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드라마의 여성인물 변화 양상 연구 - 2010년대 후반 작품을 중심으로 -

        이다운 ( Lee¸ Da-u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가 여성인물을 어떻게 구현해 왔는지를 분석하고, 새로운 젠더적 가능성을 보여준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텔레비전드라마를 분석하여 여성인물 재현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것에 있다. 텔레비전드라마는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니라 사회문화를 전달하고 구성하는 매개체이자 특정 대상에 대한 존재성을 구축하는 주요한 매체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텔레비전드라마에서 재현되는 여성인물과 그 기저에 있는 젠더의식의 실체를 규명하는 작업은 대중서사와 그 영향권 안에 있는 감상자가 여성에 대한 온전한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다. 텔레비전드라마는 대중성과 상업성을 지향하면서도 심의 규정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보수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역시 상당히 보수적인 젠더의식을 표방해 왔으며, 특히 시대 변화에 따른 여성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특정한 관념과 이미지로 여성을 한정한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안에서 순응성과 여성다움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여성인물을 재현해 오던 한국 텔레비전드라마는 2010년 후반부터 변화의 가능성을 확장하기 시작한다.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는 이전에는 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유형의 여성인물이 등장하고 여성을 재현하는 관점이 변화하거나 여성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체현하는 작품이 조금씩 증가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마녀의 법정>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전복적으로 재현할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가 여성에게 얼마나 잔인한 곳인지를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삶’을 적나라하게 고발한다. <멜로가 체질>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서 만나기 힘든 독특한 캐릭터성을 가진 여성인물을 등장시키며 ‘여성 미시서사’의 가능성을 체현한다. 성차별적 언어 표현인 ‘미쓰리’를 전면화하여 낮은 신분의 여성을 향한 사회적 편견과 무관심을 일깨우는 <청일전자 미쓰리>는 이름을 상실한 채 미쓰리로 치부되는 평범한 ‘여성 청년’의 현실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이들 작품은 여성을 자신의 의무를 감당해 나가는 한 명의 사회인으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성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comprehensive analysis on how television dramas in South Korea shaped female characters and also carry out a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in female characters of television dramas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side effects based on the aspect of genders and television drama with female characters that show new gender possibilities. Television dramas are not just a source of entertainment, as it is a medium that delivers and forms social culture and an important medium to build the identity of specific subjects. Accordingly, verifying female characters in television dramas and the basis about gender awareness are required for public narrative and also to create an intact image about female for the viewers in the sphere of influence. Television dramas must aim for mass appeal and commercial potentials while it is restricted by broadcasting review regulations where it must satisfy the sentimental and ethical standards of all the members of families. For this reason, it inclines towards a conservative tendency. Korean television dramas also claimed to advocate conservative gender awareness and it was criticiz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did not properly consider the changes in female image based on the change of times and set limits for women by imposing specific ideas and images. From the late 2010s, Korean television dramas started to evade from the former emphasis on a chain of adaptability and femininity within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expanded o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Ever since the late 2010s, Korean television dramas showed a trend of gradual increase in dramas with the emergence of new female characters that were hard to find befor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about how women are portrayed, and personification of new potentials about female narratives. For instance, < Witch at Court > not only reenacts femininity and masculinity subversively as it shows how cruel the Korean society is to women and explicitly denounces the 'life as a woman.' < Be Melodramatic > introduces unique female characters that are uncomm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and personifies the possibilities of female microscopic narrative. < Miss Lee > confronts the sexist remark 'Miss Lee' and also points out social prejudice about women with low status and indifference. This drama shows the reality of an ordinary young 'woman' discounted as Miss Lee instead of being called by her name. Furthermore, the drama expresses the female character as a member of the society capable of managing her personal responsibilities and attempts to make a new approach about women.

      • KCI등재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지옥〉 연구 : 호모 렐리기오수스와 재난 시뮬레이션

        이다운(Lee Da-un)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fundamental questions that 〈Hell Bound〉 asks, as a disaster simulation showing the figurations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 face of disasters.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consider significant thoughts that 〈Hell Bound〉 gives to contemporary people going through the age of disasters and indicate that a drama can function as a subversive text to expand thoughts or facilitate a paradigm shift. Ranking first place among dramas in over 80 countries within just 24 hours after it was unveiled in nearly 190 countries via the global platform, Netflix, 〈Hell Bound〉 was rated to be a work opening a new possibility of Korean dystopia. 〈Hell Bound〉 describes a shocking event when humans are notified of death by a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contains dynamics and philosophy by linking the world of catastrophe that has been revealed in Yeon Sang-ho’s existing works to an issue of God and religion. ‘Hell Bound’ includes a religious meaning as a final destination for those, who are deserted by God and a metaphorical meaning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 chaos, at the same time. Putting emphasis on the latter, 〈Hell Bound〉 focuses on showing that inevitably, hell is formed by human beings regardless of God’s involvement. Firstly, 〈Hell Bound〉 deals with the process in which religion quickens and the process in which religion starting from God becomes polluted deleting God, based on God’s intention and demonstration that is an irresistible event. It then discloses formless violence inside signifiers of human beings thinking themselves to be reasonable and rational and the dishonesty of the world formed by such humans. Furthermore, 〈Hell Bound〉 shows that media and systems expecially among cultures created by dishonest humans rather confuse humans and the world than pursue public righteousness and protect humans. Seeing that an unknown thing suddenly appears in the human world and causes an extreme fear, 〈Hell Bound〉 resembles cosmic horror, but this differentiates itself by approaching them from a religious viewpoint from the beginning. Namely, 〈Hell Bound〉 stimulates the desire of Homo Religiosus symbolizing an existence that transcends human authority and why it is indirectly satisfied as a fantasy, not a religion in the present age. Above all, all the processes of reporting and disclosing in 〈Hell Bound〉 start from a human ‘situation facing a disaster’ peppered with shock and fear. In this sense, 〈Hell Bound〉 can serve as a significant text to provide another meaning to the present age of disasters and contemporary people in fear of disasters. 본 논문은 재난 앞에서 인간과 세계의 형상이 어떠한지를 보여주는 재난 시뮬레이션으로서 〈지옥〉이 던지는 근원적인 질문을 분석해 보는 데 목표를 둔다. 또한 본 논문은 〈지옥〉이 재난 시대를 통과하는 현 시대인에게 던지는 유의미한 사유가 무엇이며, 하나의 드라마가 사유를 확장하거나 인식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전복적인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글로벌 플랫폼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190개국에 공개된 〈지옥〉은 공개 24시간 만에 드라마 부분 80개국 이상 1위를 기록하며 코리아 디스토피아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인간이 초월적 존재에게 죽음을 고지받게 되면서 벌어지는 충격적인 사건을 그린 〈지옥〉은 기존 연상호의 작품이 보여주었던 파국의 세계를 신과 종교의 문제로 확대한 역동성과 철학성을 함유한 문제작이다. ‘지옥’은 신에게 버림받은 자들의 종착지로서 종교적 의미와 아수라장이 된 인간과 세계라는 은유적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지옥〉은 후자에 방점을 두고 신의 개입 여부와 상관없이 인간에 의해 구성되는 세계는 지옥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데 주력한다. 먼저 〈지옥〉은 신의 의도와 시연이라는 불가항력의 사건을 토대로 종교가 태동하는 과정과 신으로부터 출발한 종교가 신을 삭제한 채 오염되어 가는 과정을 다룬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라 자부하던 인간의 기표 안에 존재하는 무정형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그러한 인간에 의해 구성되는 세계의 부정을 폭로한다. 나아가 〈지옥〉은 부정한 인간이 창조한 문화 그중에서도 미디어와 제도가 공의를 추구하고 인간을 보호하기보다 오히려 인간과 세계를 혼란하게 만드는 점을 함께 보여준다. 〈지옥〉은 미지의 존재가 인간 세계에 갑자기 출현하여 극한의 공포를 유발한다는 점에서는 코스믹 호러와 유사하지만, 처음부터 그들을 종교적 관점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변별된다. 즉 〈지옥〉은 인간의 권능을 넘어서는 존재를 상정하는 호모 렐리기오수스(Homo Religiosus)의 욕망을 자극하면서도 그것이 왜 종교가 아니라 판타지물로 간접 충족되는 시대가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무엇보다 〈지옥〉의 모든 고발과 폭로의 과정은 인간이 충격과 공포로 점철된 ‘재난을 맞이한 상황’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점에서 〈지옥〉은 실제로 재난 시대와 그로 인한 공포 앞에 놓여 있는 바로 지금의 존재들에게 또 다른 의미를 제공할 유의미한 텍스트가 될 수 있다.

      • 설계단계에서 BIM 기술, 시장 동향 및 비전에 관한 연구

        이다운 ( Da Un Lee ),윤석헌 ( Seok Heon Yu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5 No.1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BIM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project of fact, many countries such as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is developing a roadmap of BIM technology development. To develop this, recently, it must be analyzed in advance the state of BIM technology domestic projects. In this study, we define the elements of technology BIM,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In addition, I was evaluated and priority importance to the elemental technology derived. As a result, elemental technology most was the level inferior to foreign countries, and the field of ordering standard planning and has been highly valued and priority of particular importance, but currently, the level of domestic, analysis and most delayed has been. These results are judged to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roadmap and direc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IM in the future.

      • KCI등재

        글쓰기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강화 및 실제적 문제 개선을 위한 교수자 피드백 방법 연구

        이다운 ( Lee Da-un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Most learners enrolling in writing courses have a desire to write well but often find it challenging to write and have little interest in writing. Therefore, writing instructors should utilize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that help engage learners in writing activities, given their ambivalence over writing. Still, classroom lessons for dozens of learners are unlikely to provide proper instructions and advice for learners. The instructional methods relying solely on classroom lessons are limited in improving learners’ writing skills due to individual difference, which is why instructor feedback is essential in writing courses. Instructor feedback is effective in that individual learners’ writing skills and variables are considered to offer appropriate diagnoses and instructions accordingly. That said, as instructors have authority over learners’ grades, learners may feel overwhelmed by the instructor feedback. Thus, instructors need to develop mentoring strategies before sharing their feedback in order to give a positive emotional stimulus to learners, motivate them and facilitate their self-efficacy. Trust-based mentoring enables learners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fast and enhances their self-efficacy. In that respect, feedback in writing courses combined with mentoring techniques will create synergy effects with feedback and mentoring being functionally integrated. From the foregoing perspective, this paper discusses a case of applying mentoring techniques to a writing course for effective feedback. However, the analyzed case of a university liberal arts writing course available to entire undergraduates is characterized by substantial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ers’ writing skills and variables. Nonetheless, the two rounds of feedback utilizing such mentoring techniques as ‘emotional feedback based on learning partnership’ and ‘specific feedback for setting goals and reinforcing practice’ for all learners generated significant results.

      • KCI등재

        소규모 프로젝트의 설계-감리분리 제도 개선 분석

        이다운,윤석헌,Lee, Da-Un,Yun, Seok-Heon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6 No.5

        건축사법 개정을 통하여 설계-감리 분리 제도의 범위를 확대 시행하기로 하였다. 개정된 법은 허가권자가 감리자를 지정 설계 참여자는 배제한다는 내용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조사 감리제도의 현황을 분석,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서 도출 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계-감리분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후 앞서 조사한 선행연구, 감리제도의 현황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자들 사이의 업무 범위에 관한 가이드라인 마련, 둘째 감리업무의 적정 감리비 대가 보장이 필요하다. 향후 감리대가의 적절한 산정방식과 감리원의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과 설계-분리제도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소규모 건설프로젝트에서 현장관리업무 개선방안

        이다운 ( Lee Da-un ),윤석헌 ( Yun Seok-he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1

        Since February 2017, site managers in small architectural projects are required by the revised building act. In order to address issues for site managers and to improve project efficiency, system improving methods are surveyed and proposed in this study. The key inspection items in the existing surveillance guidance manual were investigated, and the checklist for site managers for a small to 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 was analyzed. This study also tries to propose using web-based site management systems for improvement of the utilization of checklists. It is expected that these on-site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BIM technology, will be able to monitor the small siz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in real time and effectively monitor the various problems occurring on-sit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철도 차량용 500kW 수소연료전지 전력변환시스템을 위한 Dual-Active-Bridge 컨버터 설계

        다운(Da-Un Kim),류상균(Sang-Gyun Ryu),박진혁(Jin-Hyuk Park),류준형(Joon-Hyoung Ryu),이재범(Jae-Bum Lee),김정은(Chong-Eun Kim) 한국철도학회 2024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7 No.11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hydrogen fuel-cells is being considered to ensure the eco-friendliness of propulsion systems for railway vehicles and flexibility in power supply. Hydrogen fuel cells generally have low output voltage and poor responsiveness to rapid load changes, so they are composed of a hybrid system that includes a battery and an isolated DC-DC power converter. The output of this hydrogen fuel cell-battery power conversion system has a nominal voltage of 800V,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a power convers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hat require a voltage of 1500V. Therefore, in this paper, an input-output serial configuration of a Dual-Active-Bridge converter for a hydrogen fuel cell-battery hybrid power conversion system is proposed and designed for 500kW railway vehicles, and its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parallel input and serial output configuration.

      • KCI등재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보건교사 안은영> 연구

        이다운(Lee Da-Un)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OTT service has no space-time constraints so it mass-produces ‘Zero TV Household and it is causing a fissure in the prestige of television. In this situation, Netflix started streaming ‘Korean Netflix original drama from 2019 in order to win over the Korean television drama viewers. Netflix original drama consists of 6-10 episodes and it stands out because it aims for more free subjects and expressions compared to television dramas that are restricted in many ways like the publicity and sensationalism. Moreover, ‘binge-watching is available so it is characterized by how a different drama style is used in comparison to existing television drama. <The School Nurse Files> that was presented by Netflix in September, 2020 is a typical work that embodied the nature of Netflix original drama and it is a heroic genre that imitates the multi-genre of ‘fantasy, comedy, mystery, and action. <The School Nurse Files> also has to show a central narrative within the comparatively short time of 6 episodes-45 minutes of running time, so it displays a different aspect from previous television drama. In addition, based on the nature of OTT service drama, it is produced with open possibilities of season series so <The School Nurse Files> demonstrates an unfriendly narrative structure. In light of the nature of Netflix original drama, various attractions are constantly provided and based on the fantasy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cartoons and games, the distinct freedom of Netflix original drama is realized. <The School Nurse Files> displays the nature where various spectacles, which attract viewers that are used to stimulating attractions like webtoon, games, and YouTube, are inserted and applied diversely throughout the entire drama. <The School Nurse Files>, endowed with a type of autonomy provided in Netflix original drama, proposes an unfamiliar new character, ‘a grotesque Korean female superhero. <The School Nurse Files>, empower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being female and Korean to a superhero and provides specification that stands out from other heroic genre. In other words, <The School Nurse Files> is a new form of heroic drama that reveals how a special figure, who is both a ‘female and ‘Korean overcomes a world of chaos infested with strange things and villains. For that reason, to Korean viewers, Ahn Eun Young relates to the wounded hearts of Koreans and stands out as a hero to save people and to the viewers of other countries, Ahn Eun Young exists as a special hero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OTT 서비스는 시공간의 제약-없음으로 인해 ‘제로TV가구(Zero TV Household)’를 양산하며 텔레비전의 권위에 균열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넷플릭스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시청자를 포섭하기 위해 ‘한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를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스트리밍하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는 6-10부작으로 구성되며, 공영성·선정성 등 다수의 제약을 받는 텔레비전드라마보다 자유로운 소재와 표현을 지향한다는 점이 변별된다. 또한 ‘정주행(몰아보기, binge-watching)’ 식의 감상이 가능한 까닭에 기존 텔레비전드라마와는 다른 드라마 문법이 사용된다는 특성도 있다. 그중에서 2020년 9월에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보건교사 안은영>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의 특성을 체현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판타지, 코미디, 미스터리, 액션’이라는 복합장르를 표방하는 상당히 낯선 히어로물이다. <보건교사 안은영> 역시 6부작-45분 러닝타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중심서사를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 텔레비전드라마와는 다른 양상을 띤다. 그러한 데다가 OTT 서비스 드라마의 특성상 시즌제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보건교사 안은영>은 상당히 독특한 서사구조를 보인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만화와 게임의 특성을 반영한 판타지성을 토대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만의 자유로움을 구현한다. <보건교사 안은영>은 웹툰과 게임 그리고 유튜브 등의 자극적인 볼거리에 익숙한 감상자를 유인할 만한 다양한 스펙터클을 삽입하되 그것을 극 전체를 통해 매우 다채롭게 활용하는 특성을 보인다.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드라마에 제공하는 일련의 자율성을 부여받은 <보건교사 안은영>은 ‘괴이한 한국 여성 슈퍼 히어로’라는 상당히 낯설고 새로운 캐릭터를 제시한다. <보건교사 안은영>은 슈퍼 히어로에 ‘여성’이면서도 ‘한국’이라는 특수성을 부여하여 여타 히어로물과는 변별되는 특이성을 마련한다. 즉 <보건교사 안은영>은 괴이한 물질과 빌런이 출몰하는 혼돈의 세상을 ‘여성’이면서 ‘한국인’인 특별한 존재가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를 보여주는 낯선 히어로물이다. 그러한 까닭에 안은영은 한국 감상자에게는 상처를 공유하고 우리를 구원해 줄 히어로이자, 다른 나라의 감상자에게는 한국적인 독특한 정체성을 구비한 특별한 히어로로 존재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