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지역의 해양 GIS 활용과 과제

        이기칠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6 硏究論文集 Vol.29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thodology and establish important tasks to increase the practical use of future Marine GIS based on the user's point of view of the analysis of maritime & fishery government agencies's roles. GIS related job duty of two Busan District offices of MOMAF(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and marine & fisheries local government offices of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for the establishment of MGIS, future extended service targeting user's increased practical utilization. Several suggestions in the area of production mechanism and technical policy for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are developed to settle down successfully MGIS in Busan. Furthermore, 10 fields of Marine geographic issues are rearranged for intending the desirable system and service.

      • 국가 위성항법 시스템의 활용과 관련된 이용서비스

        이기칠,정중식,서상현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8 硏究論文集 Vol.31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cribe and suggest the future available services by using the ability of estimating position with submeter error, which is provided by National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NDGPS). Such countries as Japan, Australi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ave reviewed various applications for DGPS services with high accuracy of submeter level. In Korea, many researchers have found applications usable by NDGPS. Korea government is also seeking for applications to efficiently utilize NDGPS services as a national infrastructure. We suggest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ervices(GNSS) position services with high accuracy by investigating technologies with relation to a national R&D strateg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Marine Technology(MT). The suggested services would help expand the future applications for NDGPS.

      • KCI등재
      • KCI등재

        공간의 실존적 구현을 통한 정착의 의미화로써 〈작업실〉 연작

        이기칠(Yi, Gee Chi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예술가는 작업을 통해 비로소 실존할 수 있고, 이 작업 행위는 바로 작업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곳은 지극히 실존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작업실〉 연작은 2000년 겨울에 시작되어 2014년 여름에 완성된 장기 기획이다. 이 연작은 하나의 현실적 활동으로서 예술행위가 이루어지는 작업실을 예술의 방법론으로 구축하여 예술이라는 세계에 정착하려는 의지로부터 시작되었다. 이것은 본 연구자의 정신적 거주지로써 작업실이라는 실존적 공간의 의미를 사유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를 극복하고 해결하려는 계획의 전과정과 결과이다. 본 연구는 15년에 걸쳐 이루어진 〈작업실〉 연작을 상세하게 기술하기 위한 작품 논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실〉 연작의 전개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그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개되는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실존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존재 의미를 확인하는 기반을 이룬다. 둘째, 정착의 역설적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출발의 전망을 세운다. 셋째, 작업의 배경과 형식을 기술하고 그 궁극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작업실〉 연작의 총체를 정리한다. 〈작업실〉 연작은 작업실이라는 물리적 조건을 넘어서 공간의 실존적 의미의 모색을 통해 예술가라는 주체가 어떻게 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가를 질문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것은 예술이라는 세계에 정착하는 교두보를 구축하는 과정이고 향후 새로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점을 조성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완성된 〈작업실〉 안에서 끊임없이 예술의 외연을 확장해나감으로써 이곳이 예술가로서의 자신을 입증해나가는 장소로 기능하기를 기대한다. Basically artists can exist when they work, and the work occurs in a studio.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e studio is surely existential space. The project of 〈The studio〉 is the long term project which started in the winter 2000 and completed in summer 2014. This project began with the will of settling in the world of art by constructing a studio in which art activities take place with a method of art. It is the whole processes and a result of the contemplation with the meaning of the studio as an existential space and the master plan overcoming and resolving the problems related in the studio. This study is for describing in detail the project of 〈The studio〉 which was proceeded during 15 yea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eveloping processes of 〈The studio〉 and to find the meaning of it. So these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 i) establishing the basis of confirming the meaning of existence by searching the existential meaning of space, ii) prospecting the new start by seeking paradoxical meaning of the settlement, iii) arranging the whole project by describing the back ground and the pattern and meaning of the work. The project of 〈The Studio〉 is an interrogational processes of how an artist can settle in society with seeking existential meaning of space beyond physical condition of a studio. So it can be said a sort of establishing a bridgehead for settlement in the world of art and the will of gaining a foothold for new start. I expect 〈The studio〉 which is now completed can function the place in which I can prove myself as an artist by expanding the denotation of art ceaselessly.

      • KCI등재

        거주의 실존적 의미 모색을 통한 장소의 물화로서 조각제작연구

        이기칠(Yi, Gee Chi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오늘날 공간의 일반적인 개념은 근대 물리학에서 말하는 절대적 의미의 자연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리적 개념의 공간에 실존적 주체가 개입하고 그 주체로부터 가치가 부여되면 공간은 비로소 장소의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거주는 삶의 실존적 주체가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여 살아가는 방식을 통해 장소라는 구체적이고 문화적인 개념이 구축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의 <거주>연작은 온갖 종류의 갈등 속에서 문제를 극복하며 형태를 찾아가는 조각의 작업 과정이 무수한 시행착오 속에서 살아가는 삶의 모습과 닮아 있음을 느끼면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이 연작에서는 조각이라는 작업을 통해 안과 밖이 교통하는 물화된 장소로서 주거의 원형(原型)을 추출함으로써 작업과 삶을 하나로 일치시키는 방법론이 모색되었다. 그 결과로 작품 구조의 속은 채우지만 형태의 내부를 비우는 관(管, cylinder) 형태라는 기본 형식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와 거주의 관계성을 문화화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2010년부터 2014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본 연구자의 <거주>연작의 전개 과정을 기술한다. 또한 중심과 축, 안과 밖, 들어감과 벗어남의 개념 분석을 통해 이 연작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형태의 궁극적 의미를 도출함으로써 추후 새로운 작업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general conception of space in these days is the absolute meaning of the natural space derived from modern physics. When an existential subject intervenes in space as a physical concept, and if the space is given a certain value from the subject, it could be at last expanded to the concept of place. In the meantime dwelling is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he specific and cultural conception as the place through the way of living that an existential subject occupies space as the physical concept. The series of 〈Dwelling〉 has begun with the recognition of resemblance between the process of the work of sculpture as seeking forms through the solving problems in the many kinds of conflicts and the way of living by lots of trial and error. In this study, accordingly, the method of matching between my work of art and my life itself has been seeking through the work of sculpture as extracting the prototype of housing in which the inside/outside correspond each other. As a result of that, primary form has been drawn: the cylinder shape which is negated inner space but filled the inside of structure of the art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whole process of the series of 〈Dwelling〉(2010-2014) with the research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place and dwelling in terms of enculturation. And also the ultimate meaning of symbolic form will be elicited with the analysis of concept of ‘center/axis,’ ‘inside/outside’, ‘go-in/go -out.’ By this, the pursuit of a momentum of new way of my work will be expected.

      • KCI등재

        정위(定位) 과정을 통한 실존적 공간의 열림으로써 <작업> 연작

        이기칠 ( Yi¸ Gee Chi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작업을 정위(定位) 과정과 동일시하며 진행되는 연구자의 <작업> 연작의 전개 과정과 그 실존적 의미에 대한 기술(記述)이다. 연구의 방법은 작업의 주체와 예술이라는 개념을 역사라는 수직축과 사회라는 수평축의 좌표 위에 올려놓고 작업의 범위를 좁혀가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일종의 정위 과정으로써,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작업의 목적을 찾아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작업> 연작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돌의 속을 뚫고 들어가는 작업이다. 이 연작은 돌이 갖고 있는 본래 형태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최대한의 작업량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기본 목표로 삼는다. 이것은 특정한 형태와 이에 수반되는 가치에 대한 심리적 저항, 그리고 단단한 돌의 물리적 저항을 작업에 대한 의지로 돌파하기 위한 방법이다. 작업은 돌의 속을 파 들어가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그 결과로 돌의 내부에 커다란 구멍이 뚫린 형태가 나타난다. 형태는 특정한 가치나 의미를 부여한 결과라기보다 그 가치와 의미에 대한 의심과 회의의 과정에 의해 드러나는 것이다. 결국 작업에 대한 의지와 형태에 대한 유보적 태도의 변증법적 갈등이 <작업>의 주된 추동력이 된 것이다. <작업>은 주체와 대상이라는 두 존재가 서로 직면하고 소모됨으로써 열리는 공간이다. 이것은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작업의 목적을 찾아내는 것으로, 한 예술가로서 자신의 존재를 입증하는 실존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 안에서 ‘예술이 나에게 무엇이 될 수 있는가’라는 실존적 질문이 이루어지는 바, 작업의 주체와 대상, 그리고 목적은 <작업>이라는 이름의 구체적 존재로 하나가 된다. 결과적으로 <작업>은 예술이라는 세계 속에서 ‘예술가 되기’라는 궁극적 목적을 찾아가고 도달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작업의 목적을 찾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사이로써 예술가가 되기 위한 출발지이자 목적지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ultimate meaning of the series of < The Works >, through identifying the work itself with the orientational proces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narrowing the extent of the work down with putting the subject as ‘myself’ and the object as ‘art’ on the coordinate of the ordinate as history and the abscissa as society in the art world. This is sort of an orientational process which is finding out the location and direction for seeking the purpose of the work. In a nutshell, the series of < The Works > is to bore holes into the stones. This series has the basic task of the process which draw maximum work and minimum transformation of outer shape of the stones. It has begun from the determination of the breakthrough toward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to the shape and the physical resistance of the solid stones with the will of the work. The work is to negate the stones and as the result the big hole is remained inside the stones. This is the process of scepticism and doubt rather than the result of signifying a meaning or placing a value on the shape of the stones. Eventually the dialectical confliction between the will of work and the doubt of the shape became the impetus of the work. The series of < The Work > is opening space in between material and the process of drawing a specific existence by confrontation and exhaustion of two existences :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is is the existential space with proving the existence as the subject of the work through seek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and purpose. In here the subject and object and purpose of the work become one body with the question : What can be art for me? As a result, this is the process of seeking the ultimate purpose of ‘becoming’ an artist. And the series of < The Work > is a departure and destination for becoming an artist in the art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