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aCO3 안료의 분산 안정성에 대한 용제의 영향

        이근대,류영철,서차수,홍성수,안병현,문명준 ( Gun Dae Lee,Young Cheal Ryu,Cha Soo Suh,Seong Soo Hong,Byung Hyun Ahn,Myung Jun Moon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2

        여러 종류의 용제와 수지용액에 있어서의 CaCO₃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Dyn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Dynometer를 이용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분산계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었으며, Dynometer를 이용한 분산 안정성 평가로부터 구한 CaCO₃ 안료의 용해성 파라미터, δ는 11.62(δ_d = 8.04, δ_p = 5.05, δ_h = 6.70) 이었다. 안료와 친화력이 약한 용제가 첨가되는 경우 수지 용액내에서의 안료표면에의 수지 흡착층을 증가시켜 수지 용액내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수지 용액 제조시 소량첨가된 용제도 안료를 포함한 전체 분산계의 유동성과 분산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solvent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CaCO₃ pigment in various solvents and resin solutions has been studied using Dynometer. Dispersion stability can be estimat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by means of Dynometer and the solubility parameter, δ, of CaCO₃ determined from dispersion stability was 11.62(δ_d = 8.04, δ_p = 5.05, δ_h = 6.70). The solvent showing weaker interaction with pigment increased the adsorption of resin on to the pigment, resulting in higher dispersion stability in resin solution. It was found that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dispersion stability of pigmented resin solution were depending strongly on the solvent added in small amount in the formulation.

      • 신 · 재생에너지 전력시장 활성화 방안

        이근대,부경진,이창훈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연구보고서 Vol.2005 No.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2011년 전체 발전량의 7%를 신 · 재생에너지전력으로 공급할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 · 재생에너지는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화석에너지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보이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는 생산비용의 높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신 · 재생에너지의 공급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신 · 재생에너지 이용에 따른 추가생산비를 보전할 수 있어야 한다. 발전차액보전제도나 RPS와 같은 기존의 대표적인 보급 확대 정책들은 전기요금의 일괄인상을 필요로 하여 소비자들의 저항에 부딪힌다. 또한 기존의 정책들은 대부분 공급량의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질적인 전력소비자들의 시장참여 유인이 부족한 실정이다. 공급측면에서도 분산형 전원인 신 · 재생에너지의 원활한 계통연계를 위한 체계적인 기준과 방법의 마련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전력부문의 환경친화적 소비의 잠재력을 추정하고 이의 현실화를 위해 추가생산비용의 일부를 자발적으로 부담하려는 소비자들에게 높은 가격으로 녹색전력을 판매하는 대표적 수요정책수단인 녹색가격제도(Green Pricing)의 국내도입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공급조건 개선을 통한 계통연계측면에서 전력망 접속기준 및 절차를 개선하여 신 · 재생에너지의 계통원활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2. 연구의 내용 우선 독일, 미국, 호주의 녹색가격 시행사례를 통해 녹색가격제도의 성공적인 도입조건을 모색해 보았다. 성공적인 도입조건은 적정에너지원의 선택, 소비자신뢰 확보, 효과적언 마케팅전략으로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녹색가격제도의 시행에 있어서 적정 신 · 재생에너지원의 선택은 프리미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각 국은 사용한 신 · 재생에너지원에 따라 상이한 녹색가격을 제시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중요한 점은 소비자의 신뢰를 위해 신 · 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중립적인 제3의 기관으로부터 신 · 재생에너지임을 인증받는 녹색전력인증제를 시행하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위해 시장세분화와 상품개발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녹색전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가 그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계통연계의 경우, 미국과 영국, 일본, 독일 등 비교적 신 · 재생에너지발전 보급률이 높고 이미 전력망 계통연계를 경험했던 국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례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발견사항은 기본적으로 배전접속 발전사업자는 접속에 수반되는 제반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으며 신 · 재생에너지의 경우에도 특별한 예외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유럽의 경우 전력망 연계비용은 전체 설비비용(captial cost)의 약 5%에 달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프로젝트 계획을 추진한다. 분산전원으로서의 신 · 재생에너지 전원의 계통연계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관할지역을 구분하여 송전망은 연방정부가 배전망은 주정부가 관할하는 것으로 하고, 관할지역이 겹치는 경우는 이해당사자가 회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 소규모 분산전원인 열병합과 소수력, 풍력, 태양력 등 신 · 재생에너지 전원의 기본 접속 원칙으로서 배전망 사용료는 지불하지는 않으나 접속료는 지불하는 것으로 되어있고, 접속료는 접속선로보강(deep connection) 원칙에 의거하여 부과된다. 향후 신 · 재생에너지 전원의 보급을 위해 여러 가지 계통망 연계에 대한 인센티브를 배전업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도 발견되었다. 이 같은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한 녹색가격제도의 국내도입여건을 분석해 보면 현재 우리나라는 전력산업구조개편 중에 있어 전력거래의 소매경쟁단계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제반사항에 대한 문제로 인해 도매단계가 일정대로 추진죄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정부는 신 · 재생에너지보급을 위한 핵심 정책인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운영으로 인한 재정부담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해 신 · 재생에너지 발전의무비율할당제(RPS)도입하고자 하나 RPS역시 전기요 1.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s to suggest several policy options to promote renewable-powered electricity generation through green pricing and grid-connection. The Korean government recently sets a goal of supplying 7% of power consumption with renewable energies by 2011. However, existing spread policies on renewable energy has put an emphasis on only supplying also codes and standards for grid-connec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have not been prepared yet, though legal basis is necessary to settle renewable energy as a regular source for power generation. Except for fuel cells and biomass, most of the renewables such as wind, temperature, solar insolation are dependent on climate condi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power output compared to traditional generation systems. For this reason, it is more effective to operate them as a grid-connected generator rather than a stand-alone one.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 Korean government is beginning to design a legal basis and practical measures in connecting renewable-powered generation facilities to the grid system 2. Summary Major findings in green pricing are as follows : Firstly, we found out that which renewable energy is selected is the most important to decide the premium dependent on a kind of renewable energy. Secondly, in order to obtain the consumers trust, facilities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renewable energy to them They are employing the RECS(Renewable Energy Certificate System) certificated by a neutral organization. Finally,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acilities need to segment the market, develop products and advertise the green power providing RE information for consumers The follows are found by the survey of consumers's willingness to pay for green electricity: Firstly, in case of collective payment, the advertisement is the core because the respondents' support to the 'green pricing' depends on what extent they know about renewable energy to. Secondly, there is strong correlation between a supporting 'green pricing' and an environmentally-friendly attitude. Respondents accustomed to environmentally-friendly activities present higher willingness to pay. This explains that the concerted effort 'environmental NGOs', 'energy NGOs' and, organic NGOs' is necessary to settle green power market. In case of greed-connec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most cases, distributed generatiors are required to pay the costs incurred in connecting their facilities to the distribution grid system with no exception even for renewables. Secondly, grid-connection is in the jurisdiction of the federal government while distribution system is in the jurisdiction of a state government or a local autonomy. The federal government in cooperation with relevant agencies designs a set of codes and standards for interconnection, based on which state and local public utilities commissions or individual electric utilities design their own codes and standards. Thirdly, a "cost-payer principle" is applied in most countries examined, specifying that a party of connecting its facility to the grid is required to pay the costs incurred, depending on whether deep-connected or shallow-connected. Fourthly, a number of countries offer a series of incentives to a grid or a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to promote renewable-powered electricity facilities. In the case of Korea, a cost-payer principle is currently applied in the grid-interconnection and strict rules and specifications are practiced to protect and maintain a stable operation of the grid system 3. Research Results & Policy Suggestions The examination on the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the domestic condition explains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green power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regimes for it are required to introduce and operate 'green pricing'. For the commercialization, the government should require the facilities to

      • 수도권지역의 혼잡비용을 고려한 분산형전원의 역할과 정책 방향(pp.1-120)

        이근대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연구보고서 Vol.2007 No.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력산업은 최근 구역전기사업제도의 활성화방안과 소형열병합발전의 보급활성화 정책에 따라 분산형 전원의 보급이 활성화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소형 발전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분산형 에너지 패러다임의 도입을 주장하는 시민단체 등의 활동에 힘입어 급속 도로 확산되고 있다. 반면 기존의 중앙집중 에너지 패러다임의 주창자들을 위시한 대형 발전기술의 옹호자들은 분산형 전원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분산형 전원이 선진 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급 활성화를 추구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국내 여건상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은 미미하기 때문에 보급 활성화가 타당하지 않은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격화되고 있는 실정 이다. 따라서 분산형 전원과 관련한 에너지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분산형 전원의 편익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분산형 전원에 대한 사회적 논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전력수요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수도권지역의 경우, 분산형 전원의 편익 중 수요지입지에 따른 혼잡완화 효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도권지역에서의 분산형 전원에 대한 정책방향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을 평가하고, 특히 지역적 입지에 의한 효과를 고려하여, 수도권지역의 혼잡비용과 이에 대한 분산형 전원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분산형 전원 보급에 대한 정책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요약 본 연구는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평가하고 사회적 편익 중 수도권지역에서의 분산형 전원 도입에 따른 혼잡비용 완화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우선,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기 앞서 분산형 전원의 개념을 국내 여건을 고려하여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산형 전원의 편익과 비용을 평가하기 위해 해외 선진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방법 론과 정책을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의 전기요금제도 등을 위시하여 분산형 전원의 바람직한 보급을 저해하는 장애 요소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특히 수도권지역의 혼잡비용과 분산형 전원의 혼잡비용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전력시스템의 혼잡 상황을 고려하여 정부는 분산형 전원에 대한 정책수립에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분산형 전원을 평가할 때 혼잡완화 측면이라는 시각에서만 보는 것은 왜곡될 소지가 크기 때문에 에너지이용효율 개선, 환경개선, 에너지안보 강화 등의 제반 편익들을 고려하여 분산형 전원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3.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먼저 분산형 전원의 정의에 대해 재정립을 시도하였다. 분산형 전원에 대해서는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istributed Resource, Demand Resource, Distributed Generation 등 서로 다른 용어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분산형 전원은 일반적으로 설비용량, 위치, 배전망접속, 수급자원, 운전패턴(중앙급전), 분산형 전원의 활용목적 등을 고려하여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거하여 정의를 명확하게 내리기는 어려우나, 현 단계에서는 전력시장 운영규칙(electricity market rule), 분산형 전원 연계표준(interconnection standard) 등의 기준과 소규모(small-scale) 용량인 분산형 전원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특징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산형 전원을 설비용량 20㎿ 이하의 공급설비를 갖추고 배전망 154㎸ 이하에 접속하는 자원으로 정의할 것을 제의하였다. 또한 분산형 전원의 제반 사회적 편익과 비용들을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사회적 편익들로는 자원의 효율적 활용, 환경영향 감소, 망비용 감소, 발전비용 감소, 투자위험 감소 1. Research Purpose It appears that there is strong movement for the promo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due to public policy for diffusion of district electricity business and small-scale combined heat and power. There is strong controversy about whether we continue to support promotion policy for distributed generation. Proponents of distributed generation claim that it provides social benefits in Korea which are similar to other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opponents to distributed generation claim that there is little social benefit in Korea because Korea is not in the same condition as other countries. He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is present dispute before we establish a comprehensive distributed generation policy. This study puts emphasis on evaluating social benefits of distributed generation, especially congestion relief effect in a metropolitan area. It provides policy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2. Summary This study analyzes congestion relief by introducing distributed gene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based on the evaluation of its social benefits and costs. To facilitate th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propose the concept of distributed generation.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terms such as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istributed resource, demand resource, distributed generation to represent distributed generation. Distributed generation can be defined by taking account of capacity size, location, interconnection to distribution network, demand/supply resource, operation pattern or utilization objective.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distributed generation based on a specific criter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fine distributed generation based on electricity market rule, interconnection standard and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distributed generation. Hence, it is proposed that distributed generation be defined as resource connected to distribution network 154㎸ with a capacity of 20㎿ or less. This study analyzes social benefits and costs of distributed generation. Social benefits include efficient use of resource, positive environment impact, reduced network cost, reduced generation cost, peak demand reduction, reduced investment risk, improvement of reliability and power quality, national energy security, reduced electricity price, etc. On the other hand, social costs include distributed generation installation costs, indoor emissions, and noise disturbanc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various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in a future cost-benefit analysis by introducing the cost-benefit analysis methodology for distributed generation. Advanc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pursue to identify analytical procedures of social costs and benefits. US government evaluates and applies its priority in public policy based on derived social costs and benefits, which gives us some lessons in distributed generation policy-making. This study examines congestion costs, and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 on congestion relief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s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expected that reserve margin in the metropolitan area will be 11~14 %, below the appropriate level, until 2010, and go up to 15~19%, similar to the appropriate level, after 2011.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congestion cost from 2008 to 2015, and combined heat and power is assumed for distributed generation technology. The base case assumes that the transmission capacity expansion plan shown in the 3rd electricity demand/supply resource plan will be implemented. In that case, the average congestion cost is estimated at 3.6 won/㎾h with the heat-oriented operation mode, but at 5.1 won/㎾h with the electricity-oriented operation mode. On the other hand, the shortage case assumes that the transmission capacity expansion plan shown in the 3rd electricity demand/supply 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