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이대균(Dae Kyun Lee),이선정(Sun Jung Lee),임자영(Ja Young 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가 연구 참여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연구 참여 경험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진행하는 ‘교사로서의 삶’ 관련 주제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 참여자로부터 2013년 5월 4일부터 2013년 9월 22일까지 주 1회 이상 심층면담과 전화면담 및 이메일 면담, 주 2~3회 연구 참여자 저널쓰기를 통해 생성된 내러티브를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1.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으로 1) 나를 드러내야 하는 작업에 대한 부담감 2) 불확실한 연구 참여과정이 주는 불안감 2. 연구 참여 경험이 연구 참여자에게 주는 의미로는 1) 위로가 되는 힐링타임 2) 일신우일신의 성장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수동적인 존재로서 연구 참여자를 바라보았던 질적 연구자들에게 좋은 질적 연구를 위해서 ‘연구 참여자를 어떤 존재로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연구 참여자를 보호하고 존중하여 능동적인 연구 참여자로의 인식 전환에 기여하고 질적 연구자들이 신뢰도와 윤리적 측면에서 연구자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다시 한 번 숙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experiences that participants had in a research participation proces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From May to September of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those participating in the “life as a teacher” study. Participants took part at least once a week in in-depth interviews-telephone or email-and provided journals in which they wrote entries two or three times per week.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narrative in-depth analysis method. The results underwent a twofold analysis. First were the difficultie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in the research participation process and the role of the researchers who helped solve these problems. 1) Each participant felt a burden from exposing him or herself in the research process while the researcher tried to respect the participants. 2) The participants felt a sense of anxiety from participating in studies they felt uncertain about while the researcher tried to give them a sense of reliability.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found in their research participation experiences two meanings: 1) healing time and 2) growth. These results offer answers to the question of how to look at research participants in qualitative methods, who have behaved as passive being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contribute to a change in percep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s being active participants and contribute to the field`s re-thinking the role and duty of researchers regarding reliability and ethical issues.

      • KCI등재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조력을 통한 교사 및 유치원의 변화

        이대균(Lee Dae-Kyun),최희숙(Choi Hee-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2010년 4월부터 10월까지 D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의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교사의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하며, 연구자와 전문가의 조력을 통해 교사와 유치원에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ㅅ’유치원의 원감과 교사, 총 12명으로 연구자는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 교사들과 집단 및 개별면담, 저널, 참여관찰 등을 통해 파악된 교사들의 필요에 따른 조력과 연구자의 계획에 의한 조력을 실시하며 교사와 유치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교사는 ‘평가지표 이해하기’, ‘평가관련 문서 작성’, ‘평가준비를 위한 분담업무 추진’, ‘수업공개에 따른 부담’, ‘평가결과에 대한 불안감’ 등의 어려움의 정서를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의 조력을 통해 교사에게서 ‘수업능력 향상으로 인한 자신감’, ‘운영관리 시스템의 이해’, ‘상부상조의 조직문화 형성’, ‘유치원에 대한 애착 형성’, ‘전문성신장에 대한 의욕 고취’ 등과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유치원에도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교육환경의 효율성 증진, 건강ㆍ안전관리의 체계수립, 운영관리의 투명성 증진, 시ㆍ지역교육청역점사업을 통한 유아독서교육 활성화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accreditation process of ‘S’ Kindergarten, served by this researcher as the principal, and the changes of the teachers and the kindergarten through assistance by the researcher and professional assist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D-city from April to October, 2010, and its participants were an assistant principal and 11 teachers. As results of data analysis, teachers had experienced the emotion of ‘difficulties’ in the kindergarten accreditation process and the changes of teachers and the kindergarten. The difficul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reduced through the culture of kindergarten accreditation and the accreditation preparation process and through the assistance process, The teachers felt encouraged and this study drew the effective changes of teachers and kindergarten.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

        이대균(Lee Dae Kyun),임자영(Im Ja 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가 자유선택활동 상황의 쌓기영역과 역할영역에서 또래집단 놀이에 참여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또래집단 놀이 참여전략이 발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개월간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일어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을 참여관찰을 통해 질적 연구하였다. 그 결과 만 5세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상황에서 ‘또래 집단놀이 참여시도 하기’에서 ‘놀이상황 파악하기’, ‘참여기회 엿보기’, ‘참여의지 나타내기’, ‘놀이집단 구성원의 관심 끌기’를 위한 의도로 9가지의 참여전략이 발현되었고, ‘또래 집단놀이에서 자리 잡기’에서 ‘역할 맡기’, ‘동지 만들기’, ‘놀이참여 거부에 대응하기’를 위한 의도로 7가지의 전략이 발현되었으며 ‘또래 집단놀이에서 자리 굳히기’에서 ‘시켜주는 사람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기’, ‘경쟁자 견제하기’, ‘대세 따르기’를 위한 의도로 6가지의 전략이 발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choolers' entry strategies in a peer play group.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32 preschoolers. The study lasted for approximately four months from September through December. The data were collected via participation observation using video camer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y used nine strategies to participate in a peer play group with intention,- such as ‘grasping the play situation’, ‘looking for a chance’, ‘expressing his desire’, and ‘dragging group members' concern’. Second, for taking his place in a peer play group, they used seven strategies with intention,- such as ‘having charge of his role’, ‘making his comrades’, and ‘coping with group members' rejection’. Third, for consolidating his place in a peer play group, they used six strategies with intention,- such as ‘helping the commander faithfully’, ‘checking his rival’, and ‘going with the tide’.

      • KCI등재후보

        글 없는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이대균 ( Dae Kyun Lee ),백경순 ( Ky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만4-5세를 대상으로 하여 글 없는 그림책을 동일한 유아에게 반복적으로 읽게 하여 유아들의 문학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글씨가 없이는 그림 속에 포함된 문학적 요소에 대한 충분한 증거를 찾아내지 못하였고, 논리적이고 연속적인 내러티브를 회상하거나 사건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전개하기보다는 부분적 사건들의 조각들을 나열하는 식이고, 본문의 전후 인과관계를 유추하면서 전체적인 줄거리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유아들이 하고 싶어 하는 바램을 표현해내지 못하고, 단지 현상을 사실적으로 설명하는 정도였다. 물론 반복적 읽기를 통해서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다방면적인 시각으로 확대되거나 그림으로 더 몰입하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고, 유아 각자마다의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문학적 수준의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그림만으로는 그림책이 담고 있는 내용을 맥락적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e literary response to repeated-reading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of 4 to 5 year olds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young children could not find enough evidences about literary factors from wordless picture books. Young children could not interpret logically and they enumerated bits of events rather then recalled continuous narrative and kept track of stories. Also, young children could not express their opinions and they just describe situation realistically. Of course, there are affirmative parts such as children can extend their viewpoints more variously and children can be more concentrated in pictures through the repeated-reading. And there are differences of literary level among each children`s inclination. However, these results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contents coherently with wordless picture books.

      • KCI등재

        지역대학의 유아교육관련학과 중심 지역교육지원청 관내 유치원 컨설팅 모형 개발과 적용

        이대균 ( Dae Kyu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지역대학의 유아교육관련학과가 중심이 되어 지역교육지원청 관내 유치원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고, 컨설팅 모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겪는 경험을 분석하여, 유치원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ㆍ도에서 한 개씩의 지역교육지원청을 선정하여 현재 지역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는 유치원 컨설팅 제도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지역대학의 유아교육관련학과가 중심이 되는 유치원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지역대학 유아교육관련학과가 중심이 되는 유치원 컨설팅 모형을 두 개 유치원에 6개월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보다 개선된 유치원 컨설팅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현재 지역교육지원청이 시행하고 있는 유치원 컨설팅 제도와 보완적으로 시행하는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consulting model for district kindergartens by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verify how it is efficient. In this study, 2011 year consulting plans of 16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consulting model for district kindergartens by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 B kindergarten which was composed of 5~6 classes. The data was collected by videography, reflective journals of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teachers of A, B kindergarten were very satisfied with a consulting model for district kindergartens by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ause the model has several strengths, such as freedom of choice, good consultants of high quality and a long term of consulting.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관련 학회의 사업 및 예산 운영 분석

        이대균(Dae Kyun Lee),이일랑(Il Rang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유아교육관련 학회 운영 전반에 대해 검토하여 학회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유아교육관련 학회 중 2013년에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가 발표한 KCI 인용지수(2012년 기준, 과거 5년간 통계) 상위 5위 이내 학회 중 년간 학술지를 6회 이상 발간하는 학회를 대상으로 학회의 주요 사업, 학회의 예산 운영, 학회의 조직 및 임원 선출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업면에서 각 학회는 학회지 발간, 학술대회 개최이외에도 국가정책사업 참여, 유아교육백서 발간, 학술상 시상, 박사학위논문 집필 연구비 지원, 우수 논문 시상, 분과연구회 운영, 하계 및 동계 학술대회 개최, 교사 연수, 대학원생을 위한 통계 및 연구방법 특강, 타 학문 분야와의 교류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었다, 둘째, 예산 운영면에서는 회원들의 회비보다는 학회지 논문 투고 및 게재비와 학술대회 참가비 및 후원금이 수입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지출면에서도 학회지 발간비와 학술대회 운영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박사학위논문 집필 지원비, 우수논문 사후 지원비 등 회원들의 학술활동을 지원하기위한 예산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점이었다. 셋째, 학회의 조직면에서는 지회 운영 및 행정부서를 확대하고 분과연구회를 두어 회원들의 관심 영역별 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회원들의 연구결과를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하는 선순환적 체계를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그리고 학회 조직 구성에 있어서는 일부 학회의 경우, 수석 부회장 제도를 두어 회장과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학회 운영에 있어 안정적이고 협력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 associations for their efficient management. This study involves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 associations based on the three most frequently cited in the KCI index of 2013.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se associations’ main works, budget management, system, and presidential ele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sociations’ main works were publishing journals and holding annual conferences. Also. they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include participating government policy works, publis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ncyclopedias, rewarding academic work, supporting dissertation writing, rewarding outstanding research, managing subdivision research societies, holding summer and winter conferences, training teachers, winter lecturing for graduate students, and interchanging with other academic field. Second, the associations’ budget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ir income came not from membership fees but rather from journal submissions and printing fees, conference registration fees, and sponsorships rather. Also, the major expenses were journal publication fees and conference management fees. Especially, they gradually apportioned more of their budget to supporting members’ academic activities such as supporting dissertation writing and outstanding research. Third, for the system of associations, they expanded the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organized a subdivision research society to support supporting members’ research activities by field. Also, members present their studies at a conference. Lastly, for the president election, they adapted the chief vice-president system, which builds a partnership between the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to establish stable and cooperative climate for management of the associations.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웹 그림동화 사이트에 대한 분석

        이대균 ( Dae Kyun Lee ),성현숙 ( Hyun Suk S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3 No.2

        유아문학교육에서 새로운 변화의 하나는 정적인 그림책의 세계를 유지하면서 동적·영상적 세계를 연계 지어 어린이들에게 좋은 경험을 주려는 노력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함께 인터넷의 보급으로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 웹 그림동화는 그림책 비디오와 같이 유아문학교육에서 많은 장점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그림동화 사이트를 김세희(2000)와 Webby Awards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원작에의 충실성, 기술적 우수성, 발달적 적합성, 사용의 편리성의 네 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그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웹 그림동화 사이트는 원작에의 충실성과 사이트 접근의 편리성 면에서는 우수한 편이었으나 기술적 우수성 및 발달적 적합성면에서는 낮은 수준은 보였다. 특히, 웹 그림동화의 분류가 유아문학적 체계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icture fairy tale web sites for young children and suggest ways for improving the overall site. Eight fairy tale web sit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curateness of the picture fairy tales, based on the original story, was very high. Second, the audiovisual technology of the picture fairy tales, especially animated ones was very low. One reason is due to the restriction of file volume which is delivered via the internet . Third, the appropriate level of the picture fairy tales were not congruent with kindergarten student`s development level. One reason is that these sites have been designed for children aged 2 to 12. Fourth, the level of surfing convenience of the fairy tale web sites, especially the system of categorizing picture fairy tales, was very low. One reason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theory in the web site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에 대한 분석

        이대균 ( Dae Kyun Lee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 No.1

        대학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문학교육 강좌는 대학 교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는 유아문학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유아교육계에서 유아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1∼2권에 지나지 않던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가 최근 5년 사이에 10권 가까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들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의 편집 측면과 내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유아문학교육에 필요한 대학 교재의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textbooks for the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grope the way for improvement, especially in compilation and cont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keep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in the contents of college textbooks for young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seeing and listening are more important than reading in young children`s literary activities. Second, it is needed to improve the editing technique such as blank space, visual arrangement, the style of writing, and the picture of book cover because college students want higher level of editing and designing. Third, it is very important for textbooks to be written in term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object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to bring up the young children`s literary interests rather than to be use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nd moral education. Fourth, the ratio of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based on the multimedia technique should be increased because young children are more responsive to audio-visual materials than ordinary books. Fifth, the contents for creative writing are to be included in textbooks because college students need to practice the creative power of writing new stories which are based on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