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의 들잔디(Zoysia japonica)와 크리핑 벤트그라스(Agrostis stolonifera) 섭식량과 발육 비교

        이동곤,나희빈,김동수,이동운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1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is the main lepidopteran pest of turfgrasses as well as cro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and preference of black cut worm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and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which are mainly composed in Korean golf courses for provide basic data for control. Both the 3rd instar and 4th instar of black cut worm were more abundant in the creeping bentgrass than in the zoysiagrass. Body weight gain was also higher in creeping bentgrass feeding individuals. The preference for creeping bentgrass and zoysiagrass was twice as high as for creeping bentgrass. It is considered that the life history of black cut worm will be diversified at the golf course where the two grass species coexist due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growth for both turfgrass species. Therefore, intensive management of creeping bentgrass is required in these golf courses.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Hufnagel])은 농작물 분만 아니라 잔디의 주요 나방류 해충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골프장에 주로 조성되어 있는 들잔디와 벤트그라스를 대상으로 검거세미나방의 섭식과 선호성을 조사하여 방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검거세미나방 3령충과 4령충 모두 벤트그라스에 대한 섭식량이 들잔디보다 많았다. 또한 체중 증가도 벤트그라스 섭식 개체들이 높았다. 벤트그라스와 들잔디에 대한 선호성은 벤트그라스에서 두 배 정도높았다. 검거세미나방의 두 잔디 초종에 대한 선호성과 생장 차이로 인하여 두 잔디 초종이 공존하고 있는 골프장에서는 발생환이 중첩 될 것으로 판단되며 벤트그라스에 대한 집중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입원 환아의 영양상태 평가

        이동곤,노영일,문경래,Lee, Dong-Gon,Rho, Young-Ill,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1

        목 적: 입원 환아의 영양결핍에 대한 통계가 국내에는 미비하여 영양평가의 지표를 삼기가 어렵다. 입원 환아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여 입원 환아 영양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영양평가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7월까지(200명)와 1999년 2월부터 7월까지(233명)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연령에 대한 체중비, 연령에 대한 신장비, 신장에 대한 체중비를 구하여 급성 및 만성 단백질-에너지 영양결핍의 유병률과 질환별 및 연령군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 그리고 영양결핍의 질환별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영양상태의 평가는 Waterlow 분류기준에 의해 분석하였고, 생화학적 지표로는 혈색소, 혈청알부민, 총 임파구 수를 조사하여 영양결핍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1) 급성 PEM은 신장에 대한 체중비로 산출하였는데 1994년에는 중증 0.5%, 중등도 7%, 경도 18%로서 입원 환아 200명 중 총 51명이었고, 1999년에는 중증 2.0%, 중등도 3.6%, 경도 20.0%로서 입원환아 223명 중 총 58명으로 나타나 두 연도에서 영양결핍에 대한 높은 빈도의 유병률을 보였다. 만성PEM에서도 1994년에는 중증 5%, 중등도 5.5%, 경도 25.5%로서 총 72명이었고, 1999년에는 중증2.24%, 중등도 4.04%, 경도 22.87%로서 총 62명으로 나타나 두 연도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각각 높은 빈도의 PEM을 보이고 있다(p=0.287). 급성과 만성 PEM 양쪽에 해당되는 환아는 1994년에 25명, 1999년에는 20명이어서 두 연도에서 PEM의 유병률은 1994년에 49.0%, 1999년에는 44.8%로 나타났다. 2) 연령군별로 영양결핍의 정도를 볼 때 급성 영양결핍에서는 경도의 PEM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심한 만성 PEM의 유병률은 2세 이전의 영아에서 10.8%로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들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p=0.511). 3) 급.만성 PEM의 질환별 분류를 볼 때 1994년에는 급성 혹은 만성 PEM을 보였던 환아 98명 중 호흡기 질환이 43명으로 5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소화기, 일반 내과, 신경계, 순환기 질환 순이었으며, 1999년에는 99명 중 호흡기 질환이 38명, 소화기, 일반내과, 신경계, 내분비, 순환기 질환순 이었다. 4) 각 질환에 대해 급.만성 PEM의 유병률을 볼때 1994년에는 혈액종양, 내분비, 신경계,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비뇨기계통의 질환 순으로 높았으며, 1999년에는 내분비, 순환기, 소화기, 호흡기, 혈액종양, 신경계, 비뇨기계통의 질환 순이었다. 5) 1999년에 측정한 신체계측에서 PEM을 보인 환아에서 생화학적 기준에 따라 혈청 알부민치, 혈색소 및 총 임파구 수를 분류해 볼 때 혈색소 및 혈청 알부민 수치가 총임파구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 론: 입원 환아 단백질-에너지 영양결핍의 빈도는 1994년에 49%, 1999년에는 44.8%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질병의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 및 환아에게 적합한 영양처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포괄적인 영양평가와 함께 올바른 식 습관 형성에 대한 지도를 비롯한 적극적인 영양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evalence of protein-energy malnutrition (PEM)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hospitalized pediatric patients. Methods: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200 patients from February to July 1994 and the 233 patients from February to July 1999 admitted to Pediatric Department of Chosun University Hospital.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anthropometric and laboratory data. The nutritional statu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based on the Waterlow criteria and using the laboratory data obtained between 3 days to 5 days after admission. Results: 1) The prevalence of acute PEM (weight for height) was as follows: severe, 0.5%; moderate, 7%; mild, 18%; and none, 74.5% in 1994 and severe, 2.24%; moderate, 3.59%; mild, 19.73%; and none, 74.4% in 1999. 2) The prevalence of chronic PEM (height for age) was as follows: severe, 5%; moderate, 5.5%; mild, 25.5%; and none, 64% in 1994 and severe, 2.24%; moderate, 4.04%; mild, 22.87%; and none, 70.85% in 1999.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994 and 1999. 3) The prevalence of PEM according to age group, all age group had in general higher prevalence of mild PEM. 4) Values for hemoglobin and albumin were below than total lymphocyte values in PEM.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acute or chronic PEM was common in hospitalized children. Therefore,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may an important role to establish effective nutritional support and to improve their subsequent hospital course in hospitalized pediatric patient.

      • SWATH선의 초기설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동곤,Lee, Dong-Gon 한국기계연구원 1987 기계연구원소보 Vol.17 No.-

        A PSWATH is a computer program for the determination of principal particulars of Small Waterplane Area Twin Hull (SWATH) Ship design at the preliminary design stage. This paper describes the PSWATH system and the underlying theory. The major calculation modules are hull definition, resistance and propulsion, weight estimation and pitch stability analysis. Use of the model is illustrated by input, output and means of examples.

      • 손상 선박의 생존성 평가 기술

        이동곤,Lee, Dong-Gon 선박안전기술공단 2004 선박안전 Vol.16 No.-

        사고 방지를 위한 각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양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대형 사고들이 지면을 장식하곤 한다. 이에 따라 국제해사기구에서는 사고 방지는 물론 사고 발생시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각종 수단을 도입하거나 강화하고 있다.

      • KCI등재

        선박의 안전에 관한 국제동향 및 관련 기술 고찰

        이동곤 한국해운학회 2001 해운물류연구 Vol.32 No.-

        The concern on the safety of life at sea is increasing rapidly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loss of lives due to marine casualties. Although safety may be given a high priority, in many ship design cases, decisions related with safety are treated as aspects of performance and are largely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designers. As a result, in many instances, deficiencies of ships are usually corrected after accidents occur. This approach may be problematic for intricate engineering systems that are combinations of many subsystems and components, as the total impact the overall of component failures on safety may not be fully understood. This paper discusses the key issues and technologies for maritime safety. The safety in design stage, operational safety and the formal safety assessm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rule making process are surveyed,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for maritime safety is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