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수반두의 쁘라마나 이해 - 『논궤』와 『아비달마구사론』의 차이를 중심으로 -

        이길산 한국불교학회 2024 韓國佛敎學 Vol.0 No.111

        프라우발너에 따르면, 인의 3상 규정이라든가 3지작법 창안 등 오랫동안 디그나가에게 귀속됐던 논리학적 성취가 사실은 『논궤』 등 바수반두의 논리학적 저작들에 의해 선취되었다. 그러나 카츠라 쇼류가 밝혔듯, 정작 바수반두는 『아비달마구사론』에서 3지작법이든 5지작법이든 논증식 자체를 사용하지 않았다. 한편 디그나가 또한 『논궤』가 바수반두에게 귀속된다는 점을 의심스러워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논궤』와 『아비달마구사론』의 개념적 차이는 주목할 가치가 있다. 특히 추리 개념이 극적으로 다르다. 『논궤』에서 추리는 ‘[추리를 통해 알고자 하는 것과] 분리불가능한 대상을 그 [분리불가능성]을 아는 자가 보는 것’으로 정의된다. 반면에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추리는 최선의 설명(best explanation) 내지 귀추(abduction)에 가깝다. 종합적으로 볼 때, 두 문헌에 나타난 개념적 차이는 다시 다음 3가지로 요약된다. ⑴ 『논궤』에서와 달리 『아비달마구사론』의 구도에서는 지각의 역할이 크게 위축된다. ⑵ 『논궤』에서 보장되었던 추리의 타당성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⑶ 『아비달마구사론』에 있어 추리와 성취자의 전승은 순환관계에 놓이는 반면에 『논궤』에서는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차이는 한 인간의 지적 성장이라든가 학파소속성의 변화 따위의 서사로는 잘 해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논궤』의 저자를 『아비달마구사론』의 저자와 별개의 인물로 보는 편이 적절할 것이다. Frauwallner suggests that achievements like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a valid logical reason (trairūpya) and the reduction of the five-part inferential syllogism to a three-part one, traditionally attributed to Dignāga, were actually anticipated by Vasubandhu. However, as noted by Shoryu Katsura, Vasubandhu does not employ either the three-part syllogism or the five-part one in his Abhidharmakośabhāṣya. Moreover, Dignāga himself was skeptical about attributing the Vādavidhi to Vasubandhu and did not readily accept it. In this context, it’s worth looking at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Vādavidhi and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particularly in their treatment of inference. In the Vādavidhi, inference is defined as “seeing the inseparable object by someone who knows its inseparability [from the object to be inferred].” On the other hand, the inference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is closer to the best explanation or abduction. In general, the conceptual disparities between th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⑴ Unlike in the Vādavidhi, the role of perception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is significantly diminished; ⑵ The validity of inference, which is guaranteed in the Vādavidhi is not assured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⑶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ence and scripture (āptāgama) is cyclical, whereas this cannot be verified in the Vādavidhi. These differences cannot be adequately explained by the intellectual growth of a single individual or shifts in scholastic affiliation. Therefore, it is more plausible to consider the author of the Vādavidhi as a different figure from the Kośakāra, not to mention the Bhāṣyakāra.

      • KCI등재

        이십론주의 대론자는 누구인가? - 대론자 문제를 통해서 본 『유식이십론』 -

        이길산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2 No.-

        This paper sets up the opponent problem in the Viṁśkiā, criticizes the previous studies on it accordingly, and finally proffers an alternative reading. The Viṁśikā takes the form of a debate between a first-person speaker and her opponent, which makes the problem indispensable. But only few researchers have shown an interest in it. Some of the very few exceptions safely consider the adversary simply as a realist. Others merely deliver traditional understandings on the matter. However, both of these approaches show limitations. The former lacks precision of stipulation. The latter suffers from mutual inconsistency between the reports on the opponents by commentators, the excess or lack of references, and the very inaccuracy of traditional information. Hereupon, this paper, criticizing previous approaches, shows new aspects of the old Viṁśikā as seen through the lens of the opponent problem. One can trace the critical viewpoints and conceptual frameworks found within the second verse back to those found in, and only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ideas regarding the opponent found in verses 5-7 can be gathered from the earlier Abhidharmic discourses. The reorganization of these ideas in the Viṁśkiā is directed towards the adjustment of the ontological status of hell guardians (among others) according to the idealist perspective. 본고에서는 『유식이십론』의 대론자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그에 따라『유식이십론』의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이에 기반한 대안적 독해를 제공한다. 『유식이십론』은 일인칭 화자와 논적이 일련의 가상적 대론을 벌이는 형식을 띠기에 논적의 정체성 문제는 『유식이십론』 연구의 불가결한 부분이라고 할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선행 연구자들은 이 문제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소수의 예외 중에서 일부는 대론자를 ‘실재론자’ 정도로 안전하게만 이해한다. 한편다른 이들은 전통적인 주석들의 보고를 전달해줄 뿐이다. 그러나 이 2가지 접근법은 모두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전자의 경우 주로 규정상의 엄밀함이 부족하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주석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들이 상호 불일치한다는 점, 참조해야할 자료가 과다하거나 혹은 부재한다는 점, 주석자들의 설명 자체가 부정확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더불어 대론자 문제라는 새로운 틀을통해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유식이십론』이 어떻게 새롭게 읽힐 수 있는지를 제2송 부분과 제5송-제7송 부분을 시범사례로 하여 보인다. 본고의 독해가 옳다면, 제2송에서 논적이 제기하는 비판적 관점 및 개념적 장치는 다름 아닌 『아비달마구사론』으로 소급된다. 한편 제5송-제7송의 논적은 『아비달마대비바사론』 등에나타난 선행논의를 통해 재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재구성은 소거법을 통해지옥옥졸 등의 존재론적 위상을 유식성 명제에 부합하게끔 조정하는 철학적 기획에 철저히 복무하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

      • KCI등재

        『유식이십론』과 유식성 개념의 변화_『섭대승론』과『유식이십론』을 중심으로_

        이길산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5

        In this paper, I closely look at the central notion of vijñaptimātratā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Common understanding holds that Viṁśikā opened a full-fledged debate with philosophical rivals by offering elaborate arguments. However, it has been overlooked that Viṁśikā made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very idea of vijñaptimātratā itself. From Verse 11 to Verse 15 in Viṁśikā with its own commentary, Vasubandhu aggressively argues that corporeality is never possible due to the antinomies of the very idea of atoms. Successful or not, this kind of metaphysical attempt to deny the very notion of materiality is never found even in the discourses of Yogācāra-Vijñānavādins before Vasubandhu. To capture this conceptual change, I sketch out a conceptual history of vijñaptimātratā by contrasting Viṁśikā to *Mahāyānasaṁgraha that precedes it. Comparing the vijñaptimātratā proofs found in both texts, we can easily notice that Viṁśikā has inherited many points from the vijñaptimātratā proofs or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2nd chapter of *Mahāyānasaṁgraha. It repeats with little modifications the metaphor of dreaming and waking, the citation of the famous passage “O sons of the Conqueror, what belongs to the triple world is mind-only.” in Daśabhūmika-sūtra, the example of those with vitreous floaters, and the so-called collective hallucination of hungry ghosts. Meanwhile, Viṁśikā shows radical departures from the common practice of presenting vijñaptimātratā. It never alludes to Saṁdhinirmocana-sūtra, which was quite authoritative and therefore quoted lengthily in *Mahāyānasaṁgraha. Furthermore, Viṁśikā tries to introduce new approaches, among which the critique of materiality is the most important. It is not just for its logical nature and argumentative power but also for its conceptual change in the notion of vijñaptimātratā itself. In short, Vasubandhu was the first to embed the radical refusal of materiality, an essential factor in Berkeleian immaterialism, in the very idea of vijñaptimātratā. 본고에서는 『유식이십론』의 키워드인 유식성을 역사적 관점에서 조망한다. 인도철학사에 『유식이십론』이 끼친 기여는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정교한 논변을 제공하여 본격적인 토론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 한정될 수 없다. 이에 더해 유식성의 개념 자체에 변화를 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점은 특히 제11송부터 제15송까지의 내용에서 잘 드러난다. 여기서 바수반두는 극미 개념의 이율배반성에 기반해 물질 자체가 성립할 수 없음을 적극적으로 논변한다. 해당 논변의 성패와 별도로, 물질의 개념 자체를 허물어 버리려는 이 시도는 바수반두 이전 유식성 논의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 역사적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 『섭대승론』과 『유식이십론』의 유식성 논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양자는 많은 각도에서 비교가 가능하나 특히 물질의 정체에 대한 첨예한 입장의 차이를 보인다. 이로써 바수반두의 유식성 이해에 기존에는 보이지 않던 급진적인 물질성 비판이라는, 버클리의 비물질주의(immaterialism)에 상당하는, 새로운 차원이 추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지눌에게 경절문이 성적등지문보다 우위인가?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이길산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2 No.-

        This article opposes to the common belief that the Shortcut approach is regarded by Chinul as superior to the Waking and Quelling Samāhitā approach. Chinul’s biographical inscription by an officer Kun-su Kim presents the so-called ‘three approaches’ composed of the Waking and Quelling Samāhitā approach, the Complete and Sudden Adhimukti approach, and the Shortcut approach, which have been seen by the most important researchers as the best illustration of his whole thought, with a few exceptions of course. After examining those opinions that reject the three approaches in total or some parts of them,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ir arguments have some intrinsic and extrinsic flaws. And then I introduced other views which especially concentrate on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Personal Notes, the optimal target for our discussion and still insist on the common belief in question. I specified the crucial passages seemingly in support of their positions and came up with my own alternative reading of them. I went even further by conjecturing and refuting other possible reasons in favor of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본 논문에서는 지눌에게 있어 경절문이 성적등지문보다 우위라는 일각의 통념에 반대한다. 지눌 입적 후 김군수가 조계산수선사불일보조국사비명 에서 제시한 성적등지문·원돈신해문·경절문의 3문의 구도가 보조사상의 전체 구도를 가장 잘 드러낸다는 점 자체에 대해서는 연구자 사이에 대체로 합의가 모아져 왔으나 이 구도 자체를 의심하는 소수의견들 또한 있었다. 이에 특히 3문 전체나 일부를 아예 거부하는 입장들을 살펴본 결과, 그들의 논의에 내재적·외재적 결함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3문의 구도가 가장 잘 나타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자체를 본격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연구들 중에서 여전히 성적등지문보다 경절문이 우월하다고 보는 경우를 소개한 다음, 그들이 염두에 두었을 법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의 관련 구절을 재검토하여 그들의 독해가 공유하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어 경절문의 우위 주장과 관련해 추가로 제출될 수 있는 논리를 구성해보고 다시 그에 대한 재반론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초기유가행파의 진리 개념의 한 측면-『보살지』 「진실의품」의 tattvārtha(漢: 眞實義)를 중심으로-

        이길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My purpose here is to provide a grammatical analysis of the term tattvārtha and to show the semantic pictur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ruth(tattva) in Tattvārtha Chapter in Bodhisattvabhūmi. That is, I want to explicate what early Yogācārins meant by the expression tattva. Tattva, which could be identified with tattvārtha in the text, holds a central position in in the structure of the text, but it hasn’t been given a due attention partly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concept ‘a thing(vastu)’ in the same text. But tattva is also worthy of note for using a new term itself is a conceptual event that calls for a lengthy explanation, which is partly elucidated with its prehistory I’ve offered in this paper. And once we concentrate on the semantic question about it, we can catch the complexities it has, which again help u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text and its context. 『유가사지론』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편집된 것으로 간주되는 챕터 중 하나인 『보살지』에서 가장 철학적인 소챕터로 여겨지는 「진실의품」은 인도불교 연구자들에게 특히 3성설의 전단계로 간주되어 종종 연구되어 왔으나 본격적인 연구는 이제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진실의품」의 제명이자 해당 소챕터를 조직하는 핵심개념인 tattvārtha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시킬 것이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자들에게 이 개념이 적확히 포착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여 시론적 연구의 필요성 및 정당성을 주장한다. 3장에서는 해당 복합어의 풀이 자체가 소홀했던 점을 지적하며 주석 문헌 등을 활용해 전면적인 문법적 분석을 시도한다. 4장에서는 이 개념이 적어도 불교도들에게는 생소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선행연구 등에 입각해 인도철학사적 맥락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5장에서는 이상의 작업에 근거해 「진실의품」을 독해하여 초기유가행파의 진리 개념의 일면을 노정한다. 6장에서는 인도철학사 전체에서 「진실의품」이 점하는 위상 및 그 특이성을 지적하며 논의를 마친다.

      • KCI등재후보

        따져묻기(tarka)의 교학적 맥락

        이길산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3 명상심리상담 Vol.29 No.-

        This paper delves into the genealogy of the concept of "tarka" in the Indian Buddhist tradition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notion of "contentious meditation." While "tarka" i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rivals engaging in troublesome, noisy, and often meaningless debates, Vasubandhu employs this term to delineate his own limitations in Viṃśikā, necessitating a more comprehensive explanation. The prevailing interpretation, advocated by Hyodo Kazuo, perceives it as an expression of the author's humility. However, this perspective falls short, given that Vasubandhu himself created the aforementioned practice. Instead, a thorough examination and analysis of Vasubandhu's intended message is required. Drawing insights from subsequent commentators such as Kuiji and Sthiramati, Vasubandhu's discourse appears to reflect the complexities of contemporary scholarly considerations. 본고에서는 ‘고요한 명상’에 대비되는 ‘시끄러운 명상’의 연원을 찾아 인도불교의 따져묻기(tarka) 개념의 계보를 살펴보았다. 붓다 이래로 따져묻기는 골치 아프고 시끄러우며 또 무의미한 논의에 종사하는 외부자들의 특성을 포착하는 단어로 흔히 등장한다. 그러나 유식이십론에서 저자 바수반두는 스스로의 한계를 규정하며 이 개념을 사용하고 있기에 그 취지가 해명될 필요가 있다. 효도 가즈오로 대표되는 통상적인 견해는 저것을 바수반두의 겸사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 자체를 바수반두가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그다지 좋은 설명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보다는 바수반두가 스스로의 역량을 ‘따져묻기’라고 지칭하며 전달하려는 내용을 재구성해볼 필요가 있다. 규기나 스티라마띠 같은 후대의 주석가들의 접근에서 힌트를 얻을 때 바수반두의 저 언사는 다소 복잡한 교학적 사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유식이십론』의 논변 전략에 대하여

        이길산 한국불교학회 2024 韓國佛敎學 Vol.109 No.-

        켈너‧테이버의 새로운 제안에 따르면, 『유식이십론』 전체는 무지로부터의 논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바수반두는 인식 독립적인 존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제대로 보증해주는 바른 인식수단이 부재하다는 점을 차례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텍스트를 기획하였다. 이 이해에 따르면 『유식이십론』의 제1송부터 제7송까지는 추리 파트이고, 제8송부터 제15송까지는 전승 파트이며, 제16송 이후는 지각 파트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들의 독해는 상당 부분 자의적으로 보인다. 특히 텍스트 전체의 논리를 표명하는 것으로 치켜세웠던 ‘존재 판정은 바른 인식수단에 달렸으며 특히 지각이 중요하다’라는 원리에 대한 그들 자신의 해석이 문제적인 것으로 보인다. 『석궤론』에서 바수반두는 정지와 후득지만을 바른 인식수단으로 인정했다. 지각‧추리‧성취자의 전승 등 통상적인 바른 인식수단은 오로지 일정한 해석을 부여해야만 그 부차적인 지위가 인정된다고 할 수 있다. 『유식이십론』의 논의를『석궤론』에 연속하는 것으로 볼 경우, 바른 인식수단에 대한 바수반두의 이항적 인식은 켈너‧테이버에 해석적 제안을 철저하게 거부할 이유를 준다. 나아가 바수반두의 이 독특한 발상을 받아들일 경우, 이제껏 잡다한 나머지 논변 모음 정도로 받아들여져 왔던 『유식이십론』 제16송 이후의 논의에 나름의 서사적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recent proposition put forth by Kellner and Taber, the logical framework underpinning Vasubandhu’s Viṃśikā can be characterized as an argument from ignorance. Structuring the text, the author, they argue, sequentially highlights the absences of the respective means of valid cognition that adequately substantiates our belief in the existence of cognition-independent entities. The first seven verses comprise the Reasoning Section, followed by verses 8-15 designated as the Scripture Section, with the remaining verses categorized as the Perception Section. Nevertheless, the new interpretation appears somewhat arbitrary, particularly in their explication of the principle(s) asserting that “the judgment of existence depends on the means of valid cognition, with perception being the most crucial among them.” Vasubandhu, in Vyākyāyukti, acknowledges only non- conceptual cognition and pure mundane insight as means of valid cognition. Consequently, Common means of valid cognitio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verbal testimony can assume a secondary role only when a specific interpretative viewpoint is provided. It is this binary approach to means of valid cognition that does stand as a compelling rationale for unequivocally rejecting the proposal by Kellner and Taber. Furthermore, embracing Vasubandhu’s distinct conception of means of vaild cognition seems to lend a narrative coherence to the post-verse 16 section of Viṃśikā, traditionally regarded as a miscellaneous compilation of diverse debat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