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의 병행이 비만 아동의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동수,이복환,김정규,문희원,윤순식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2

        이동수, 이복환, 김정규, 문희원, 윤순식.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의 병행이 비만 아동의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2호, 233-242,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훈련의 병행이 혈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체지방율이 35% 이상인 중학교 남자 2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훈련 프로그램(유산소 운동 그룹과 유산소와 웨이트 훈련 병행 그룹)에 12주 동안 참가하게 하였다. 혈중 TC 농도 변화에 있어서는 훈련 시작 후 4주와 8주에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훈련을 병행한 그룹이 유산소 훈련 그룹 보다 낮은 혈중 TC 농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5). 혈중 TG와 LDL-C 농도에 있어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훈련의 형태에 따라서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혈중 HDL-C 농도 변화에 있어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훈련의 형태 모두에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 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12주간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훈련을 병행한 결과 유산소 훈련을 병행한 그룹과 상응하는 긍정적인 혈중 지질의 변화를 유도하였고, 웨이트 훈련 역시 유산소 운동과 같이 성장기에 있는 남자 중학생의 비만 운동 치료를 위한 훈련 방법의 하나로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초 자료의 제공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Lee, D.S., Lee, B.H., Kim, J.K., Moon, H.W., Yoon, S.S.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on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Middle School Student. Exercise Science, 12(2): 233-242, 2003.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on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n=10);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weight training for 12 weeks(n=10). All subjects were measured 1 RM, body composition and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antecubital vein before taking part in the two kinds of different exercise training programs and at 4, 8, 10, 12 weeks po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blood TC concentration at 4 week and 8 weeks after exercise training between exercise training programs(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blood TG concentration at 12 weeks after exercise training between exercise training programs(p>.05). In this study, both aerobic exercise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weight training for 12 weeks could be caused the decrease of blood lipid and % body fat and the increase of fat free mass. Fu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a regular physical activity might be most important factor as the portion of daily energy expenditure and could increase the capacity of physiological adaptation in obese individuals.

      • Product Life-cycle에 關한 硏究 : 促進戰略을 中心으로 in the promotional strategy

        李東洙 울산과학대학 1979 연구논문집 Vol.4 No.-

        製品의 壽命은 人間의 生命과 類似한 點을 많이 가지고 있다. 즉 생산되면 成長하여 成熱基에 이르다가 곧 衰退基에 접어든다. 人間과 같은 製品도 成長基에 潛在消費力을 開拓하지 않으면 盛熱基가 短縮되어, 곧 衰退基에 들어가고 만다. 故로 促進活動과 購買行動을 通해서 製品壽命의 合理的인 理解를 提示하려 한다. The life cycle of a product has many points of similarity with the human life cycle; the product is born, grows lustily, attains a dynamic maturity, then enters its declining years. Like the human, a product that has not built up its potential during the formative years is likely to be relatively uncuccessful in its maturity. And now here rational understanding of product life-cycle will be suggeseed through sales promotion and consumer's buying behavio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Motor imager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person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이동수,황수진 물리치료재활과학회 2019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Vol.8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whether motor imagery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tic stroke or not. Desig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PubMed and three other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December 18th, 2018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evaluating motor imagery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ersons with a diagnosis of hemiparetic stroke were included. This review selected the following information from each study: surname of the first author, published year, nation, population, intervention, therapeutic intensity of intervention, therapeutic comparison, outcome measures, additional therapy, summary of resul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outcome measures. Results: This review selected seventeen RCTs with 487 stroke survivors and the following intervention methods: six motor imagery training with additional therapeutic technology, two motor imagery training with additional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four mirror therapy, and five motor imagery training. Ten RCTs were eligible for meta-analysis after systematic review. The motor imagery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Fugl-Meyer assessment (3.43; 95% confidence interval [CI], 1.65 to 5.22; heterogeneity [chi 2 =8.03, df=8, I 2 =0%], test of overall effect Z=3.76; test for subgroup differences [chi 2 =2.56, df=2, I 2 =21.8%]) and the Action Research Arm Test (1.32; 95% CI, −8.12 to 10.76; heterogeneity [Tau 2 =70.74, chi 2 =15.22, df=3, I 2 =80%], test of overall effect Z=3.76).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review suggests that motor imagery shows positive effectiveness on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ersons with hemiparetic stroke.

      • KCI등재

        군집화 기법을 활용한 산업집적분석 사례 연구

        이동수,장남식,황유섭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As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progress, the meaning of the region is likely to be reduced, but the geographical concentration of many economic activities continues. In the reality that policy decisions are made without sufficient empirical analysis of industry aggregation, location coefficients are calculated based on actual data, and each region is divided into groups through clustering techniques, and regional industrial integration through empirical studies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ramework for easy analysis. Based on the “national company survey microdata,” the loc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workers by industry category in small-area units, and the cluster coefficient was analyzed using the location coefficients as observation value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names and characteristics of clusters and to visualize industrial clusters comprehensively. As a result of industrial cluster analysis by Seoul subregion, it was classified into 10 clusters and 5 special clus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industries by region, and the industry integration analysis frame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companies in view of high business fluctuations and low business survival rates. 세계화와 정보화가 진행될수록 지역의 의미는 축소될 것 같으나 많은 경제활동이 지리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산업집적에 대한 충분한 실증적 분석 없이 정책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지계수를 산출하고 군집화 기법을 통해 각 지역을 그룹으로 나누고 특성과 의미를 분석한 실증연구를 통해 지역의 산업집적을 쉽게 분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전국사업체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지역 단위로 산업대분류별 종사자 현황을 분석하여 입지계수를 산출하고, 입지계수를 관측 값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를 통해 군집의 명칭 및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화를 하여 산업집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지역별로 산업집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의 군집과 5개의 특수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별 산업 분포에 관한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높은 사업체 변동과 낮은 사업체 생존율을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산업집적 분석 프레임은 기업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