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변량 고빈도 금융시계열의 변동성 분석

        이근주,황선영,Lee, G.J.,Hwang, Sun Young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1

        본 논문은 다변량 변동성을 다루고 있다. 최근 들어 활발하게 연구가 되고 있는 고빈도(high frequency)자료에 기초한 변동성 측정방법인 실현변동성을 계산하고 기존의 다변량 GARCH 모형과 비교분석하였다. 정준상관분석과 VaR분석을 이용하여 실현변동성과 다양한 다변량 GARCH 모형을 비교하였으며 최근 6년 동안의 삼성전자/현대차 거래 가격 고빈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Multivariate GARCH models are interested in conditional variances (volatilities) as well as conditional correlations between return time serie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high-frequency multivariate financial time series from which realized volatilities and realized conditional correlations of intra-day returns are calculated. Existing multivariate GARCH models are reviewed comparatively with the realized volatility via canonical correlations and value at risk (VaR). Korean stock prices are analysed for illustration.

      • KCI등재

        한국 공공부문 인력규모 변화에 관한 추세분석

        이근주(Geun Joo Lee),홍은주(Eun Joo Ho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7 No.-

        본 연구는 기존 인력규모연구에서 파악하지 않았던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을 포함하여 공공부문의 인력규모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Light의 정부인력 규모에서 제시한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한국정부에서의 감춰진 인력(shadow workforce)을 제시하고 그 규모를 추정하였다. 분석한 결과, 그 정책적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춰진 인력을 파악하여 실제 공공부문의 인력규모에 대해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둘째, 실제 공공부문의 인력을 분석 한 결과, 김대중 정부는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공공부문 개혁을 시행하였는데, 공무원의 정원만 줄였을 뿐 실제 감춰진 인력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공공부문 규모는 감축된 것이 아니라, 증가한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공무원 규모 예측에 대하여 다양한 의의 및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rue size of public workforce. The definition of “shadow workforce” in Korea government was suggested and estimated follow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suggested by P. Light(2006). Some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actual size of government is larger when we consider thr “shadow workforce.” Especially, the public sector reform of Dae-Jung Kim government actually increased the shadow workforce and the overall size of public sector employment. Second, the Moo-hyun Roh government is not a large government. Since the increment of Roh government is not substantial.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size of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shadow workforce” should be the focus of the discussion.

      • KCI등재

        공공부문 부패수준 개선국가와 우리나라의 부패방지정책특징 비교분석

        이근주(Lee Geun joo),김진숙(Kim Jin Suk) 한국부패학회 2010 한국부패학회보 Vol.15 No.2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more effective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corruption prevention by comparing those of Korea with other nations which successfully reduced corruption in public sector such as Belgium, France and Japan. The analysi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factors inside of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Belgium, France and Japan have more effective institutions for preventing political corruption than Korea. First, those three countries punish the offenders of corruption more severly than Korea. Second, three countries have the specialized office for corruption prevention that cooperate closely with the institutions for investigation of corruption such as justice department. In case of Belgium and Japan, in addition, their offices are endowed with the authority for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On the contrary, Korea's office of corruption prevention does not have authority for investigation, punishment and prosecution for corruption cases. In terms of the factors outside of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political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institutions for corruption prevention and reduction of actual corruption.

      • KCI등재후보

        인터넷 민원행정서비스의 고객지향성에 대한 평가

        이근주(Geun Joo Lee),강민아(Min A K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1 No.-

        이 연구는 국무조정실에서 한국행정연구원에 위탁하고 매년 조사하고 있는 민원행정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인터넷 민원행정서비스 만족도와 일반민원행정서비스 만족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한 민원행정서비스의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비교분석을 위하여 종합만족도와 차원별만족도 등 복수 비교 차원을 분포조정 기법(casemix adjustment)을 활용하고 있다. 분포조정 기법을 활용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를 통제한 이후 비교한 결과 인터넷 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모든 분석에서 일반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국민들에게 보다 만족스러운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자정부의 도입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예상 밖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민원의 paradox를 전반적인 인터넷 기반의 미성숙, 기대수준의 차이, 정부 내부 IT 관리의 문제 그리고 비대면적 접촉이 갖는 한계의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on civil application to investigate the ralative performance of internet based civil application process system of cerntral government of Korea. Using casemix adjustment procedure, satisfaction levels of internet based civil application procedure and ordinary civil application procedure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internet based civil application procedure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ordinary procedure.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T infrastructure, differentiated expectation level, IT management and non face-to-face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근주(Lee Geun 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 differenc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t shows the older infant teachers are higher in development standard, health, knowledge.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of HR teacher in infant class has more developmental principles knowledge. And the infant teachers who has work experience in a infant nursery or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has more knowledge of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ve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lso, infant teachers are older than normal childcare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of a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are Social needs, special organization, professional ethics, level of expertise, community service tendency, fairness, autonomy, socioeconomical status order. Many infants go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nuclear family and female workers. The results of study show infant teachers are socially needed.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think they are low socioeconomical status themselves. That’s because a long working hours and low salary of infant teachers. Third, a result of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erarchy that exclude background variable and include recognition of specialty variable is follow. The infant teachers who has the higher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have higher recognition of speci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s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nd age, reeducation, job training. Als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nfluences to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발달지식 수준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발달기준, 건강안전, 양육 지식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경력이 많을수록 발달원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전담(가정어린이집)과 법인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건강안전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 연령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필요성, 전문직단체, 직업윤리, 전문적 지식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순으로 사회적필요성이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핵가족화 및 취업모의 증가로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수가 많아지면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긴 시간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체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전문성 인식 변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발달지식이 높을수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재교육 등 생활경험, 현장연수 등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영아발달 지식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 KCI등재

        PSM과 공무원의 업무 성과

        이근주(Geunjoo Lee) 서울행정학회 200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sector employee and private sector employee in term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and its implication to the performance. PSM is defined as "individual's predisposition to respond to motives grounded primarily and uniquely in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Perry & Wise 1990). It is hypothesized that people with high PSM tend to work in public institution and once in the organization, higher PSM affects the performance level positively. This study test these two hypotheses using Korean cases. The analysis confirms the theoretical expec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sector employee and private sector employee in terms of PSM and that the higher PSM among the public sector employees is positively related to higher performance level. The manageri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