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피치 프로젝트가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창균 ( Park Chang-gyoon ),이기정 ( Lee Ki-jyung ) 한국화법학회 2023 화법연구 Vol.- No.60

        This study conducted a speech project targeting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ed their speaking skills and speaking anxie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ly, the speech project continued for one year, and the students' speaking skills evaluation and speaking anxiety test were conducted three times.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method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eech project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peaking skills. Second, the speech project was effective in reducing students' speaking anxiety. Third, in speech projec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peaking skills to interact with the audience and the audience-conscious speaking anxiety factor were observed at different times.

      • KCI등재

        교사판단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의 핵심요인 탐색과 모형평가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중심으로

        김동일(Kim Dong-il),홍성두(Hong Sung-doo),이기정(Lee Ki-j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학습장애 진단에 있어서 의뢰결정에 가장 크게 영항을 미치는 교사의 임상적 판단에 의해 진단된 학습장애 위험군의 핵심요인 탐색을 위해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연구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11개 초등학교 3, 4학년 1개 학급씩 총 22학급의 22명 담임교사와 6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ACCENT(AChievement-Cognitive ability ENdorsement Tests) 인지영역검사와 국어영역 검사를 실시하였고, 해당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습장애 판단에 대한 설문을 통해 교사판단 기반 학습장애 준거집단을 설정하였다. 준거집단에 대해 인지영역검사와 국어영역검사를 통해 얻어진 ‘회귀불일치 비교모델 편차점수’, 표준점수 비교모델 편차점수’, ‘언어이해’, ’주의집중’, ‘지각적 조직화’, ‘읽기’, ‘쓰기’ 요인을 예견변수로 삼아 의사결정나무분석과 모형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효과적인 핵심변인은 읽기를 중심으로 쓰기, 언어이해, 주의집중 등 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에 의해 설정된 모형은 교사판단 기반 일반학생과 학습장애를 구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장애 진단 요인 줄 능력-성취간 편차점수는 교사판단에 있어서 아무런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e elements of learning disabilities identified by teachers" clinical decision. Participates in the study were 668 students (3~4 grade) and 22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everal instruments were administerd, including the intelligence test and Korean language test in AChievement- Cognitive ability ENdorsement Tests(ACCENT), a written report form for teachers" clinical decision. Decision trees were performed to find core factors of learning disabilities (LD) based on teachers" clinical decision. It was verified model assessment that %response, %captured response, lift, response threshold table, interactive profit, correct classification, and confusion matrices. Considering the results, "reading", "writing", "attention", and comprehension" were more important indicators as core factors of LD based on teachers" clinical decision.

      • KCI등재

        학습장애와 뇌 기반 교육

        김동일(Dong Il Kim),김이내(Ie Nai Kim),이기정(Ki Jyung Lee),신재현(Jae Hyun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1

        이 연구는 ‘증거 기반(evidence-based)’ 읽기중재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뇌 영상기법 사용의 장점과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학습장애아동의 판별 및 중재에 있어,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TI)적 접근이 제시됨에 따라 과학적이고 증거에 기반을 둔 중재가 무엇인가와 함께, 학습장애의 신경심리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뇌 영상기법들(예: fMRI, EEG, MEG 등)의 진보는 효과적인 중재의 객관적인 효과성을 설명해주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읽기교수(예: 집중적인 음운인식 교수)를 통한 특정 뇌 신경체계의 변화를 뇌 영상기법을 활용하여 살펴본 근래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자들은 증거 기반 읽기중재가 관련된 뇌 영역의 신경체계를 변화시켰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이 신경체계들이 가소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사실은 증거-기반 읽기중재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효과의 타당성을 입증함을 주장하고 있다. 연구결과들이 교육에 시사하는 함의, 간학문적 협력의 필요성, 뇌영상 기법에 대한 비판적인 이해와 활용 등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advantages and availability of the use of neuroimaging techniqu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reading interventions. To identify and provid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approach has been widely applied by researchers as an alternative to ``ability-achievement discrepancy`` model. In spite of its merits as an early prevention and intervention model, RTI has some limits of explanation of neuropsychological aspects of LDs, and difficulty in agreement on what is scientifically, evidence-based intervention. As an emerging alternative to explaining the effectiveness of effective reading interventions,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imaging technologies, neuroimaging methods such as fMRI, EEG, MEG have potential to show additional, objective evidence for effective interventions. We reviewed the studies on effectiveness of reading instruction (e.g., intensive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using the neuroimaging techniques to identify neural changes on specific brain areas that are believed to be concerned in reading. Research indicated that the neural circuits related to reading were remediated by provision of evidence-based, effective reading interven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rain system for reading have a plasticity, which validates effectiveness of reading intervention.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focusing on the need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critical understanding in applying the techniques to education.

      • KCI등재

        수학 기술 중재 효과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동일(Dong Il Kim),김이내(Ie Nai Kim),신재현(Jae Hyun Shin),이기정(Ki Jyu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뇌 가소성을 기반으로 하여 중재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뇌 영상기법을 통한 신경심리학적 접근이 제시하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증거 제공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 모형으로서 중재반응모형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들 중 하나인 소위 증거 기반 중재에 대한 쟁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에 제공하는 함의점을 도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간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뇌 영상화 기법을 활용하여 수행한 수학 기술 관련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수집하여 정리한 다음 그러한 연구 동향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들을 도출하고, 뇌 영상기법을 교육학 연구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그 전망과 한계,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hat scientifically proven evidence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based on a brain plasticity can be provided by neuropsychological approach, and to elicit som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focusing on the issue of evidence-based practice(EBP) of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RTI) as a model for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o mathematical skills conducted using neuroimaging techniques during the past ten years.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findings, and suggested future perspectives and limitations.

      •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이기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3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conducted for students of the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valu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teaching beliefs and attitud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than male students, and in detail, they showed high adaptability i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igh satisfaction in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comprehensive student-affiliated screening showed high scores in college characteristics and high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When comparing th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by grade, the first year showed higher scores on the college life adaptability index than the third year and showed high adaptability i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igh satisfaction in university characteristics. Lastly, whe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eliefs and attitudes and college life adaptability,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teaching confidence, and socioeconomic expectations and self-development expectations when becoming a teacher are high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aptability was confirmed. 본 연구는 A교육대학교 예비초등교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A 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 으며, 개인특성과 함께 교직 신념 및 태도, 대학생활적응을 평가하였고, 빈도분석(교차분석)과 평균비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하여 일반전형에서는 남학생 이, 재수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이과계열학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여학생 이 남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력 지수 점수가 높았고, 세부적으로 학생특성 영역에서 높은 적응 력,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특성 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높은 대학생활적응력 지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력 을 비교했을 때,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대학생활적응력지수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특성에서 높은 적응력과 대학특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로 신념 및 태도와 대학생활 적응력 간의 상관을 보았을 때, 교직에 대한 내적동기와 교직 자신감, 그리고 교사가 되었을 때 가지게 될 사회경제적 기대감과 자기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대학생활적응력과 높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 고학년의 장애인식 조사 연구 : 통합교육 및 장애친인척 유무를 중심으로

        김주호, 이기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6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장애인에 인식이 통합교육 및 장애 친인척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그림검사를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검사에 나타난 초등 고학년의 장애인식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통합교육 경험 차이(통합교육 기간,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에 따라 장애 인식에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장애친인척 여부에 따라 장애 인식에 차이를 보이는가?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교육청 산하 220개 초등학교 중에서 14개의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800여 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림검사 분석틀과 그림검사지를 개발하였다. 회수된 검사지는 특수교육 전문가 1인과 함께 관찰자간 신뢰도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 고학년은 장애인을 도움과 돌봄이 필요 한 존재 즉, 의학적 관점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고, 5학년보다 6학년이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통합된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이 지적, 정서, 자폐성 장애인 경우, 타 장애유형 보다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장애인 친인척의 유무에 상관없이 초등 고학년 학생들은 장애를 도움과 돌봄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애인 친척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애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 KCI등재

        읽기ㆍ수학 공존장애 연구동향 분석

        김동일,고혜정,신재현,김우리야,이기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3

        읽기와 수학 공존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교육적 상황에서 단일 학습장애 학생들보다 훨씬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밝혀졌음에도, 여전히 그 학생들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부족함은 물론 관련 연구들은 불일치하는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장애와 수학장애의 공존에 대한 국외 연구경향을 살피기 위하여 36편의 연구를 리뷰하는 것이다. 수집된 연구들을 연구유형과 주제, 즉 특성, 원인론, 출현률, 중재에 따라 분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ㆍ수학 공존장애 (MDRD) 학생들은 낮은 음운인식 능력, 작업기억 결손, 수 지식 인출 및 계산유창성에서의 결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문장제 문제를 풀어야 할 때, 학습문제의 공존을 보이는 학생들은 수학 문장제 영역에서 수학 학습장애만을 가지고 있는 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학능력을 보인다. 둘째, MDRD의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같은 원인론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셋째, 출현률 연구들은 LD에 대한 다양한 조작적 정의와 각 연구별로 다른 준거점수 적용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RD와 MD의 공존은 분명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른 중재 접근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MDRD를 가지고 있는 학생을 정확히 판별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를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36 research to look into the research trends on comorbidity of mathematics disabilities and reading disabilities. The collected studi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research types and topics including characteristics, etiology, prevalence and intervention. Most research types were concentrated on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by topics are as follow. First, students with MDRD showed low phonological awareness and defect in working memory, deficiency in mathematical fact retrieval and calculation fluency. Especially when faced to solve math word problems, students with comorbidity learning problem shows significantly lower math skills than students with MD. Second,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for examining the etiology such a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comorbidity of RD and MD. Third, the prevalence studies have been different consequences according to various operational definitions of LD and cut-off scores in each research. Lastly, comorbidity of RD and MD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requires different intervention approaches. Nevertheless, studies which employed intervention was scarc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students with MDRD and the necessity of conducting a variety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