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SEMM방식에 의한 골반경 자궁적출술 (CISH) 의 임상적 경험 43 예

        심재욱,김희수,손찬우,이승호,유은희,고창원,이기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복구와 질에 절개선이 없고 실제적으로 복강을 열지 않고 Serrated-Edge Macro Morcellator를 이용하여 자궁을 제거하므로 환자에 대한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수술감염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2. 자궁경부의 편평-원주세포 연결부 및 자궁저부의 조직을 얻어 조직학적 검사와 판독을 할 수 있으며 자궁경부암 및 자궁내막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3. 수술후 자궁천골인대와 골반저부를 정상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므로 회복이 빠르며 정상적인 사회생활로의 복귀를 촉진시킬 수 있다. Classical intrafascial SEMM hysterectomy (CISH) is a synthesis of cervical conization, supracervical amputation and operative laparoscopy to constitute a new type of hysterectomy compatible with the concept of minimally invasive and organ preserving surgery. We have experienced of 43 cases of CISH at Cheil General Hospital from November, 1992 to April, 1994. There were three cases where CISH was stopped an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as done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the size of the uterus being too large to apply endoloop around the cervico-corporeal junction, severe pelvic adhesion and subcutaneous emphysema.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43 years old. Indication were 17 cases of uterine myoma(42.5%), 15 cases of adenomyosis(37.5%), 5 cases of ovarian tumor(12.5%), 2 cases of abnormal uterine bleeding(5.0%) and 1 case of endometiral hyperplasia(2.5%). In size of uteri, 8 gestational weeks size was the most common, being 14 cases(35.0%), and the size of uteri varied from 6 to 12 gestational weeks. We have performed subtotal hysterectomy preserving the cervix whereas squamo-columnar junction and endocervical glands being revomed to prevent potentia occurrence of cervical cancer in future. The cervical shell connected by uterine ligaments was preserved to maintain the normal pelvic floor to minimize postoperative infection and to accelerate early recovery. Initially, the mean operation time was 310 minutes. With accumulation of operators experience it was reduced to 198 minutes. The hemoglobin was reduced by 1.66 gm/dl and the hematocrit by 4.57%. There were 2 cases of massive bleeding during operation and 3 cases of minimal cervical bleeding, 2 cases of dysuria, 1 case of febrile morbidity and 1 case of severe headache postoperatively. The average hospitalization was 6 days. The average days of return to domestic activity was 21.5 days. In conclusion, CISH was compatible with minimally invasive and organ preserving surgery and showed shorter operation time with subsequent quick recovery of patients and the reduction of complications. Moreover, hospitalization can be shortened. The important factors in maximizing these advantages of CISH were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the size of the uterus, and the degree of the pelvic adhesion.

      • KCI등재

        도시지역 여자 중학생의 초경 및 월경장애에 관한 조사연구

        임경택,김태진,오기석,전종영,황정혜,이기훈,한동운,문옥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1993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 시내 중학교 2학년과 3학년 여학생 1,08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경 및 월경의 특성과 장애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학생의 평균 초경연령은 12.6세였으며, 가장 빠른 초경연령은 8.3세, 가장 늦은 초경연령은 15.3세였다. 2. 초경 경험 학생과 비경험 학생의 체중 및 신장을 보면 초경경험 학생의 경우 신장 158 cm, 체중 48.8 kg으로, 초경 비경험 학생의 신장 154 cm, 42.9 kg에 비해 각각 4.0 cm, 5.9 kg차이가 있었다. 3. 월경의 주기는 평균 29.4일이었으며, 월경의 지속기간은 2-10일 사이로 평균 5.8일이었고, 월경의 양은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80.6%로 가장 많았다. 4. 월경의 주기가 22-39일 사이로 정상인 경우가 80.7%로 가장 많았고, 21일이하의 빈발월경은 11.5%, 40일이상 3개월미만의 희발월경은 5.5%, 3개월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는 2.1%였다. 5. 계절에 따른 초경시작의 분포를 살펴보면 겨울(29.6%), 여름(27.5%), 봄(23.0%), 가을(20.9%)로 여름과 겨울에 초경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6. 월경곤란증을 경험한 학생은 응답자 881명중 78%였으며, 이중 견딜만하거나, 중등도인 경우가 91%로 대부분이었으며, 심하거나, 심해서 학교를 결석, 조퇴하는 경우는 6.9%였다. 7. 월경곤란증 때문에 진통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45.3%였으며, 이중 매 주기마다 복용하는 경우는 19.6%였으며, 가끔 복용하는 경우는 48.6%로 거의 반수 이상이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월경전 증후군은 대상학생 881명중 23.4%에서 경험한 적이 있었으며, 주증상은 불안, 피로, 우울등이 대부분이었다. 9. 초경시의 문제점이나 월경곤란증, 월경전 증후군 등의 청소년기 부인과적 문제 대문에 병원을 내원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5.8%였고, 골반진찰에 동의한 경우는 64.7%였으며, 여의사인 경우에만 진찰하겠다는 경우도 2.1%있었다. 진찰을 거부하는 경우는 33%였는데, 창피하고 무섭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10. 부인과적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고민을 보면, 월경에 대해 고민이 있는 경우는 74.6%였으며, 이중 월경곤란증이 46.2%로 가장 많았고, 월경전 증후군이 15.6%, 월경불순이 6.3%, 질분비물 0.8%의 순이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the menarch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menarche and menstual patterns after menarche. For the data smpling, self administered questionaire survey was made in July, 1993. Among the 1089 middle school girls in urban area. 1. The mean age of menarche was 12.6 years old. And menarchel age ranged from 8.5 years old to 15.3 years old. 2. The girls at manarche was taller and heavier than those of the same age who had not experienced menarche. 3. The mean menstrual interval was 29.4 days, the mean duration was 5.8 days. The proportion of normal menstruation, polymenorrhea, oligomenorrhea, and amenorrhea were 80.7%, 11.5%, 5.5% and 2.1%. 4. The summer and winter were highly frequent seasons of the menarche. 5. Seventy eight percent of girls suffered from dysmenorrhea. 6.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took analgesia due to dysmenorrhea was 45.3%. 7. The premenstrual syndrome was experienced by 23.4%. 8. Only 5.8% of girls visited hospital with adolescent gynecologic problems. 9. The percentage of students had gynecologic concerns was 7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