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정제하였으며 그 성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소나무 꽃가루에 있는 trehalase 는 cytosol에 약 80% 그리고 mitochondria에 약 4%, nuclei 에 약 10% 함유되어 있었다. 2. 소나무 꽃가루의 세포질 분획에서 이 효소를 81배 정제하였으며, 기질로는 trehalose에 대해서만 활성을 나타냈다. 3. 이 효소활성의 최적 pH 는 5.4였으며, 최적온도는 $60^{\circ}C$였다. 4. 이 효소의 기질에 대한 Km값은 $2.56{\times}10^{-3}M$이었다. 5. 반응 생성물이 glucose임을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해 확인하였다. 6. 양이온이 이 효소에 미치는 영향은 $Na^+$이 $1{\times}10^{-4}{\sim}1{\times}10^{-3}M$농도에서 효소활성도를 약 14~17% 증가시켰으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억제 현상이 증가되었다. 또 $Mg^{++}$ 경우에도 $1{\times}10^{-5}M{\sim}1{\times}10^{-4}M$ 농도에서 활성도가 27~15% 증가되었으나 농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7. $K^+$, $Ca^{++}$의 경우에는 같은 농도 범위에서 효소활성에 변화가 없었다. 8. 이 효소의 분자량은 약 70,000이었다. Trehalose, the alpha-1,1 linked disaccharide of glucose, occurs widely in nature. This sugar has been isolated from bacteria, yeast, fungi and a number of invertebrates, where it functions as reserve carbohydrate. Trehalase(${\alpha},{\alpha}$-trehalose 1-D-glucohydrolase, EC 3.2.1.28.) responsible for the hydrolysis of trehalose was isolated from pine pollen(Pinus densiflora Siebold) and purified 81 times by DEAE-cellulose column and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 The activity of trehalase was measured by method of Lapp and Mason. The enzyme activity in pine pollen was detected 80.46% in cytosolic fraction, 4.09% in mitochondria) fraction and 10.33% in nucleic fraction. The pH optimum for enzymatic activity was found to be 5.4 and optimal temperature was $60^{\circ}C$ and the Km value for trehalose was estimated to be about $2. 56{\times}10^{-3}M$. The product of reaction was identited as D-glucose by paper chromatographic method. The trehalase activity was activated as much as 14∼17% by $1{\times}10^{-4}M{\sim}1{\times}10^{-3}M$ concentration of $Na^+$, and 27~15% by $1{\times}10^{-5}M{\sim}1{\times}10^{-4}M$ of $Mg^{++}$, and the other cations($K^+$, $Ca^{++}$) were tested for their abillity to replace $Mg^{++}$, but none was effective. The molecular weight of trehalas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70,000 by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 대용량 데이터스트림 실시간 압축 저장을 위한 저장관리자 설계 및 구현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Lee, Dong-Wook,Baek, Sung-Ha,Kim, Gyoung-Bae,Bae, Hae-Yo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3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스트림의 처리 및 관리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안, 공장 자동화 기기설비 관리 등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스트림은 대용량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특화된 DSMS의 저장관리자의 개발이 요구된다. Coral8과 같은 기존의 DSMS의 경우 일반적인 데이터스트림의 처리가 가능 하지만 초당 10만 건 이상의 대용량의 실시간 데이터스트림이 발생하는 특수한 상황의 경우 이에 대한 처리 성능이 부족하며, 이에 대한 저장이 불가능하다. 관련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라클10g의 경우 저장, 관리 성능은 우수하지만 실시간 데이터스트림 처리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HP 등에 반도체, LCD 제조공장의 생산 기계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스트림을 실시간 압축 저장이 가능한 DSMS 저장관리자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문에서는 시스템의 구조 및 주요 컴포넌트에 대해 설명하며, 관련시스템과 비교 평가를 통해 제안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인다. Requirement level regarding processing and managing real-time datastream in an ubiquitous environment is increased. Especially, due to the unbounded, high frequency and real-time characteristics of datastream, development of specialized stroge manager for DSMS is necessary to process such datastream. Existing DSMS, e.g. Coral8, can support datastream processing but it is not scalable and cannot perform well when handling large-volume real-time datastream, e.g. 100 thousand over per second. In the case of Oracle10g, which is generally used in related field, it supports storing and management processing. However, it does not support real-time datastream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specialized storage manager of DSMS for real-time compressed storing on semiconductor or LCD production facility of Samsung electronics, Hynix and HP. Hynix and HP. This paper describes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and major components and show bette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compared with similar systems in the experiment section.

      •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적재를 위한 이기종 데이터 소스의 비중복 추출기법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Lee, Dong-Wook,Baek, Sung-Ha,Kim, Gyoung-Bae,Bae, Hae-Yo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2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는 공간 DBMS 또는 다양한 소스데이터로부터 시간에 따라 추출된 공간데이터를 ETL 과정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적재 주기 마다 추출된 공간데이터는 비공간 데이터와 달리 같은 주제의 중복된 공간 정보가 유용하지 않으며, 공간 데이터의 특징으로 저장 공간의 낭비가 크다. 또한 이기종간의 시스템에서 소스 데이터를 추출할 경우 서로 다른 공간데이터 타입 및 스키마를 가지고 있어 이를 위한 공간데이터 추출 기법이 요구된다. 기존 기법에서는 기준이 되는 Geocoding DB를 이용하여 추출된 공간데이터에 대한 주소 매칭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정형화된 데이터 셋을 적재한다. 하지만 이 기법은 추출 데이터를 매번 Geocoding DB와 비교 연산이 발생하며, 주제별로 공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함에 따라 이 기종 공간 DBMS 사이에 중복된 데이터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기 내에서 이 기종의 소스 시스템으로부터 추출된 갱신질의 통합을 이용한 효율적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이 기종의 공간 DBMS로부터 발생한 과거 적재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질의 중 삽입이나 삭제 등의 업데이트 관련 질의만을 추출하여 공간데이터의 불필요한 추출 연산 비용을 제거한다. 또한 소스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업데이트 질의를 이용하여 추출된 공간 데이터를 주제별로 중복 제거 및 통합 한다. 제안 기법은 데이터 중복 저장에 의한 저장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적재시점 별 통합된 데이터를 적재함으로써 빠른 공간데이터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Spatial data warehouses are a system managing manufactured data through ETL step with extracted spatial data from spatial DBMS or various data sources. In load period, duplicated spatial data in the same subject are not useful in extracted spatial data dislike aspatial data and waste the storage space by the feature of spatial data. Also, in case of extracting source data on heterogeneous system, as those have different spatial type and schema, the spatial extract method is required for them. Processing a step matching address about extracted spatial data using a standard Geocoding DB, the exiting methods load formal data set. However, the methods cause the comparison operation of extracted data with Geocoding DB, and according to integrate spatial data by subject it has problems which do not consider duplicated data among heterogeneous spatial DBMS. This paper proposes efficient extracting method to integrate update query extracted from heterogeneous source systems in data warehouse constructer. The method eliminates unnecessary extracting operation cost to choose related update queries like insertion or deletion on queries generated from loading to current point. Also, we eliminate and integrate extracted spatial data using update query in source spatial DBMS.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wasting storage space caused by duplicate storage and support rapidly analyzing spatial data by loading integrated data per loading point.

      • KCI등재

        비마토프로스트 점안 후 눈 주변 피부 색소침착이 발생한 환자에서 약물중단 후 경과

        이동욱,Dong Wook Lee,M,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8

        Purpose: To evaluate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imatoprost-induced periocular skin hyperpigmentation. Methods: The chart analyses of 16 patients in whom cosmetically noticeable periocular skin hyperpigmentation developed after starting bimatoprost therapy were reviewed. Data collated included age, medication history, dates of starting and stopping bimatoprost treatment, and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periocular hyperpigmentation at initial detection as well as follow-up visits. Periocular hyperpigmentation was graded using an arbitrary scale from 0 to 3. The number of days to the onset of hyperpigmentation and to pigment resolution was determined and their associations to demographic and other clin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Patients had variable grades of periocular hyperpigmentation at presentation (mean, 1.53±0.66). Bimatoprost-induced periocular hyperpigmentation appeared 1-10 (mean, 4.3±2.6) months after initiation of bimatoprost therapy. Resolution of skin hyperpigmentation was noted 2-10(mean 6.8±1.9) months after stopping bimatoprost treatment. There was a minor correlation(R=+0.19) between the number of days to resolution of hyperpigmentation and the number of days when bimatoprost was used. At 12 months after stopping bimatoprost treatment, 12 of the 13 patients had complete resolution of periocular hyperpigmentation. However, weak hyperpigmentation remained in one patient. Conclusions: Bimatoprost-induced hyperpigmentation is benign and reversible.

      • 편마비환자의 환측 하지 외회전 정도가 기립균형에 미치는 영향

        이동욱,곽길환,배성수,Lee Dong-Wook,Kwak Kil-Hwan,Bae Sung-soo 대한물리치료학회 200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5 No.3

        The two groups each consisting of 28 people who had an adult hemiplegia due to a brain injury received two different methods of exercises to reduce the angle to which the affected lower limb rotates externally.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made for the changes of the angle in external rotations measured between pre and post test. The static balance index values taken during pre and post tests were also compar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of the angle to which the affected lower limb rotates externally with static balance index values were analyzed.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in group one having taken simple R.O.M exercises, the angle to which the affected lower limb rotates externally and the static balance index values were both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test (P<.01). 2. A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in group two having taken a pattern movement, both the angle to which the affected lower limb rotates externally and static balance index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test (P<.01). 3.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mple R.O.M exercises group and pattern movement exercises groupwas shown only for the angle to which affected limb rotates externally not for static balance index values (P<.01), 4.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angle to which the affected limb rotates externally with static balance index valu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pattern movement exercises group (P < .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