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쳐말하기와 학습자 반응의 관계: KSL 맥락에서의 시‧종단적 연구

        이다미 이중언어학회 2015 이중언어학 Vol.61 No.-

        이다미. 2015. 12. 31. 고쳐말하기와 학습자 반응의 관계: KSL 맥락에서 의 시‧종단적 연구. 이중언어학 61, 191-214. 본 연구는 원어민 화자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uptake)의 관계를 7개월간의 시‧종단적 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고쳐말하기(recasts)의 언어적 초점이 학습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학습자의 유창성이 향상됨에 따라 원어민 화자의 고쳐말하기에 대한 학습자 반응이 변화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한 명의 한국인 원어민 화자와 두 명의 영어 화자의 대화를 2주에 한 번 7개월 동안 관찰, 녹음하여 이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발음 오류에 관한 고쳐말하기가 조사 오류 고쳐말하기보다 더 많은 학습자 반응(62% vs. 36%)과 수정(47% vs. 24%)을 이끌어 냈다. 한 학습자의 한국어 유창성이 향상됨에 따라 조사 오류 고쳐말하기는 점진적으로 더 많은 학습자 반응과 수정을 불러 일으켰다. 본 연구 결과는 고쳐말하기의 길이와 학습자가 집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자원 (attentional resources)의 제약으로 설명하였다. (한양대학교)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NS recasts and learner uptake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focus of recast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learner noticing was affected by the linguistic target of recas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learner noticing changes over time. The corpus used was oral interaction data between a naive Korean speaker and two KSL learners, which was collected for seven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phonological recasts yielded higher learner uptake and repair than particle-focused recasts, suggesting that the linguistic focus might affect learner noticing. They also demonstrated that learners’ ability to notice particle-focused recasts, not phonological recasts, tended to gradually increase as L2 proficiency increases, meaning that learners’ proficiency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to affect learner noticing. These findings were attributed to the length of recasts and learners’ limited attentional resources.

      • KCI등재

        유표성과 L2 수량 분류사 습득

        이다미 이중언어학회 2006 이중언어학 Vol.31 No.-

        이다미. 2006. 06. 30. 유표성과 L2 수량 분류사 습득. 이중언어학 31, 153-169. 본 논문은 L2 학습자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을 다룬다. 본 논문의 목적은 Hansen과 Chen(2001)의 주장처럼 수량 분류사의 습득이 보편적 습득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만약 Hansen과 Chen의 주장처럼 수량 분류사 습득에 ‘Markedness Hierarchy’(Craig, 1988)가 적용된다면, 분류사는 생물>모양>기능의 의미자질을 가진 순서로 습득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2학습자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을 검토하기 위해 88명의 L1영어-L2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해과제와 산출과제를 이용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L2한국어 학습자들은 L2중국어나 L2일본어 학습자와 달리 생물>모양>기능의 보편적 습득 순서를 따르지 않았다. 이들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은 Markedness Hierarchy 보다는 분류사의 빈도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대학교)

      • KCI등재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의 노후소득보장 효과 -미시 시뮬레이션(micro-simulation)을 활용한 장기 전망

        이다미,권혁진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사회보장연구 Vol.35 No.3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the unemployment credit (hereafter UC) in National Pension on old-age income security for the birth cohorts from 1991 to 2023 in terms of the take-up rate, the insured period, and the benefit level by using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The study estimated that the UC in National Pension has a small impact on the take-up rate of the pension benefit - 0.3%p increase on average - but has a relatively bigger impact on men’s than women’s; that the effect of UC in National Pension on the probability of securing old-age pension entitlement is bigger in lower income group, while the effect on the insured period is the biggest in the middle income group; that raising the level of the pensionable earning (50% of the final average salary before getting unemployed) to 100% has little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pension benefit level in all cohorts and income groups; that raising the pensionable earning to 100% (of the final average salary before getting unemployed)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nsion benefit level than extending the insured period to 24 months, and the effect is bigger in the upper income group. This paper suggests to relax the conditions for the entitlement of the UC in National Pension linked to the job seeker’s benefit in Employment Insurance, raise the level of the pensionable earning, and extend the insured period. 본 연구는 동태적 미시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의 노후소득보장 효과를 1991~2023년 출생코호트의 국민연금 수급률과 연금액 측면에서 전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크레딧을 통한 노령연금 수급률의 증가폭은 평균 0.3%p 수준으로, 수급률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고, 수급률 증가폭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득하위분위로 갈수록 실업크레딧을 통해 수급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가입기간의 증가 효과는 소득중간계층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업크레딧 제도 개선을 위해 인정소득 상향(50%→100%)과 인정기간 확대(12개월→24개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해도, 현행에 비해 그 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넷째, 인정기간 확대에 비해 인정소득 상향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그로 인한 혜택은 상위계층에게 더 크다는 점에서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향후 제도 개선 차원에서 실업크레딧의 인정소득 상향과 적용기간 확대는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현재 고용보험의 구직급여 수급요건 완화 등을 통해 실업크레딧 적용대상 규모 자체가 지금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동화 활용 어휘 지도

        이다미,이경아 이화여자대학교 영미학연구소 2004 영어학 연구 Vol.- No.9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vocabulary learning using storie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o see whether stories are effective for vocabulary learning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grade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using stori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vocabulary using explicit teaching A pre- and post-test were used to measure students' knowledge of vocabulary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vocabulary acquisition (p< 05) This study suggests that vocabulary teaching using stories should be applied to other graders as well (Hanyang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악성종양 환자에게서 발생한 파미드로네이트 정맥투여와 관련된 악골 괴사 1예

        이다미,김태호,박태진,정윤석,박준성,안미선,송승일,이기범,주희재 대한내분비학회 2008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3 No.3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is a rare, but serious, side effect of bisphosphonate therapy that produces significant morbidity in affected patients. It is characterized by poor wound healing and spontaneous intra-oral soft tissue breakdown, which lead to exposure of necrotic maxillary and mandibular bone. We report a case of BRONJ in 56-year-old man who visited Ajou University Hospital Dental Clinic in March 2007. He had been diagnosed with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in 2005 and had been treated with chemotherapeutic agents, along with concomitant pamidronate injections (45 mg monthly). The patient had clinical features of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mandible precipitated by tooth extraction. The patient had multiple systemic risk factors, including extended duration of intravenous pamidronate therapy, chemotherapy, and glucocorticoid therapy for his malignancy. In the 6 months prior to presentation, curettage and debridement were performed repeatedly, but there was no improvement in the mandibular lesion. The patient was referred to the Endocrinology Clinic and was diagnosed with BRONJ. We discontinued pamidronate and started conservative care. BRONJ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 patients complain of poor oral wound healing or have recurrent exposure of necrotic maxillary and mandibular bone. (J Korean Endocr Soc 23:210~214, 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