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 구석기문화의 조사와 연구 성과 - 1986~2016년

        이기길 ( Lee Gi-kil ) 호남고고학회 2017 湖南考古學報 Vol.55 No.-

        국내 연구자에 의한 호남 구석기문화의 조사와 연구는 1986년에 시작되어 2016년에 30주년을 맞았다. 그 사이 광주, 전남과 전북의 도처에서 조사된 수많은 유적들과 축적된 연구 성과는 호남 역사와 문화의 뿌리와 시원을 이 해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럼에도 조사 유적과 발표 문헌들에 관한 자세한 통계를 포함한 기초자료 작성(database)과 그것을 분석하여 최근까지의 경향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그다지 이뤄진 바 없다. 지난 30년간 호남에서 조사된 발굴유적은 74개, 지표유적은 405개로 모두 479개, 그리고 국내외 학회지 게재 논 문 편수는 각각 84편과 17편, 학위논문은 23편, 단행본은 6권으로 집계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발굴유적은 거의가 구제발굴된 것이고 학술 목적의 조사 유적은 네 개뿐이었으며, 지표유적의 대다수는 대학 소속 전공자에 의해 찾아 진 사실이다. 한편 국내 논문의 경우 2000년대 전반기에 90년대 후반기보다 무려 세 배나 많이 발표되었고 이후에 도 비슷한 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국제저널에도 2000년대 전반 이후 꾸준히 게재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조사와 연구의 추세는 1990년대 후반까지 `기지개 단계`, 2000년대 전반은 `급성장 단계`,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전반은 `활발한 단계`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year is the 30th anniversary of Paleolithic survey and research which have been initiated by Korean scholars since 1986 in Honam region. Review on survey result and research outcome seems to be well worth setting long-term prospect and a promising future of Paleolithic studies. Lists of sites, reports, articles, monographs were primarily completed and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total number of excavated sites and surface surveyed sites are 74 and 405 respectively. Moreover the volumes of excavation report and surface surveyed report account for 72 and 63 each. The total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are 84 and 17 separately.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master`s theses is 22. Finally, six monographies were publishe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 assessment can be drawn from the survey result: From the last half of 1980s to the first half of 1990s was the “warming up” stage, The last half of 1990s to 2000s was the “vigorous” stage, and the 2010s is the “inactive” stage. Meanwhile, research trend is characterized a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excavated and surveyed sites was the major subject until 1990s. Since 2000,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 many aspects such as chronological framework,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ypological, metrical and technical analysis of flaked tools, joint research with scientist, and publication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journals.

      • KCI등재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 유물군의 다원성과 동북아시아에서의 관계성

        이기길(Gi-Kil Lee)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3

        2002년부터 장흥 신북 후기구석기유적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 결과 유적의 환경과 입지, 층서와 문화층, 편년, 석기군의 구성 등에 관한 정보가 상당히 축적되었다. 그리고 돌날석기로 대표되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도구제작, 슴베찌르개를 사용한 원거리 사냥, 다양한 밀개가 지시하는 발전된 가죽 가공, 화덕이 딸린 주거생활, 철석영의 상징적 사용 등 아프리카와 유럽의 현생인류 문화와 유사한 요소들이 유물군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한편 백두산과 일본 규슈 기원의 흑요석은 신북유적의 구석기인들이 원거리교류망과 도항 능력의 소유자였음을 가리킨다. 그리고 시베리아 기원의 유베츠형 좀돌날몸돌, 한반도 고유의 슴베찌르개가 공존하는 점에서 그들은 원거리의 이질적인 문화와 교류하면서 지역의 동질성을 유지하는 삶을 꾸려나갔다고 해석된다. 이처럼 신북유적은 동북아시아에서 전개되었던 후기구석기문화의 다원성과 관계성을 복원하는데 있어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For the last 20 years, archaeological excavations, surface surveys, and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and two international symposium were held on the Sinbuk Upper Paleolithic site. As a result, various archaeological records and informations about site location and its environment, stratigraphy and cultural layer, chronology, lithic assemblage, function of the site and etc. have been accumulated abundantly. Modern human behaviors such as complex and systematic tool production system, hunting technology of long-range projectiles, improved skin-working technology, stone hearth construction, symbolic use of ferruginous quartz are trac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artifacts and features from the site. Obsidians originated from the Paektusan and Koshidake indicate that inhabitants of the Sinbuk site had long-distance exchange network and capability of a crossing. And coexistence of the Yubetsu type micro-blade core of Siberian origin and characteristic tanged point of Korean Peninsula implies that they made a living by keeping internal identity and interacting with external different cultures. Thus, the Sinbuk site has significant potential not only to restore various aspects of modern human behaviors but also to investigate the cultural exchange and migration in the Northeast Asia during Upper Paleolithi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이기길 ( Gi Kil Lee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1 No.-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유적들의 석기갖춤새를 몸돌석기, 격지석기, 돌날석기, 좀돌날석기 등의 아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절대연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돌날석기, 격지석기, 몸돌석기로 이뤄진 "돌날석기군"은 약 4만년전, 그리고 좀돌날석기, 돌날석기, 격지석기, 몸돌석기로 구성된 "좀돌날석기군"은 약 2만5천년전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두 석기군에는 이전 시대의 석기 종류와 제작기법이 선별적으로 이어지고 개선된 지속성과 앞 시대에는 없었던 돌날기법, 좀돌날기법 같은 새로운 기술이 더해진 혁신성이 관찰된다. 한편 MIS 2기에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슴베찌르개, 나이프형석기, 모뿔석기(각추상석기), 유베쯔형 좀돌날몸돌 같은 종류들이 증가하고 백두산과 큐슈산 흑요석이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발견된 점을 고려하면, 후기구석기인들은 원거리 교류망을 구축하였으며 상호 교류를 확대하는데 힘썼던 것으로 추리된다. Lithic assemblages from the representative site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analyzed by sub-group units such as core tools, flake tools, blade tools, and micro-blade tools. Additionally, numerical dates have been also reviewed. The ``Blade industries`` consisting of blade tools, flake tools, and core tools had appeared around 40,000 14C yr BP and the ``Micro-blade industries`` including micro-blade tools, blade tools, flake tools, and core tools had emerged around 25,000 14C yr BP.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Upper Palaeolithic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had selectively inherited the previous traditions and they had newly developed innovative technologies.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Upper Palaeolithic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ose of the Japanese archipelago had been relatively active during MIS 2 on basis of sharing the same types of tools in both areas supported by the scientific investigations on the origin of obsidian (for example, obsidian from the Mountain Baekdu or Kyushu) found in south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에서 보고된 좀돌날석기의 연구 -제작기법과 연관된 형태와 크기를 중심으로-

        이기길(Lee, Gi-Kil)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제주도에서 인류 거주의 시작을 밝히는 역사적 문제뿐 아니라 한반도, 중국대륙과 일본열도에 걸친 후기구석 기시대의 문화 교류와 뒤이은 신석기문화와의 연관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좀돌날석기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 하다. 그런 연유로 고산리유적, 강정동유적, 생수궤유적에서 보고된 좀돌날과 그 몸돌은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연구자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였다. 그러나 이것들에 대한 여러 견해는 무엇보다도 제작기법을 잘 반영하는 형태와 크기에 있어 수긍하기 어려운 점들로 인해 일치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눌러떼기(pressure percussion)로 제작한 좀돌날몸 돌에서 나타나는 형태상의 여러 특징들, 즉 우묵점, 나란한 능선, 때림면의 조성 방식, 몸돌의 전체 모양 그리고 좀돌날의 가로와 세로 단면의 모양과 구성 및 등면 상태의 종류와 비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좀돌날의 너비와 두께의 크기 분포와 평균치를 월성동유적과 호평동유적의 좀돌날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정동유적의 것은 좀돌날을 제작한 몸돌이 틀림없으나, 생수궤유적과 고산리유적의 경우는 좀돌날 몸돌이나 그 선형으로 보기 어려웠다. 그리고 좀돌날로 보고된 것 가운데 좀돌날몸돌에서 떼어졌다고 인정할만한 것은 없지만, 고산리유적의 경우는 나뭇잎모양찌르개(창선형첨두기)와 뗀활촉을 제작할 때 뿔 같은 무른망 치로 직접 잔손질하여 날의 모양을 잡거나 눌러다듬기(pressure retouch)로 날을 고르게 잔손질할 때 생긴 쓰레기(waste)로 판단된다. Microblade tools are crucial evidence for elucidating the beginning of history of the Jeju-do and cultural exchanges among occupants of Korean peninsula, China, and Japanese archipelago during Paleolithic and Neolithic. For this reason, many archaeologists have been quite interested in the Gosan-ri site, Gangjeong-dong site, and Saengsugue site which yielded so-called microbladecores and microblades. But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its authenticity as characteristic features and standard size which reflect pressure percussion technique for producing microblades are questionable. To solve this problem, characteristic features such as negative bulb, parallel arrise, preparing method of striking platform and type of microbladecore, shape of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 section, sort and composition of dorsal surface of microblade were examined in detail. Size and mean value of width and thickness of microblade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from Wolseong-dong site and Hopyeong-dong site. According to the results, microbladecores from the Gangjeon-dong site are real one but those from the Gosan-ri site and Saengsugue site are incorrectly classified. And microblades reported from three sites are not real one, but those from the Gosan-ri site are waste which produced during retouching leap-shaped bifacial points and arrow heads by antler hamm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 구석기 연구의 이슈와 성과

        이기길(Gi-Kil Lee)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4

        2000년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구석기 연구에서 중요한 변화가 두드러진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활발해진 유적 조사를 통해 축적된 풍부한 고고 자료를 바탕으로 구석기 유적과 석기군의 이해 및 편년에 진전이 있었다. 나아가 기존의 방식뿐 아니라 원산지 분석 같은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한·일간 교류를 포함하여 현생인류의 확산과 행위 등의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여 적잖은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3년에 발간된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구석기시대 편-’은 50년 구석기고고학사에서 획기적인 이정표로 평가된다. 한편, 일본에서는 전·중기구석기 날조 사건으로 인해 구석기시대의 인류 거주는 약 4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정설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일본학계는 2010년부터 “네안델탈인에서 현생인류로의 교체극”과 “팔레오아시아 문화사학”이란 제목으로 현생인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10년간 수행하였고, 현생인류의 행위, 후기구석기 초기의 양상을 주제로 아시아구석기학회를 개최하며 날조 사건 이후 새 길을 적극 모색하였다. 또한 일본열도의 구석기문화와 주민의 형성을 규명하기 위해 인접한 한국의 구석기 연구 성과에도 큰 관심을 기울였다. Significant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in Paleolithic studies of Korea and Japan since 2000. In Korea, abundant archaeological data accumulated by active surveys after the 1990s have been analysed with new method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sources, and the results have been 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on the movement and behaviors of Modern Human, including Korea-Japan cultural exchanges. Besides, fairly progress was made in establishing the Paleolithic chronology and in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lithic assemblages. Futhermore, the Korean Paleolithic Dictionary, published in 2013, is considered an outstanding milestone. Due to the hoax of Early and Middle Paleolithic, the view that human occupation was started after ca. 40,000 years become a prevalent view in Japan. From 2010, the Japanese academic society has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es on Modern Human such as “Replacement of Neanderthals by Modern Humans” and “Cultural History of PaleoAsia” for 10 years. And the Japanese Paleolithic Research Association held the annual meeting of the Asian Paleolithic Association on the subject regarding the Modern Human behavior and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rrival of Modern Human and relation with that of Korean Peninsula, various efforts were paid to know the accomplishments of the Paleolithic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