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장절공 신숭겸에 관한 한시 일고찰

        이국진 한국한문고전학회 2023 漢文古典硏究 Vol.46 No.1

        Shin Sung-gyeom is a first-class contributor to the founding of Goryeo. When Shin Sung-gyeom was surrounded by Hubaekje forces together with Wang Geon at Palgongsan Mountain, he helped Wang Geon’s escape by luring Hubaekje forces in the king's carriage and was captured and beheaded thereafter. Due to the sacrifice as such, he was worshipped in various ways in many places throughout the country, including Gokseong, Jeolla-do, his hometown, Palgongsan Mountain, Daegu, the place of sacrifice, Chuncheon, Gangwon-do, where his tomb is located, and Pyeongsan, Hwanghae-do, where his iron statue is located. Among them, the Chinese poems of the literary persons of the Pyeongsan Shin Family commonly contained strong family consciousness and pride. To Shin Ik-seong, a literary person in the mid-Joseon period, Shin Sung-gyeom was a being that stimulated the inner side of the ego who was living a lethargic and shameful life due to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and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7. Shin Hoo-jae and Shin Sung-ha were appointed as the Gangwon-do provincial governor and the Damyang prefecture governor, respectively, and visited Shin Sung-gyeom's historic sites to express their heart for respect and worship for their progenitor. Shin Wi, a literary person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an extraordinary heart for respect and worship for Shin Sung-gyeom and played a literarily important role for the unity and benefit of the Pyeongsan Shin Family. Shin Seok-woo taught the right mindset to worship Shin Sung-gyeom and expressed his unpleasant emotions due to political conflicts. Literary persons other than those in the Pyeongsan Shin Family also contained their heart for worship for Shin Sung-gyeom in their poems. First, with regard to the remains of Shin Sung-gyeom in Palgongsan Mountain in Daegu, Jo Heon strongly defended Shin Sung-gyeom indicating that comparing Shin Sung-gyeom to Ulji Gyeong-deok was wrong. Jo Hyeong-do vividly expressed the pressing situation of the Palgongsan Mountain battle and the bravery of Shin Sung-gyeom at the time. In addition, Cho Tae-eok, Nam Yoo-sang, and Lee Jong-ki visited the remains of Shin Sung-gyeom in Palgongsan Mountain and wrote poems honoring his fidelity. With regard to the remains of Shin Sung-gyeom in Pyeongsan, Hwanghae-do, Hong Yang-ho wrote poems honoring the dignity of the iron statue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founding contributors of Goryeo when he was the governor of Hwanghae-do. Jo Soo-sam stopped by the site on his way to Yeongyeong and wrote a poem containing his pious heart. The poems of Kim Mae-soon and Hong Han-joo informed us that the iron statues in Taesasa Temple had long been deified by the villagers, and that Shin Sung-gyeom had been worshiped as the village deity Seonghwang. 壯節公 申崇謙(?~927)은 고려의 개국에 결정적인 공을 세운 일등공신이다. 신숭겸은 팔공산에서 왕건과 함께 후백제군에게 포위되었을 때, 왕의 수레를 타고 후백제군을 유인해서 왕건의 탈출을 도운 뒤 붙잡혀 참수되었다. 이러한 극적인 활약과 희생으로 인해 그는 고향인 전라도 곡성, 순절지 대구 팔공산, 묘소가 있는 강원도 춘천, 철상이 있는 황해도 평산 등 전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추숭되었다. 이에 신숭겸을 제재로 한 한시에는 후대 문인들이 느끼는 정서와 의식, 소감의 핵심이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중에서 평산 신씨 문인들의 한시들은 강한 가문의식과 자부심을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었다. 조선 중기에 평산 신씨의 가문의식이 돋보였던 象村家의 자제 申翊全에게 신숭겸은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으로 인해 무기력하고 치욕스 러운 삶을 살아가는 자아의 내면을 자극하는 존재였다. 申厚載와 申聖夏는 각각 강원도 관찰사와 담양 부사로 부임하여 신숭겸의 유적지를 참배하면서 시조에 대한 존경과 추숭의 마음을 더 단단히 다졌다. 조선 후기에 평산 신씨 중에서 가문의식이 두드러졌던 申緯는 신숭겸에 대한 존숭의 마음과 자부심이 남달랐다. 또한 평산 신씨 가문의 단합과 이익을 위해 문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申錫愚는 평산 신씨 문중 사람들에게 신숭겸을 바르게 추숭하는 자세와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신숭겸의 철상 앞에서 정치적 갈등과 좌절로 응어리진 자신의 감정을 맘껏 표출하는 시간을 가졌다. 평산 신씨 이외의 많은 문인들도 신숭겸의 풍모를 되새기며 그를 추숭하는 시를 지었다. 이는 특히 대구 팔공산 신숭겸 순절지의 사당과 비문, 황해도 평산의 태백산성 안에 있는 태사사와 그곳에 봉안된 철상을 배경으로 창작되었 다. 먼저 대구 팔공산의 신숭겸 유적과 관련해서 趙憲은 신숭겸을 울지경덕에 비유한 것이 잘못되었음을 강력히 변론하였다. 趙亨道는 호방한 무인적 기질을 투영해 당시 팔공산 전투의 다급한 형세와 신숭겸의 용맹함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이외에도 趙泰億과 南有常, 조선 말기 영남지역 유학자 李種杞가 팔공 산의 신숭겸 유적을 배알하고 그의 충절을 기리는 시를 지었다. 다음으로 황해도 평산의 신숭겸 유적에 관해서는 洪良浩가 황해도 관찰사로 있을 때 철상의 위용과 고려 개국공신들의 공업을 추숭한 시를 지었고, 趙秀三 은 연경으로 가는 길에 들러 경건한 마음을 담은 시를 지었다. 金邁淳과 洪翰周 의 시는 태사사의 철상들이 오래전부터 그 고을 주민들에게 신격화되었으며, 신숭겸은 성황신으로 신봉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즉, 태사사의 철상이 양반 문인들에게는 충절의 표상으로 인식되었지만, 민간에서는 성황신으로 여기며 숭배하는 마음을 더욱 실감나게 하고 간절하게 하는 대상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 KCI등재

        대학교 한시 전공 온라인 원격수업의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2020년 1학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이국진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0 漢字 漢文敎育 Vol.49 No.-

        This article looked back upon the online class mode of majoring the Sino-Korean poemexecuted on the 1st semester of 2020 when they entered suddenly in the online educationworld due to the COVID 19, and groped its improvement plan. This showed that students'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online remote class, easy and activecommunication between the professor and students,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raisingthe attention and interests were the core elements of class of raising the learningperformance. Therefore, I think it is important to embody effectively in the online remoteclass the teaching method constructed so far, and use the strength of online remote class. It is necessary to use actively several digital data in that the Sino-Korean poem isa literature genre in which the musical element and pictorial elements stood out. Throughthis, students could reach the deep understanding of meaningful element when they feelthe Sino-Korean poem interesting and sympathize even with its emotional element. Moreover, the teacher should make more effort to his role of helping students to translatethe work in person, talk actively about their feeling and appreciation, think what meaningit has in their life and this world, and to share this learning activity among students. Through this, if putting the online remote class as the motive for a creative changeof teaching the Sino-Korean poem, I expect that the abundant artistry of the Sino-Koreanpoem and several literature contents would come nearer to today's students. 본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행한 2020년 1학기 한시 전공 온라인 수업 방식을되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면 수업과 달리 학생들의 반응을현장감 있게 확인할 수 없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체감했다.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온라인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중요함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의 능동적이고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원활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주의력과 흥미를 높이는학습 콘텐츠 활용 등이 학습능률을 높이는 수업의 핵심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시는 음악적 요소(운율)와 회화적 요소(심상)가 돋보이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다양한디지털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업 방법은 학습효과를 높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한시를 흥미롭게 느끼고 그 정서적 요소(분위기)까지 공감하게 되면, 의미적 요소(주제, 생각, 사상등)에 대해서도 이해력이 깊어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작품을 직접 번역해 보고, 적극적으로 느낌과 감상을 얘기해 보고, 그것이 나의 삶과 오늘날 세상에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러한 학습활동을 학생 간에 나눌 수 있도록 교수자가 도와주는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온라인 원격수업을 한시 교육 방법의 창의적인 전환의 계기로삼는다면, 한시의 풍부한 예술성과 다양한 문학 콘텐츠들이 오늘날 대학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空山無人, 水流花開’의 의미와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이국진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the phrase “空山無人(Empty Mountain No Person), 水流花開(Water Flows and Flowers Blossom)” in the 「十八大阿羅漢頌 (Eighteen Great Arahants' Odes)」 of the Song Dynasty writer Su Shi (蘇軾) and the aspect of acceptance of the phrase in Korea. 「十八大阿羅漢頌」 is a work written by Su Shi on April 15, 1099, when he was exiled to Hainan Island (海南島). Su Shi is a person proficient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particular, he was greatly affected by the thoughts of Buddhist Zen Buddhism and Taoism in his miserable life where he could not realize his Confucian political ideals due to demotion and exile. “空山無人, 水流花開” is an expression originated from the Zen practice and Buddhist thought of Su Shi as such. Here, “空山無人” refers to a state of the total consciousness where the ego that unceasingly distinguishes between right and wrong disappeared that is silent and calm as if it is empty, and “水流花開'”reflects the mind state to look at beings or phenomena as they are in such a state of total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reflection of the truth that the target world is merely a phenomenon that exists as a temporary harmony of various ties without any immutable substance. The phrase, “空山無人, 水流花開”, as such implies not only the boundaries of Buddhist enlightenment, but also Eastern philosophical and aesthetic ways of thinking and traditions of poetic expression. This is the reason why this phrase was accepted and loved by later writers in various ways. The acceptance of this phrase in Korea developed in three aspects termed 'a medium to express secular scenery and inspiration', 'figurative expression of the beauty and Zen taste of Mt. Geumgang', and 'recognition as a painted scene and expression through painting and calligraphy'. 蘇軾의 「十八大阿羅漢頌」에 수록되어 있는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은 그가 1099년에 64세의 나이로 海南島(儋州)에 유배되어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이 구절은 蘇軾이 평소 불교 禪宗의 사유와 도가사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黃州로 좌천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禪 수행을 실천한 토대에서 불교적 깨달음의 요체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空山無人’은 끊임없이 시비분별하는 에고[자아]가 사라진 텅 빈 듯한 고요하고 평온한 전체의식 상태를 가리키고, ‘水流花開’는 그러한 전체의식 상태에서 존재나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마음 상태를 반영한 것이다. 동시에 이 구절은 대상 세계는 불변하는 실체가 아니라 여러 인연의 일시적인 화합으로 존재하는 현상일 뿐이라는 진리의 반영이기도 하다. 이러한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이 동양의 사상적․예술적 방면에서 각별한 주목을 받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구절이 기존에 있던 시적 표현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이 구절의 근원에는 ‘없음’과 ‘텅 빔’ 등의 의미와 가치를 중요시하는 동양의 미학적 전통과 자연에서 진리를 체득하던 동양적 사유 방식의 전통이 함축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 이 구절이 시적 경계의 분위기로 깊은 여운을 발산하며 감각적으로 느끼고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충분히 제공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空山無人, 水流花開’는 여덟 글자에 지나지 않지만, 동양의 사상․미학․문학․예술의 정수가 응집된 결정체였다. 그것은 너무나도 간결하지만 어느 한 장면으로 규정할 수 없는 담백한 이미지를 앞세워, 사람들에게 깨달음과 체득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영감과 감각을 자극했다. 그리하여 그것은 ‘고요히 텅 빈 가운데 오묘함이 느껴지는’ 마음과 자연과 문학과 예술을 각각 대변하면서 게송과 시와 비평과 회화의 경계를 자유롭게 왕래했다.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이 한국에서 수용되는 양상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이 구절은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탈속적인 풍광과 감흥을 표현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했다. 둘째, 이 구절은 조선시대 문인들이 금강산의 아름다움과 禪趣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활용되었다. 셋째, 조선시대 문인들은 ‘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구절을 중요한 예술 경계로 인식하였고, 이와 관련된 회화와 서예 작품을 직접 남겼다. 그 가운데 금강산 곳곳의 아름다움이 이 구절로 대변된 점, 일부 문인들이 이 구절을 방편으로 자연에서 禪趣를 느끼고 내면의 禪理를 체감한 점, 崔北이 이 구절을 畵題로 개성이 돋보이는 「空山無人圖」를 창작한 점, 趙冕鎬가 이 구절에 빗대어 19세기 서울 승경의 실상을 실감나게 보여준 점, 金正喜가 禪․書畵․비평의 세계를 아우르며 이 구절에 담긴 의미를 진지하게 체득한 점은 더욱 주목되는 장면이다.

      • KCI등재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와 국문가사의 대비적 고찰

        이국진 한국고전문학회 2016 古典文學硏究 Vol.50 No.-

        A Comparison of Korean Sino-Poetry and Korean Gasa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sino-poetry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proceeded through the attitude of viewing them with compassion and the reflection of their sorrowful mood. Also, Korean sino-poetry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before the 18th century stressed sorrowful and melancholy mood of women. However, this literary phenomenon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the writers but was a result of the writers’ intention to create the poetic atmosphere similar to akbu style. From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aspect of Korean sino-poetry with the motif of Nabu(lazy woman) turns into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the negative sides of Nabu(lazy woman).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social change in the late Joseon era, when regulations and rules of Confucian patriarchy got deeply entrenched. So from the 18th century, the literary archetype that emphasizes the negative aspects of Nabu(lazy woman) was settled in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sino-poetry. In this background, <Nabupyun> by Soogeum Park(1629~1698), which multi-dimensionally portrayed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by actively utilizing the dialogue of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Nabubu> by Hakgyu Lee(1770~1835), which depicted the various aspects of an ugly and lazy woman in a realistic and lively way, are outstanding in their originality and literary value. <Nabuga>, a work of Korean gasa which seems to have been written after the 18th century, should be understoo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ino-poetry. <Nabuga> naturally accepted the literary archetype that was generalized in the history of Korean sino-poetry after the 18th century. If such literary correlation is considered, various literary meaning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Nabuga> in the previous studies, are likely to be illuminated in more various and complete ways. 한국에서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시의 출현과 전개는 懶婦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그들의 애상적인 정조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한국에서 懶婦를 모티프로 한 최초의 한시 작품인 洪侃(?~1304)의 <嬾婦引>은 사치와 향락을 일삼는 권세가와 대비하여 베짜는 여인들의 가난하고 궁핍한 모습을 형상화 하였다. 이후 18세기 이전까지 나타나는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들도 모두 여인들의 애환과 애상적인 정조를 부각하였다. 하지만 이런 문학적 현상은 작가들의 사회의식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이 아니라, 악부풍의 시적 분위기를 재현하기 위한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洪侃의 작품이 철저히 중국 시풍을 염두에 두고 창작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비평도 唐風의 구현 여부에 초점이 맞춰진 점, 이후 18세기 이전까지의 작품들도 생활고에 시달리는 가난한 여인들의 문학적 전형을 반복 재생한다는 점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그런데 18세기부터는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의 양상이 懶婦의 부정적인 모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이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유교적 가부장제의 규범화가 매우 강고해지는 현상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18세기부터는 懶婦의 부정적인 모습을 강조하는 문학적 전형이 조선 후기 한시사적인 흐름 속에 자리하게 되었다. 李瑞雨(1633~1709)의 <嬾婦吟>을 차운한 李應協(1709~1772)과 林應聲(1806~1866)의 작품들이 모두 애상적인 여인의 정조가 아닌 추하고 게으른 여인상을 형상화 하는데 집중한 점, 18세기 이후 작품들이 모두 추하고 게으른 여인상을 기반으로 한 점은 懶婦의 문학적 전형이 변모하고 고착화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대화체를 적극 활용하여 인물의 내면을 입체적으로 구체화 한 朴守儉(1629~1698)의 <懶婦篇>과 추하고 게으른 여인상의 다양한 면모를 실감나고 생동감 있게 형상화 한 李學逵(1770~1835)의 <嬾婦賦>은 작품의 개성과 문학성이 단연 돋보인다. 18세기 이후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국문가사 <나부가>는 이와 같은 한시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문가사 <나부가>는 예상 독자층이 여성이었으며, 창작 동기는 여성을 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창작자는 여전히 사대부 남성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국문가사 <나부가>는 18세기 이후 한국 한시사에 보편화 된 懶婦의 문학적 전형을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것이다. 또한 이정환본 <나부가>에서 두드러지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대화체 형식과 내용도 朴守儉의 <懶婦篇>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 영향 관계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와 같은 문학적 상관관계들을 고려한다면, 기존 연구 성과에서 <나부가>의 섬세한 분석을 통해 밝혀진 다양한 문학적 의미들도 더 다양하고 온전하게 구명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雪蕉 崔承太의 공주체류기 漢詩 고찰

        이국진 한국한문고전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9 No.1

        Choi Seung-Tae(崔承太) is a plebeian poet in the middle and late 17th century. His father is Choi Gi-Nam(崔奇男) who was the leading figure of the plebeian literature. Hong Se-Tae(洪世泰) is a figure having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Choi Seung-Tae(崔承太) and arranged the works written in his posthumous work and wrote the preface for his collection of works. The plebeian writers who engaged in the activities around Samcheong-dong(三淸洞), Seoul at that time, were depressed by the conflict and the agony due to restriction by social standing rather confirm their homogeneity acting pompously and enjoying the arts through the active literary creation activity and the exchange. However, when they were alone separated each other, they could not but realize the restriction by social standing and the impoverishment more deeply by that. Stayed in Gongju, Choi Seung-Tae(崔承太) expressed his discontent and thought derived from the reality that did not recognize his talent and the hard life in various poems to his friends and family in Hanyang. In addition, he emphasized the agony of not being used properly using actively the images such as 'Useless sword', 'Sword rusted with green rust', 'Wandering sword', etc. in his poems. However, the friends and family in Hanyang were the grateful beings who raises his collapsed self-regard again. In the meantime, Choi Seung-Tae(崔承太) could maintain the peace of mind traveling around scenic spots in Gongju. Among them traveling Gyeryongsan restored the magnanimous spirit that he thought that he had lost it. Choi Seung-Tae(崔承太) express the magnanimous spirit felt in Gyeryongsan in poem briskly utilizing the poetical style of Li Bo(李白) and the form of long poem. In other words, Gyeryongsan worked as poetic medium to imitate and release the poetic style of Li Bo(李白) and was a grateful and precious being that made him to express his magnanimous spirit fully, which he could not make it happen in reality. 雪蕉 崔承太(?~1684)는 六家를 이어 洛社를 중심으로 여항문학 활동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三淸洞을 배경으로 활동했던 여항시인이다. 중인과 서리층으로 구성된 洛社의 여항문인들은 신분제약으로 인한 갈등과 괴로움에 의기소침하지 않았다. 오히려 활발한 문학 창작 활동과 교유를 통해 豪氣를 발산하고 자유롭게 풍류를 즐기며 동질감을 확인했다. 하지만 이러한 각별한 결속감으로 인해, 그들이 혼자 떨어져 있을 때면 신분적 제약과 그로 인한 현실적 궁핍함을 더 깊이 절감하기도 했다. 崔承太가 공주에 체류하던 시기가 바로 그러했다. 崔承太가 공주에 체류하던 시기에 지은 시작품들에는 신분제약으로 인한 절망감, 낯설고 곤궁한 환경에서의 괴로움, 그의 삶을 지배하는 내면의식이 집약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洪世泰가 「雪蕉詩集序」에서 崔承太의 詩風은 李白을 스승으로 삼았고, 歌行과 長篇이 뛰어나며 드높은 기상이 있다고 평가한 면모가 생생하게 구현되어 있다. 아울러 공주지역 주요 명승지에 대한 시적 형상화 방식이 돋보이고 개성이 있어서 공주 지역의 한문학 유산으로도 눈길을 끈다. 당시 崔承太는 한양에 있는 知友와 가족들에게 자신의 재능을 알아주지 않는 현실과 힘든 생활에서 비롯된 불만과 상념을 여러 편의 시로 토로했다. 이 과정에서 ‘쓸모없는 칼’, ‘푸른 녹이 낀 칼’, ‘방황하는 칼’ 등의 意象을 적극 사용하여 제대로 쓰이지 못하는 괴로움을 강조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한양에 있는 知友와 가족들은 자신의 무너진 자존감을 다시 일으켜 세워주는 고마운 존재가 되어주었다. 한편, 崔承太는 힘든 생활 속에서 공주의 명승을 유람하며 심신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계룡산 유람은 잃어버린 줄 알았던 자신의 호방한 기상을 회복시켜 주었다. 이에 崔承太는 李白의 詩風과 장편 가행체 형식을 적극 활용하여 계룡산에서 느낀 호방한 기상을 거침없이 시로 표출하였다. 말하자면 鷄龍山은 崔承太가 李白의 詩風을 맘껏 모의하고 발산할 수 있는 시적 매개물로 작용하며, 그가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豪氣’를 ‘狂歌’를 통해 맘껏 발산할 수 있게 해 준 고맙고도 소중한 존재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