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록의 국어학적 고찰

        李氣銅(Lee Ki-do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록』이라 불리는 작품의 이본인 李氣銅本과 一?本을 국어학적으로 비교하여 李氣銅本의 간행 연대를 추정하는 것이다. 『한중록』은 『한중만록』, 『읍혈록』 등의 명칭으로 불리며 지금까지 21종의 이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원본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 본고에서는 여기에 새로운 1종을 추가하여 李氣銅本이라고 하고 이를 一?本과 비교하여 李氣銅本의 간행 연대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두 이본 사이에서 관찰되는 연철ㆍ중철ㆍ분철, 합용병서, ‘ㅎ’종성체언, 높임법의 주격 표지, 음운변화 등의 표기 경향을 살폈다. 李氣銅本의 표기는 근대국어의 일반적 표기 경향에 가까우면서도 궁중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성격 때문에 근대국어 이전의 표기 경향도 반영하는 보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一?本은 근대국어의 표기경향을 따르면서도 근대국어 후기의 성격도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 이본의 비교를 통해 李氣銅本이 적어도 一?本보다 앞선 시기의 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e Ki Dong-version Hanjungrok with the IlSa-version linguistically and to estimate the age of publication. The Hanjungrok has 21 versions and various names such as Hanjungmanrok, Uephyoelrok. But, up to now, there is no version identified as the original. In this paper one version called Lee Ki Dong-version is added to the versions of Hanjungrok and then compared with IlSa-version to estimate age of publication. For tha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notational tendency of both versions. On the one hand the notation of the Lee Ki Dong-version resembles Modem Korean notational tendency, but on the other shows the conservativeness that reflects the notational tendency of Middle Korean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as Court literature. In comparison, the IlSa-version reflects the notational tendency of not only Modem Korean but also Late Modem Korean.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the Lee Ki Dong-version and the IlSa-version suggests that the former is earlier at least than the latter.

      • KCI등재

        혼합과점과 환경문제:녹색소비주의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기동 한일경상학회 2020 韓日經商論集 Vol.89 No.-

        Assuming symmetric environmental technologi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firm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nteraction between green consumerism and firms’ behavior affect the market equilibrium when firms compete á la Cournot in a mixed duopoly market. If government environmental policy precedes the firms’ move, then the optimal environmental tax rate in the mixed oligopoly is the same as that in the private oligopoly, leading to the same market outcomes in both market structures. If the public firm is a simple social welfare maximizer, then the optimal environmental tax is a function of the magnitude of pollution emission per unit of output and consumers cognition of pollution damage. The higher the magnitude of pollution emission and the lower the consumers’ cognition of pollution damag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optimal environmental tax. If the level of pollution emission per unit of output is sufficiently low, then the optimal environmental policy is environmental subsidy. Finally, partial privatization from a full nationalization status enhances social welfare, so that the optimal degree of privatization exists as a function of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본 연구는 대칭적 환경기술을 가지는 혼합과점(mixed oligopoly) 시장을 상정, 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증대가 환경정책,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공기업 민영화와의관련성에 대해 분석한다. 기업의 오염배출 비율이 동일한 경우, 최적 환경세 수준은 민간기업 과점과 혼합과점에서 동일하며 이에 시장 성과도 동일하다. 최적 환경세는 오염배출의 환경손실비율과 소비자의 환경인식 정도에 의존한다. 오염에 따른 환경손실비율이 충분히 작다면 최적 환경정책은 보조금 지급이다. 그러나 오염의 환경손실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정(+)의 환경세 부과유인이 존재한다. 이 경우 소비자의 환경인식 증대는 최적 환경세의 수준을 낮춘다. 정부의 환경세도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공기업의 도입(혼합복점)이 민간기업 복점의 경우보다 후생개선적이다. 그러나 완전 국유화의 공기업에서 한계적 민영화 추진은 사회적 후생의 증대에 기여하며 이에 최적 민영화의 수준이 존재한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가정의 의미와 역할

        이기동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e divorce rate in Korea is as high as that in Denmark, which is ranked to the fourth of OECD nations.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 divorce rate of Korea would not be a serious problem, viewing its figures and ranking. However that conclusion would hold a critical fallacy. The Korean mind and though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A way of thinking in the west has been founded on the basis of individualism. Since westerners see a standard unit which consists a nation as an individual, although they get married there can be found an individualism in their family. In this circumstance, the impact caused by a divorce is lesser. However the things in Korea are different. Koreans' way of thinking does not arise from individualism. In Korea, a family is regarded as a standard unit of nation. When they get marr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ill be changed into the one, which can not be separated. In this case, a divorce gives a very serious impact on Korean family. When considering the severe shock from which Koreans will suffer by divorces, we need to approach a divorce in Korea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For this, we have to examine closel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amily in Korea on the basis of Korean culture, thought, and mind. 한국의 이혼율은 OECD 국가 중 덴마크와 함께 네 번째로 높다. 수치로만 보면 한국의 이혼율은 미국, 체코, 벨기에에 이은 4위이기 때문에 아직 크게 우려할 만한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에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은 유럽인의 그것과 전혀 다르다. 유럽인의 사고방식은 개인주의에서 출발한다. 유럽인들은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를 개인으로 보기 때문에, 개인과 개인이 결혼을 하여 가정을 이루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개인의식이 남아있다. 결혼하기 전이나 결혼한 뒤나 여전히 개인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혼을 하더라도 충격이 적다. 그러나 한국인은 다르다. 한국인의 사고방식은 개인주의로 출발하지 않는다. 한국인들은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가 개인이 아니고 가정으로 본다. 한국인들은 개인과 개인이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면 개인과 개인이 융합하여 분리될 수 없는 하나로 바뀐다. 가정을 기본단위로 하는 한국인들의 경우 이혼으로 가정이 깨어질 때의 충격은 서구인들의 그것과는 전혀 다르다. 이혼으로 가정이 깨어진 한국의 가정에서는 충격은 엄청나다. 이혼의 충격은 부부에게서 끝나는 것만이 아니다. 자녀에게도 또한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온다. 이혼으로 인해 받게 될 한국인의 충격을 고려한다면 한국인의 이혼문제는 다른 각도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의 사상과 문화, 그리고 한국인의 정서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가정의 의미와 역할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최근에 한국사회는 혼란이 점점 더 도를 더해가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의 고유한 정서를 무시하고 서구의 방식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데서 기인한다. 그러나 이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는데도 무너지지 않고 잘 버텨오고 있는 것은 가정이 가정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가정까지 흔들리기 시작했다면 이는 심각한 사태가 아닐 수 없다. 우리 모두 다 함께 심사숙고해 보아야 할 때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