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식가 세친의 극미설 - 극미의 결합방식에 대한 일고찰

        이규완 ( Yi Kyoo-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극미개념과 극미의 결합방식에 대한 논의는 각 학파의 철학적 정체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다. 세친은 추상적이고 복잡한 아비다르마철학의 전개를 위한 구상적 도구로 극미개념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구사론주 세친과 유식가 세친은 극미개념과 극미의 결합에 대한 해석에서도 명확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유식이십론』 게송 11에서 극미의 결합을 지칭하는 samhata라는 용어는 현장에 의해 “화합 등”으로 번역되었으며, 이하 주석의 번역에서 “화합과 화집”으로 풀이되었다. 그러나 이 화합(和合)과 화집(和集)은 현장의 번역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법상종의 창작품으로 여겨졌다. 이 논문에서는 AKBh I.44ab에 등장하는 samcita가 『구사론』에서는 적집(積集)으로 한역되었지만, 극미의 결합에 관한 논쟁이 전개되는 『순정리론』에서 화합(和合)으로 번역되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순정리론』의 논란에서 정의되는 화합과 화집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니야야수트라바시냠』에는 니야야학파의 결합개념이 samyoga를 부정하는 sancaya와 samudaya라는 두 가지 입장의 결합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이 결합방식은 내용적으로 화합과 화집에 대응한다. 따라서 『순정리론』에서 논란이 되는 화합과 화집은 각각 sancaya(samciata)와 samudaya(samudita)에 상응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사론주 세친은 개별극미의 그것으로 만들어진 화합의 실재성을 모두 인정하였다. 그러나 유식가 세친은 개별극미를 종자(種子, bija)로 대체하여 물질의 기본단위인 극미의 실재성은 부정하지만, 인식의 대상으로 주어지는 화합상의 설명방식은 채택한다. 개별극미의 실재성이 부정되기 때문에, 상좌의 주장과 같이 화합상은 가설적인 존재가 된다. 이 가설적인 존재인 화합상이 인식대상이며, 그것은 외계대상과는 다른 “오직 표상(vijnaptimatra)”일 뿐이다. The concept of paramanu and the methods of its combination serve as a touchstone to test the philosophical identities of various Buddhist schools. Vasubandhu was the typical one who effectively used the theories of paramanu to make tangible expositions of the highly abstract and complicated Abhidharmic philosophy. As a consequence, Kosakara Vasubandhu and Yogacara Vasubandhu betrayed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of paramanu and the ways it combines. The term samhata in Vimsika v.11, meaning the combination of paramanus, was translated into “hehe etc. (和合等)” and explained as “hehe (和合) and heji (和集)” by Xuanzang (玄?). Since those two terms appear only in the texts translated by Xuanzang, most Buddhist scholars considered them as explanatory addition by the Chinese Yogacara scholars. This article shows that samcita in AKBh I.44ab, translated into jiji (積集)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Abhidharmakosa, is translated into hehe (和合)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the ways of paramanu combination in the Xuanzang's translation of Nyayanusara. In addition, the two distinctive ways of paramanu combination are refuted in Nyayasutra & Bhasyam, where samyoga is acknowledged as the established concept of paramanu combination as opposed to the two other ways including sancaya and samudaya.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bate in Nyayanusara (順正理論), it is proved that the way of paramanu combination supported by the Sautrantika's Srilata, hehe (和合), parallels to sancaya (or samcita) and heji (和集) by Sanghabhadra to samudaya (samudita). Kosakara Vasubandhu acknowledged the reality of the individual pramanu as well as the paramanu compound (<sup>*</sup>samcita-paramanu). However, Yogacara Vasubandhu denies the reality of individual paramanu (against Srilata), replacing the material basic building block with the notion of seeds (bija). Vasubandhu, though, continues to adopt the theory of samcita in order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cognition (alambana). Following the theory of Srilata, Vasubandhu regards this object of cognition, the paramanu compound (samcita), as conventionally existing being (prajnaptisat). Consequently, Vasubandhu argues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alambana) is the paramanu compound (<sup>*</sup>samcitaparamanu), which turns out mere conventionally existing being (prajnaptisat), and therefore the object of cognition is “mere representation (vijnaptimatra)” not the real being externally existent.

      • KCI등재

        지평융합-불설(buddha vacana)은 해석의 지평에서 현존한다

        이규완 ( Yi Kyoo-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이 논문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간에 간과된 부분이나 보다 진전된 연구를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먼저 논문에서는 서구학계와 일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내용과 의의에 대해 개괄하면서 두 가지 상이한 해석학적 접근이 수렴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불교의 전통이 살아있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의 문제의식은 서구학계의 관심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연구방법과 내용에 차이를 노정하였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접근은 불설(佛說)에 대한 보다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해석지평에서 합류하게 된다. 불설의 판정기준으로 라모트(Lamotte)와 후학들의 ‘4대교법’에 대한 연구가 있다. 비교적 초기의 ‘4대교법’과 함께, 대승적인 관점이 두드러진 ‘4의(依)’에 대해서도 충분한 일차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4대교법’의 정형구와 수사적 기법의 변주를 통해 불설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4의’의 관점을 예고하는 ‘4대교법’의 결론은 ‘이치(理致, yukti)에 따른 해석’으로 귀결된다. 이는 대승일반을 비롯하여 원효의 해석학적 관점과도 일치한다. 논문은 이 ‘이치에 다른 해석’이 함축하는 해석학적 함의를 ‘지평융합’이라는 개념을 통해 확장하고자 한다. 가다머의 표현을 빌어, 영향사 속에 있으며, 전통에서의 해석적 역사를 체화하고 있는 경전은 해석자의 지평에서 지평융합을 촉발한다. 이 사건을 통해 전승은 새로운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전이 창출될 수도 있다. The debates on buddhavacana in the Korean Buddhist schools have been a very exceptional case in that the open debates on the press attracted public attention to the scholastic subject crucial to the Buddhist studie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s well as betraying the scholastic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Buddhist studies. The paper stands on the should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s and examines, if any, details unnoticed or subjects required for further advancement afterwards. First of all, this paper review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tudies in Japan and the West in the 20th century, comparing the two distinct approaches. The East Asian perspective should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West since Buddhism is a live tradition in the East whereas it has been a subject of intellectual concern or a subject investigated by the eyes of Judeo-Christian tradition. The differences on the interests and methods of the two traditions, in fact, mutually supported each other to converge into a new hermeneutical horizon to make deeper and more diverse understanding of the buddhavacana. The most typical and outstanding research on this topic is the work of Lamotte on the 4 mahapadesa, the critical standards for buddhavacana. With accompanying publications on mahapadesa and the 4 pratisarana, I presume, fundamental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well enough. So, in this paper, I rather focus on the variations made by the application of rhetorical devices to the formula of the 4 mahapadesa. From the observation, I reveal how the discussion on the buddhavacana had reached the final standard, the hermeneutics by reason, yukti, which continued in the blood of Wonhyo as well as other Mahayana Buddhist canonical interpretors. This paper eventually explores a possibility to extend the hermeneutics by reason to the concept of ‘the fusion of horizon.’ According to Gadamer, every canonical literature is formed and lived through ‘the effectual history’ and the canon in turn comes to be fusing into the horizon of the readers of the canonical literatures or the creators of the new scriptures. Through the events of ‘the fusion of horizon,’ the buddhavacana can not just be newly interpreted but also be created in the voice of contemporary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