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접면 초기 우식 병소의 깊이에 따른 therapeutic sealing의 유효성평가

        이금랑,안명기,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인접면 초기 우식병소에 대하여 레진 접착제를 도포하는 최소 침습적 개념의 therapeutic sealing은 치질 삭제가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술식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이 방법이 초기 우식병소의 법랑질 내 침투 깊이와 무관하게 여전히 유효할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어 이번 연구는 그 유효성을 평가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인접면에 초기 우식병소를 보이는 발거된 소구치 21개를 대상으로 하고, micro-CT 촬영을 통해 병소의 깊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전체 시편을 병소가 법랑질 외층에 국한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1군과 하지 않은 2군, 병소가 법랑질 내층까지 진행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3군과 하지 않은 4군, 비와동성 초기 병소가 법랑-상아 경계까지 진행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5군과 하지 않은 6군으로 분류하였다. 열순환 후 2주간 인공 우식을 유발하고 분류 과정과 동일한 평면을 찾아 micro-CT를 촬영하고 병소의 방사선 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접면 초기 우식병소의 침투 깊이가 증가할수록 병소 본체의 방사선 밀도는 낮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2. 병소의 깊이에 무관하게, 레진 접착제를 도포한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인공 우식 처리 전후의 방사선 밀도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p<0.05). 3. 병소가 법랑-상아 경계에 도달한 5군에서도 레진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공 우식 처리시, 실험 전후의 유의한 방사선 밀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As the minimally invasive approach against white spot like early caries lesions in proximal surfaces of the teeth. therapeutic sealing has been introduced and studied for effective materials and methods to arrest the early caries lesion effectively. which is still going o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its validity for the non-cavitated lesions according to the depth from surface using therapeutic sealing followed by artificial caries induction and evaluation with micro-CT. and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It was revealed that the deeper the caries lesions are. the lower radiation intensity at lesion body areas in pre-treatment specimen. 2. In the sealed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adiation intensity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unsealed groups(p<0.05). 3. Even in the specimens with the lesions reaching deeply into DEJ, the effect of sealing was significant(p<0.05). Conclusively. it was thought therapeutic sealing can be an effective tool against the early caries lesions, regardless of their depth into tooth. unless cavitated.

      • KCI등재

        A Survey on the Prevalence and Risk Indicators of Dental Erosion among 13-15 Year Old Adolescents in Yangsan, Korea

        노태환,이금랑,김지연,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3

        최근 세계적으로 치아침식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 많은 연구보고가 있었다.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청소년기로 갈수록 1일 탄산음료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청소년들이 치아침식증에 취약할 수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아직 미진하고, 치과계에서도 연구적, 임상적 관심이 그리 높지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양산시 청소년들의 영구치에 나타난 치아침식증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그 위험요인을 분석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양산시에 거주하는 13-15세 중학생 1,371명을 대상으로 단일 검사자가 영구치의 치아침식증 상태를 조사하였다. 치아침식증의 평가기준으로는 Visual Erosion Dental Examination syst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들의 식이습관 및 구강위생상태와 치아침식증 간 유의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치아침식증은 676명(49.3%)에서 관찰되었고, 남성(46.4%)에 비해 여성(53.0%)이 더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p < 0.05). 상악(39.3%)에 비해 하악(43.0%)에서 더 높았으나(p < 0.05), 좌ㆍ우측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구치에 비해 전치의 유병율 및 치아 당 평균점수가 높았다. 가당 및 무가당우유는 치아침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p < 0.05), 다른 음료, 식이섭취방법, 구강위생, 그리고 BMI의 영향은 미미했다(p > 0.05).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병율은 20~30% 내외인 다른 보고들에 비해 높았으며, 남성이 호발한다는 기존의 보고들과 달리여성에서 유병율이 더 높았다. It is a trend that carbonated drink intake among adolescents is increasing, which makes young people more vulnerable to dental erosion. However, in Korea, public knowledge about dental erosion is very insuffici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ntal erosion and to assess its risk indicators among 13- 15 years old students in Yangsan, Korea. A total of 1,371 adolescents were examined by one calibrated clinician. Dental erosion was assessed by using the Visual Erosion Dental Examination system. Correlation between their dietary habit, oral hygiene and dental erosion was assessed. The data showed that 676 (49.3%) adolescents had dental erosion. The prevalence of dental ero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e prevalence of tooth erosion in mandible is higher than in maxilla. Dental erosion was generalized to develop mostly on anterior teeth, especially lateral incisor, however, the severity score was highest in canines. Following questionnaire analysis, dental ero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ilk and flavored milk. No other associations were detected. The prevalence of dental erosion in this study is higher than those of previous reports. On the contrary to previously reported studies, the prevalence of dental erosion in females is higher than in males.

      • KCI등재

        어린이 제1대구치 근심면 초기 우식의 유병률과 최소 침습적 접근

        안명기,이금랑,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1

        소아치과 임상에서는 제2유구치의 탈락 직후에 제1대구치 근심면을 직접 관찰하고 여기에 발생한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를 목격할 기회가 많다. 유구치와는 달리, 잔존 기대수명이 매우 긴 제1대구치의 경우에는 근심면 초기 우식병소에 대하여 와동형성에 이은 전통적인 수복치료를 하거나 아무런 조치 없이 방관하는 것은 부적절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는 이 시기 어린이들에 있어서 제1대구치 근심면 초기 우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이에 적합한 조치를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6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어린이 중 제2유구치를 발거하여 제1대구치의 근심면을 직접 관찰할 수 있었던 어린이들의 124개 제1대구치를 대상으로, 근심면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진행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활면 초기 우식병소를 가진 치아 시편에 복합레진 접착제만 도포하거나 접착제에 이어 전색제를 도포하고 온도순환과 염색을 시행한 후, 단면을 통하여 미세누출 여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24개 관찰대상 치아 중 제1대구치 근심면이 건전한 경우는 34%에 불과하였으며,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를 가진 것은 53%, 이미 우식와동이 확인된 것은 13%였다. 2. 접착제나 접착제와 전색제를 도포한 시료의 단면 관찰에서는 두군 모두에서 20% 정도의 미세 누출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 제1대구치 근심면의 초기 우식은 매우 높은 유병률을 보여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와 효율적인 비침습적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In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we have many chances to encounter the white spot like incipient enamel lesions on the mesial surfaces of the 1st molars with direct vision, especially just after the 2nd primary molars were exfoliated. But it was thought highly desirable to assess if these lesions are properly and effectively managed yet. This study aims at surveying the prevalence of incipient lesions on the mesial surfaces of the 1st molars in children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examining the suitability of adhesive sealing on them as a pilot trial in searching for their proper management. 1. Among the 124 mesial surfaces of the 1st molars examined, 34% were sound, 53% had incipient carious lesions and 13% had cavitated lesions. 2. In the sectional views of the specimens, 20% showed microleakage after thermo-cycling and it was thought not recommendable as a permanent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fight against the incipient caries lesions in children‘s permanent teeth, it was thought proper not to rely on any one method, but to perform reinforcing oral hygiene and promotion of remineralization in combination with therapeutic sealing which is stronger in short-term sealing effect. Although therapeutic sealing has been considered as the core in minimally invasive concept to treat the white spot lesions, its long-term clinical trials have not been suggested. Continuous research is strongly required for making this approach to acquire permanent nature, especially in regards of proper pretreatment and high molecular materials deeply penetrable into enamel.

      • KCI등재

        Preval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Molar-Incisor Hypomineralization in Adolescents in Yangsan

        신종현,이금랑,김종수,김지연,김신 대한소아치과학회 201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4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namel hypomineralization, including molar-incisor hypomineralization (MIH), among adolescents and assess their correlation with esthetic satisfaction. A total of 1371 adolescents between the ages of 14 and 16 years in Yangsan city were evaluated for enamel hypomineralization, including MIH, according to the European Academy of Paediatric Dentistry (EAPD) criteria. In a parallel survey, esthetic satisfaction about anterior teeth and its correlation with incisor enamel hypomineralization were analyzed. The prevalence of MIH was 13.8% (n = 189), while that of hypomineralization in any permanent tooth was 23.2% (n = 318), which was substantially greater compared to the national prevalence of MIH. Mandibular first molars exhibited the highest prevalence of hypomineralization, followed by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mandibular second molars. Among anterior teeth,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site was the incisal edg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A high degree of hypomineralization in anterior teeth was associated with a high demand for esthetic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