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 포스터 발표 : P-12 ; TATSC에서 나타난 초등영재학생들의 행동특성 분석

        이경학,한광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6 No.-

        과학영재 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많은것이 필요하겠지만, 과학영재를 제대로 판별하고 선발할 수 있는 방법과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영재의 정의나 판별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고, 이상적인 판별체제는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대상자를 선발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재 선발 방법은 다단계적 선발 방법이다. 다단계적 선발 방법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1단계 추천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교사의 추천이나 학생의 행동 관찰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영재교육대상자를 효과적으로 선발하기 위한 행동 특성 체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신원호(2009)가 개발한 과학자의 성장기 분석을 통한 영재 행동 특성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TATSC(2011, 이경학) 중 나타나는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과학적 행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L영재학급 5학년 학생 18명에게 TATSC(과제 수행형 과학적 창의성 평가) 4개(개인과제 2개, 팀 과제 2개)를 제공하여 과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행동 특성 체크리스트를 영재교사 2명 이 3단계 리커트 척도로 평가를 하였다. 체크리스트 분석은 영재 전문가 2인과 과학교육 박사 1인과 과학교육 교수 1인이 함께 참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원호(2009)가 제안한 영재 행동 특성의 6가지 대범주 중에서 관찰이 가능한 것은 ``만들기와 실험, 넓은 분야의 관심과 재능, 논리사고와 명확한 이해, 과제 집착력과 자존심, 협동활동과 여유``이며, 관찰이 어려운 범주는 "독서와 사색"이였다. 둘째, 행동 특성 중 관찰할 수 없는 중범주는 ``과학/수학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관심이 많다.``, ``자연에 대한 궁금증 해결을 위해 많은 독서와 사색을 한다.``, ``지속적으로 기록/메모한다.``로 13개 중 3개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창의 과제 수행 중에 33개의 행동특성 문항 중 13~15개 문항을 체크할 수 있었다. 특이한 점은 팀과제는 개인 과제와 달리 ``토론과 논쟁``, ``복잡한 설계 부분``의 평가 항목을 추가로 관찰할 수 있었다. 넷째, 체크한 행동특성의 평가 문항은 95%의 높은 일치도를 보였고, 배점간 일치도는 92%로 나타났으며, 최종 배점은 합의 과정을 거쳐 점수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TATSC에서 초등영재학생들의 과학적 행동특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영재행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영재성이나 창의성 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물리적 상황에 충분히 반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 영재교육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TATSC 개발은 물론 학교 및 일상생활, 비일상생활에서 영재 행동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기후변화협약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 연구(제1차년도):임업부문 온실가스 통계작성에서의 IPCC 우수실행지침 적용성 분석

        이경학,임재규,박근수,구교상,김철민,손영모,심국보,안병준,이윤영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연구보고서 Vol.2004 No.12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기후변화협약 제9차 당사국총회(2003.12)에서는 토지이용, 토지이용변경 및 임업(LULUCF) 부문에 대한 IPCC 우수실행지침을 채택하였다. 이에 대해 총회는 부속서 Ⅰ 당사국은 2005년 이후 협약 하 연년통계 작성 시 이 지침을 사용하고, 비부속서 Ⅰ 당사국은 국가보고서 통계작성 시 가능한 한 적용할 것을 장려하였다. 우리나라는 OECD가입 시 선진국 수준통계 제출 약속한 바 있으며, 교토의정서 의무 부담 대응을 위해서도 이 지침에 따른 온실가스통계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3차 국가보고서 온실가스 통계작성의 기반연구로서 임업부문에 있어 IPCC 우수실행지침의 내용 및 이와 관련된 국내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 내용 요약 우리나라는 활동대상지역의 경계 구분 및 면적 산출에 있어서는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현재 구축되었거나 구축중인 각종 토지이용 및 산림관련 수치주제도와 DB시스템, 그리고 원격탐사자료를 종합적으로 이용하면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 축적량 변화 추정을 위한 각종 활동자료와 계수에 있어서 주요 저장고에 대해 국가 고유 자료를 이용하여 수준 2에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2006년부터 새로이 개편하여 실시하는 제5차 전국산림자원조사를 중심으로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관련된 각종 계수는 집약적인 자료 수집을 통하여 그 정도를 높임으로서 전반적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교토의정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고에 필요한 지리정보시스템, 활동자료정보시스템, 각종 계수 및 모델, 결과 검증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국가 산림자원 DB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우수실행지침이란 각국의 상황 하에서 온실가스통계가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되지 않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도록 의도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이 지침을 따르면 통계 보고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우수 실행지침 대상은 탄소 저장고 및 흡수/배출원으로는 지상부/지하부 바이오매스, 토양 및 유기물층,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CH₄, NOx), 그리고 목제품 등이다. 토지이용형태를 기술함에 있어서 우수실행지침은 토지이용범주를 크게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주거지, 기타 토지 등 6가지로 나누고 있다. 한 토지이용범주를 구분하는 접근방법으로는 3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접근방법 1에서 3으로 갈수록 좀 더 상세한 변화 및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에는 각종 통계 연보를 사용하는 접근방법 1의 수준에 머물고 있으나 최근 구축되고 있는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토지 및 산지이용 관련 전산 주제도(산지이용기본도, 임상도, 정밀식생도, 지적도 등)를 충분히 활용하는 체계를 갖춘다면 접근방법 2~3까지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온실가스 통계를 작성함에 있어서는 계정 및 보고원칙 즉, 완결성, 일관성, 투명성 및 정확성을 적용하면서 7단계를 따르는 것이 우수실행이다. 온실가스 흡수/배출량 추정에 있어서는 3가지 수준의 방법론이 있으며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 고유자료 이용도, 해상도 등이 높아진다. 여기서는 국가적으로 활용가능 한 자원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최고 수준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것이 우수실행이다. 우리나라는 전체적으로 볼 때 산림이 주요 범주에 속하고, 국가 고유 배출계수와 활동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준 2에 해당되며, 향후 추가적인 바이오매스 조사, 산림조사체계의 재편 및 고해상도 원격탐사자료의 실용화로 수준 3으로의 향상이 가능할 것이다. 바이오매스(지상부 및 지하부) 탄소변화량 추정 방법에는 기본방법과 축적량 변화방법이 있는 데, 그 선택의 기준의 국가조사체계와 산림 특성에 있다. 우리나라는 전국산림자원조사 및 산림기본통계에 의한 임목축적량을 근거로 탄소축적량 변화를 추정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준인 후자를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사목의 탄소 축적량 변화는 저장고의 탄소축적량 변화는 현 1. Research Purpose UNFCCC COP9(2003.12) accepted IPCC Good Practice Guidance in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GPG2003). Korea as a member country of OECD and a Non-Annex I party has an responsibility to play a leading role in preparing and reporting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among Non-Annex I parti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GPG2003 in Korea through the analyse of its contents and the relevant domestic data and information for preparing the Korea's third national communication. 2. Summary Korea showed tier 1 to tier 2 in the presentation of boundries and the estimation of area of land-use and/or forest activities. However, it can be improved by using some relevant GIS, DB and remote sensing systems which has been established or are under establishment. In estimating carbon stock changes, the country-specific removal and emission factors and activity data are available for major carbon pools(tier 2). They can be also enhanced through a new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2006) and more intensive and detailed researches on the factors. In conclusion a national forest resources DB system which integrate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ctivity information system, coefficients and models and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response to the requirements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preparing and reporting under the Kyoto Protocol as well as the UNFCCC. 3. Results and Suggestions Inventories consistent with good practice are those which contain neither over- nor underestimates so far as can be judged, and in which uncertainties are reduced so far as is practicable. When applied to LULUCF, this definition should ensure that estimates of carbon stock changes, emissions by sources and removals by sinks, even if uncertain, are bona fide estimates, in the sense of not containing any biases that could have been identified and eliminated, and that uncertainties have been reduced as far as practicable given national circumstances. The carbon pools covered in GPG2000 are above-ground biomass, below-ground biomass, dead organic matter, soils, and harvested wood products. GPG 2000 provides advice on the estimation of carbon stock changes or emissions and removals of CO₂ and non-CO₂ greenhouse gases relating to these carbon pools. Information about land area is needed to estimate carbon stocks and emissions and removals of greenhouse gases associated with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activities. This chapter seeks to provide guidance on the selection of suitable methods for identifying and representing land areas as consistently as possible in inventory calculations GPG2000 describes six broad categories of land which may be considered as top-level categories for representing land areas within a country. If a country's land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match categories, it is good practice to combine or disaggregate the existing land classes of this system of land-use classification in order to use the categories presented here, and to report on the procedure adopted. It is also good practice to specify national definitions for all categories used in the inventory and report any threshold or parameter values used in the definitions There are three approaches for representing land areas. Approach 1 identifies the total area for each individual land-use category, but does no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changes of area between categories and is not spatially explicit other than at the national or regional level. Approach 2 introduces tracking of land-use changes between categories. Approach 3 extends Approach 2 by allowing land-use changes to be tracked on a spatial basis. In Korea, approach 1 based on some statistical yearbooks in agriculture and foresty sector is used, but it can be improved up to approach 2 or approach 3 using remote sensing image data and GIS DB which has been developed or under development in forest and other land

      • KCI등재후보

        고선형성과 높은 LO-RF 격리도를 갖는 새로운 구조의 저항성 Mixer MMIC 설계

        이경학 통신위성ㆍ우주산업연구회 2014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0.5 ㎛ p-HEMT 공정을 이용한 MMIC 주파수 혼합기를 설계하였다. 본 주파수 혼합기는 Local 신호전력이 -4 ~ 4 dBm에서 유사한 성능을 갖도록 설계하여 local 신호의 변화에 따른 변환 성능이나 선형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FET를 이용한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여, LO신호전력의 변화에 따른 성능 변화를 최소화 하였으며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할 수 있는 MMIC 주파수 혼합기 성능을 얻었다. 설계결과 LO신호전력이 -4 ~ 4㏈m 일 때, 0.5 ∼ 2.6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변환손실이 6 ㏈에 IIP3가 30 ㏈m 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갖는 설계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uperior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sub>1</sub> Clones under Intensive Culture

        이경학,이돈구,Lee, Kyeong Hack,Lee, Don Koo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4 No.1

        본(本) 연구(硏究)는 biomass 생산(生産)을 위(爲)한 밀식재배(密植栽培)에 적합(適合)한 수종(樹種)으로 우리 나라에서 개발(開發)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 클론들 중(中) 우수(優秀)한 생장(生長)을 보이는 2개(個)의 클론과 그렇지 못한 2개(個)의 클론, 1, 2년생(年生)을 대상(對象)으로 어떠한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이 빠른 생장(生長)에 관련(關聯)되는가를 알아보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되었다. 본(本) 실험(實驗)은 수원에 있는 서울대학교(大學校) 묘포장(苗圃場)에 ha당(富) 20,000 본(本)을 식재(植栽)한 후 시험구(試驗區)를 설치(設置)하여 생장(生長), 엽특성(葉特性), 가지 특성(持性) 등(等)을 시기별(時期別)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개체당(個體當)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에 있어서 2년생(年生) 클론간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1년생(年生)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년생(年)生에 있어서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과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 그리고 개체당(個體當) 총(總) 가지의 길이와 건물질(乾物質) 생산량간(生産量間)에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나타났으며, 특(特)히 주목(注目)할 만한 것은 이러한 상관(相關)이 생장기(生長期) 후반기(後半期)인 8월(月)과 9월(月)에 더욱 뚜렷하였다. 높은 물질(物質) 생산량(生産量)을 보이는 클론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즉, 높은 shoot-root ratio를 보이며, 엽생장(葉生長)에 있어서는 광합성기관(光合成器官)의 크기를 대표(代表)할 수 있는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이 많았고, 엽보유기간(葉保有期間)이 길어 생장(生長)을 더 오래할 수 있었다. 또한 수관(樹冠) 상부(上部)에 작은 엽(葉)이 많아서 광합성(光合成)에 필요(必要)한 빛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었고 가지의 특성(特性)으로는 길이가 길고 가지수(數)는 많아서 조밀(粗密)한 수관형태(樹冠形態)를 보이는 것 들이었다. Two fast-growing clones 65-29-19 and 66-6-8 and two less fast-growing clones 66-14-29 and 66-14-99 were compared at intensively cultured plots to identify what morphological characters are related to fast growth and high biomass yield of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 The plan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spring of 1982 and 1983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nursery in Suweon. Differences in dry matter production were found among two-year-old clones but not, among one-year-old clone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otal leaf area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and between total branch length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for two-year-old clones. This relation was more obvious during the late growing season. Morphological characters desirable for producing high biomass identified in fast-growing clones were as follows; high shoot-root ratio, high leaf surface area per tree, long leaf retention period, and many small leaves and compact crown architecture in the upper portion of true crown.

      • 기후변화협약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 연구(제1차년도)

        이경학,임재규,박근수,구교상,김철민,손영모,심국보,안병준,이윤영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4 No.-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기후변화협약 제9차 당사국총회(2003.12)에서는 토지이용, 토지이용변경 및 임업(LULUCF) 부문에 대한 IPCC 우수실행지침을 채택하였다. 이에 대해 총회는 부속서 Ⅰ 당사국은 2005년 이후 협약 하 연년통계 작성 시 이 지침을 사용하고, 비부속서 Ⅰ 당사국은 국가보고서 통계작성 시 가능한 한 적용할 것을 장려하였다. 우리나라는 OECD가입 시 선진국 수준통계 제출 약속한 바 있으며, 교토의정서 의무 부담 대응을 위해서도 이 지침에 따른 온실가스통계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3차 국가보고서 온실가스 통계작성의 기반연구로서 임업부문에 있어 IPCC 우수실행지침의 내용 및 이와 관련된 국내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 내용 요약 우리나라는 활동대상지역의 경계 구분 및 면적 산출에 있어서는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현재 구축되었거나 구축중인 각종 토지이용 및 산림관련 수치주제도와 DB시스템, 그리고 원격탐사자료를 종합적으로 이용하면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 축적량 변화 추정을 위한 각종 활동자료와 계수에 있어서 주요 저장고에 대해 국가 고유 자료를 이용하여 수준 2에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2006년부터 새로이 개편하여 실시하는 제5차 전국산림자원조사를 중심으로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관련된 각종 계수는 집약적인 자료 수집을 통하여 그 정도를 높임으로서 전반적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교토의정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고에 필요한 지리정보시스템, 활동자료정보시스템, 각종 계수 및 모델, 결과 검증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국가 산림자원 DB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우수실행지침이란 각국의 상황 하에서 온실가스통계가 과소 혹은 과대 추정되지 않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도록 의도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이 지침을 따르면 통계 보고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우수 실행지침 대상은 탄소 저장고 및 흡수/배출원으로는 지상부/지하부 바이오매스, 토양 및 유기물층,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CH₄, NOx), 그리고 목제품 등이다. 토지이용형태를 기술함에 있어서 우수실행지침은 토지이용범주를 크게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주거지, 기타 토지 등 6가지로 나누고 있다. 한 토지이용범주를 구분하는 접근방법으로는 3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접근방법 1에서 3으로 갈수록 좀 더 상세한 변화 및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에는 각종 통계 연보를 사용하는 접근방법 1의 수준에 머물고 있으나 최근 구축되고 있는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토지 및 산지이용 관련 전산 주제도(산지이용기본도, 임상도, 정밀식생도, 지적도 등)를 충분히 활용하는 체계를 갖춘다면 접근방법 2~3까지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온실가스 통계를 작성함에 있어서는 계정 및 보고원칙 즉, 완결성, 일관성, 투명성 및 정확성을 적용하면서 7단계를 따르는 것이 우수실행이다. 온실가스 흡수/배출량 추정에 있어서는 3가지 수준의 방법론이 있으며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 고유자료 이용도, 해상도 등이 높아진다. 여기서는 국가적으로 활용가능 한 자원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최고 수준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것이 우수실행이다. 우리나라는 전체적으로 볼 때 산림이 주요 범주에 속하고, 국가 고유 배출계수와 활동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준 2에 해당되며, 향후 추가적인 바이오매스 조사, 산림조사체계의 재편 및 고해상도 원격탐사자료의 실용화로 수준 3으로의 향상이 가능할 것이다. 바이오매스(지상부 및 지하부) 탄소변화량 추정 방법에는 기본방법과 축적량 변화방법이 있는 데, 그 선택의 기준의 국가조사체계와 산림 특성에 있다. 우리나라는 전국산림자원조사 및 산림기본통계에 의한 임목축적량을 근거로 탄소축적량 변화를 추정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준인 후자를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사목의 탄소 축적량 변화는 저장고의 탄소축적량 변화는 현저하지 않고, 현지에서 측정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어 이에 관한 국내외 자료가 극히 제한되어 있고, 이에 IPCC 기본가정은 유출입량이 같아 순변화량 0이라는 것이며, 우리나라도 이를 측정하고 있지 않다. 낙엽층 탄소 및 토양 유기탄소(SOC)의 축적량 변화 추정에 대한 개념적 접근 방법은 일정 상태 “i”에서 다른 상태 “j”로 옮겨가는 한 임지에 대해 탄소 축적량의 연간 순변화를 계산하는 것이며, 이 상태는 산림형, 경영유형, 교란유형 동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며, 현재는 이에 대한 통계를 작성하고 있지 않다. 수확된 목제품의 계정 접근방법에는 3가지 방법이 있는 데 방법에 따른 탄소축적 변화량, 목재교역, 목재가격 등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는 목재수입국으로서 축적변화량 접근법이 유리하지만 각종 계수 및 활동자료가 미비하여, 향후 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교토의 정서관련하여 우수실행지침은 교토의정서상 LULUCF의 활동에 대한 배출/흡수량 계정, 추정 및 보고를 위한 단계(표 8) 및 요구 조건 및 보완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3.3조(신규조림, 재조림, 산림전용) 및 3.4조(산림경영 등) 활동에 관한 것과, 6조(JI) 및 12조(CDM)상의 프로젝트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3.3조 활동은 미약하며, 대부분 “산림경영” 활동에 따른 탄소축적량 변화가 대부분이다. 우수실행지침에 따르면 산림경영 정의의 해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내릴 수 있다. 해석 1은 조림, 숲가꾸기, 병충해 방제 등과 같이 특정 산림시업을 실시한 곳으로, 이를 적용하면 1990년 시점에서 산림경영 구분지는 없고 점차 증가하게 된다. 해석 2는 산림경영시업체계의 대상이 되는 광범위한 토지구분을 한 것으로 이 경우는 1990년 시점에서 이미 산림경영으로 구분된 대면적의 토지가 존재하게 된다. 어느 해석을 따를 지는 당사국 총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아직 산림경영지 구분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렇지만 구축되었거나 구축중인 국유림경영지원시스템, 조림육림 이력관리시스템, 임소반도, 연속지적도 등을 사용하면 해석 1의 경영지 구분이, 산지이용구분도, 산림기능구분도, 영림계획도, 지역지구도 및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을 이용하면 해석 2의 산림경영지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LULUCF부문의 온실가스통계 작성, 보고, 검증체계 구축에 있어 좀 더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및 조사에 대한 조직, 예산, 인력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다른 한편 LULUCF 부문에서의 인베토리체계의 구축은 기후변화협약 대응 차원에서의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체계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그 시점과 내용에 대해 고려하면서 조화를 이루면서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토지이용범주 구분에 있어서 고해상도 원격탐사 및 GIS 기법 도입 - 국가 산림자원조사 개선 등을 통한 활동자료의 신뢰도 제고 - 연구 확대를 통한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전환계수의 신뢰도 제고 - 주요 범주/저장고에 대한 탄소 추정 모델의 개발 - 가장 큰 범주인 “산림경영”에 대한 전략적/실천적 정의 - 검증을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탄소축적 추정체계 구축 - 상기 요소들을 연계한 국가탄소축적 계정 DB 체계 구축 1. Research Purpose UNFCCC COP9(2003.12) accepted IPCC Good Practice Guidance in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GPG2003). Korea as a member country of OECD and a Non-Annex I party has an responsibility to play a leading role in preparing and reporting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among Non-Annex I parti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GPG2003 in Korea through the analyse of its contents and the relevant domestic data and information for preparing the Korea's third national communication. 2. Summary Korea showed tier 1 to tier 2 in the presentation of boundries and the estimation of area of land-use and/or forest activities. However, it can be improved by using some relevant GIS, DB and remote sensing systems which has been established or are under establishment. In estimating carbon stock changes, the country-specific removal and emission factors and activity data are available for major carbon pools(tier 2). They can be also enhanced through a new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2006) and more intensive and detailed researches on the factors. In conclusion a national forest resources DB system which integrate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ctivity information system, coefficients and models and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response to the requirements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preparing and reporting under the Kyoto Protocol as well as the UNFCCC. 3. Results and Suggestions Inventories consistent with good practice are those which contain neither over- nor underestimates so far as can be judged, and in which uncertainties are reduced so far as is practicable. When applied to LULUCF, this definition should ensure that estimates of carbon stock changes, emissions by sources and removals by sinks, even if uncertain, are bona fide estimates, in the sense of not containing any biases that could have been identified and eliminated, and that uncertainties have been reduced as far as practicable given national circumstances. The carbon pools covered in GPG2000 are above-ground biomass, below-ground biomass, dead organic matter, soils, and harvested wood products. GPG 2000 provides advice on the estimation of carbon stock changes or emissions and removals of CO₂ and non-CO₂ greenhouse gases relating to these carbon pools. Information about land area is needed to estimate carbon stocks and emissions and removals of greenhouse gases associated with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activities. This chapter seeks to provide guidance on the selection of suitable methods for identifying and representing land areas as consistently as possible in inventory calculations GPG2000 describes six broad categories of land which may be considered as top-level categories for representing land areas within a country. If a country's land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match categories, it is good practice to combine or disaggregate the existing land classes of this system of land-use classification in order to use the categories presented here, and to report on the procedure adopted. It is also good practice to specify national definitions for all categories used in the inventory and report any threshold or parameter values used in the definitions There are three approaches for representing land areas. Approach 1 identifies the total area for each individual land-use category, but does no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changes of area between categories and is not spatially explicit other than at the national or regional level. Approach 2 introduces tracking of land-use changes between categories. Approach 3 extends Approach 2 by allowing land-use changes to be tracked on a spatial basis. In Korea, approach 1 based on some statistical yearbooks in agriculture and foresty sector is used, but it can be improved up to approach 2 or approach 3 using remote sensing image data and GIS DB which has been developed or under development in 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