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potato and lotus leaf extract intak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

        이근일,김종규,이남주,박석,조현철,천윤석 한국운동영양학회 2015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19 No.1

        Keuneil Lee, Jongkyu Kim, Namju Lee, Sok Park, Hyunchul Choand Yoonseok Chun. Effects of potato and lotus leaf extractintak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 JENB., Vol. 19, No. 1, pp.25-30, 2015 [Purpose] The purpose of this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tato and lotus leaf extract intake on body composition, abdominal fat, and blood lipidconcentr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9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8-week study,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2 groups; potato and lotus leaf extract (skinny-line) administered group (SKG, n=9) andplacebo group (PG, n= 10).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presented below. [Results]1) Body mass index, and percentbody fat and abdominal fat in students of the SKG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without significant interaction, 2)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 (TG),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C) in students of the SKG showed an averagely decreasing tendency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TC only, 3)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 in students of the SKG showed an increasingtendency without significant interaction, and 4) Z-score of fatness testing interaction in group × repeti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interac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TC in group × repetition. Based on these results, 8-week intake ofpotato and lotus leaf extract had a positive effect of lowering TC. On the other hand,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ther typesof lipids and percent body fat changes. [Conclusion] There was a positive tendency of blood lipids in students of the SKG andit seems that potato and lotus leaf extract intake might prevent obesity and improve obesity related syndromes. [Key words]Lotusleaves, potatoes, body fat, blood lipids

      • KCI등재후보

        예・체능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이근일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analysis of 298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ata using the non-random sampling method, which is a sampl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urrently in Gyeonggido in 2017, is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re were overall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rts and crafts, an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ll sub-variables except self-leadership sub-variables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were found to affect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 esteem was influenced by behavior-oriented strategy variables. Third,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behavior-oriented strategy and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 and instrument preparation behavior. Also, in goal-achievement behavior, behavior-oriente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Respectively. Fourth,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estee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 tool preparation behavior and goal attainment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education of academic goals but also self-esteem and presence to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ation for career path when it is necessary to coll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career preparation, personality education to raise will, and ability development education differentiated from other major students. 본 연구는 예・체능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2017년 경기도 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체능계열 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비확률표본추출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한 자료 29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체능계열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 하위변인 건설적 사고전략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행동지향전략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 행동지향전략과 자연적 보상전략은 정보수집행동과 도구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달성행동에서도 행동지향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변인 정보수집행동, 도구준비행동, 목표달성행동에 전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학문적인 목표의 교육만이 아니라 자긍심, 존재감을 가지도록 하고, 진로준비에 필요한 정보수집, 의지를 키우는 인성교육, 타전공 학생들과 차별화된 능력개발 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공이 필요한 시점에 취업진로에 대한 준비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 점증적 최대운동이 에너지대사 및 호르몬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근일 건국대학교 1993 대학원 학술논문집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were difference emphasize with Norepinephrine in terms of performance. Also, this purpose were judged in terms relative to the performance standards of seven students. 1.At a given plasma Norepinephrine was indicated difference after exercise. (P<0.05) 2.At a given plasma Epinephrine was indicated difference after exercise. (P<0.05) 3.At a given plasma lactate and glucose was not indicated a greater and more rapid increase pulse rate at the beqining of exercise and finished of exercise. (P<0.05) 4.At a given plasma Free Fatty Acid was not indicated in the capacity to ferform exercise.

      • 아마추어 마라톤 러너의 호흡순환기능에 관한 연구

        이근일,신민철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4 No.4

        The effects of prolonged endurance training on maximal O₂ uptake in the older people and its determinants were studied, by comparing 1) 7 older endurance athletes(62.5±2.6yrs), 2) 7 middle-aged long distance runners(34.7±3.1yrs), 3) 7 older(61.3±3.8yrs) and 4) 7 middle-aged(33.7±3.1yrs) untrained counterparts, maximal O₂ uptake of the older athletes(50.4±4.1ml/㎏/min) was 67% higher than that of the older untrained men, 28% lower than that of the middle-aged runners, and identical to that of the middle-aged untrained men. The maximal heart rate was 9% lower in the older athletes than in the middle-aged runners(170 vs. 186beats/m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mal heart rate was observed between the athletes and the nonathletes of the respective age-group. On the other hand, the O₂ pulse at maximal O₂ uptake of the older athletes(0.30±0.03ml/㎏/beats) was 14% lower than that of the middle-aged athletes, but 67 and 15% higher than that of the older and middle-aged untrained men, respectively untrained me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er maximal O₂ uptake of the older endurance athletes is derived from both the lower maximal heart rate and the lower O₂ pulse at maximal O₂ uptake in comparison with the middle-aged athletes.

      • 스크롤 컴프레서 제조 공정 중 소음 측정 기반 불량 분류

        이근일,임광섭,임정묵,권대일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

        스크롤 컴프레서는 진동과 소음이 적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에어컨, 냉장고에 사용되고 있다. 스크롤 컴프레서의 불량을 진단하는 데 부품 공차나 조립 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활용될 수 있다. 설비 가동음, 용접 소리와 같은 배경 소음이 혼재한 제조 공정 중 소음 측정 기반 불량 진단 방법을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배경 소음의 신호가 고정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관심 있는 불량 소음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스크롤 컴프레서 제조 공정 중 적용 가능한 소음 측정 기반 불량 분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롤 컴프레서 제조 공정 중 소음 측정 기반 불량 분류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실제 제조 공정 내 스크롤 컴프레서의 소음을 사용하여 학습 및 평가되었다. 스크롤 컴프레서 소음의 시간-주파수 영역 특성인자인 스펙트로그램과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MFCC)에서 불량 유형별로 시간상 주파수 형태가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스펙트로그램과 MFCC는 이미지로써 불량 분류를 위한 합성곱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사용되었으며, 두 방법 모두 우수한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학습 시간이 짧은 MFCC 기반 합성곱 신경망 네트워크 진단 방법을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스크롤 컴프레서 불량 분류 방법으로 제시한다.

      • 고속도로 공사 공종별 BIM설계의 신뢰성 분석

        이근일,신재철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9

        현재 건설 산업의 프로세스는 2D기반으로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시설물의 총 생애주기 동안 관리 및 시행 주체가 상이하다. 또한 건설 산업 참여주체들은 전문성에 따른 독립된 작업으로 인해 총 생애주기 동 안 건설정보의 전달방법의 통일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정보단절로 인해 건설 산업의 생산성은 타 산 업과 비교해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설 공종정보의 DB화 및 이를 활용하여 4D, 5D, nD-BIM 구현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BIM기반의 건설정보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건설산업에서는 BIM기반의 설계/시공/유지관리의 건설 전 생애주기 단계에서 보다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성공적인 프로젝트 성과를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 및 정책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공사의 시범설계로 각 공종별 BIM설계를 수행 하고, 기존의 2D설계와 BIM설계의 물량차이를 비교 하고, 향후 토목BIM의 발전을 위해 BIM설계의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설계단계-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근간이 되는 물량산출의 접근성에 있어서 BIM에 대한 국내외 건설 산업의 신뢰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토목분야보다 10년가량 먼저 BIM 도입이 추진된 건축분야에서도 물량산출의 접근성 측면에 있어서는 비정형 구조물에 대한 시각화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이 다. 국내 건축분야에서는 이미 단계적으로 BIM 납품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는 반면 토목분야는 BIM 도입의 초기단계임에도 불구하고 향후 3~4년 내 BIM 납품의무화를 위해 여러 공공기관에서 BIM 납품의무화 도입 을 준비 중에 있으며, BIM 납품의무화 시행을 위한 사전준비로서 부분적인 BIM설계 도입을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도로설계를 시행하기에 앞서 기존의 2D기반 물량산출 결과와 BIM기반 물량산 출결과의 오차를 비교·분석하여 그 신뢰성을 분석하고, 향후 시행될 BIM설계의 확대 적용을 위한 기초자 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로공사에 필요한 공사 중 구조물공인 교량공, 터널공, 옹벽공, 배수공, 부대공과 비구조물공인 토공, 포장공 등을 대상으로 신뢰성 분석결과를 제시 한다. BIM설계와 2D설계간의 물량 비교를 위해, 도로구간 중 이설도로, 부채도로, 확장부 등 기존도로는 제외 하고 본선 및 램프구간 토공 BIM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교량은 확장교량의 기존교량은 형상만을 구현하 였으며 그 외의 모든 교량은 BIM으로 모델링하여 물량을 산출하였다. 터널은 모든 터널을 대상으로 BIM 모 델링을 수행하여 물량을 산출하였다. 배수공은 측구, 배수구조물, 암거 등 모든 배수공을 대상으로 BIM 모 델링을 수행하는 동시에 한국도로공사 배수공 표준도 적용하여 물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옹벽 은 L형옹벽, RC옹벽, 프리케스트옹벽 등을 BIM 모델링을 통하여 물량을 산출하였으나 보강토 옹벽은 BIM 모델링을 통한 물량산출이 곤란하여 형상만을 구현하고 물량산출은 기존의 2D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포장공 은 도로 토공구간과 연계된 사항으로 도로구간 중 이설도로, 부채도로, 확장부 등 기존도로는 제외하고 본 선 및 분기점, 터널 등을 대상으로 BIM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부대공은 표지판 등 부대 시설물에 라이브러 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합 모델링에 구현하여 부대시설 계획도에 반영함에 있어 향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이후에 적용하는 것으로 업무를 합리화하였다. 모델링을 통한 BIM 물량과 기존 2D기반의 물량과의 오 차를 비교·분석함으로써 BIM 설계의 신뢰성과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BIM기반의 물량산출 방식은 다양하 지만 본 과업에서는 여러 가지 BIM Tool 중에서 터널, 교량 등 구조물공은 Autodesk사의 Revit을 토공과 같이 지형 및 선형에 영향을 받는 비구조물공은 Autodesk사의 Civil3D를 적용하여 BIM 모델링 및 물량산 출을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