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신도시 개발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및 도시 형태와의 상관관계

        이경일,Kyungil Lee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Land cover change due to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urban expansion can caus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s. In particular, New towns are considered an appropriate study site to analyze changes in urban climate due to rapid urbanization in a short period. This study used Landsat satellite image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nd cove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wo new towns with different plan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surface urban heat island (SUHI) phenomena.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etween urban structural features that may affect the SUHI intens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 the rapid change in land cover as new town development progresses and the direct intensification of the SUHI phenomenon. This study confirms the differences in SUHI caused by different urban plans and suggests the need for three-dimensional urban planning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 KCI등재

        LANDSAT영상을 이용한 서울시 행정구역 단위의 열섬효과 분석

        이경일,류지은,전성우,정휘철,강진영,Lee, Kyung Il,Ryu, Jieun,Jeon, Seong Woo,Jung, Hui Cheul,Kang, Jin Young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도시화로 인한 산업비율 증가는 도시의 기온이 주변지역보다 높아지는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을 유발하였으며 기후변화와 함께 그 강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열섬현상이 발생하는 여러 도시 중에서도 서울시는 각 구 또는 동별로 시가화 정도, 녹지율, 에너지소비량, 인구밀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열섬현상의 강도역시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행정구, 행정동 단위 열섬현상강도(UHI Intensity)를 추출하여 행정구역별 차이를 확인하고 세 가지 범주(기상상태, 인위적 열 발생, 토지이용특성)에 포함되는 변수들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행정구역의 열섬현상강도 차이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UHI Intensity는 행정구별, 행정동별 특징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며 행정동 단위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고 구의 UHI Intensity와 구에 속한 동의 UHI Intensity분포 또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선형회귀분석결과 평균 풍속, 개발정도, 토양보정식생지수(SAVI), 정규화시가지지수(NDBI) 값이 행정구역별 열섬현상강도 차이를 발생시키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토양보정식생지수와 정규화시가지지수는 행정동단위 까지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바람길 환경 조성은 행정동 차원에서의 시행이 필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토지피복 개선 계획, 바람길 조성 계획, 개발지역에 대한 벽면 녹화계획 등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사업들은 행정구 단위의 차이만을 고려하기보단 구안에 속한 행정동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해 행정동 단위에서의 분석의 필요성과 고려해야할 변수를 도출하여 향후 도시 열환경 설계 및 정책 개발 시 접근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crease in the rate of industrialization due to urbanization has cause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ity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 and its intensity is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Among the cities where heat island phenomenon occurs, Seoul city has different degree of urbanization, green area ratio, energy consumption, and population density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s a result, the strength of heat island is also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Urban Heat Island Intensity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cause. In this study, the UHI intensity of the administrative gu and the administrative dong were extract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examined.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three categories(weather condition, anthropogenic heat generation,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heat UHI intensity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sult of analysis, UHI Intensity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gu, administrative do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e difference in administrative dong was larger than gu unit, and the UHI Intensity of gu and the UHI Intensity distribution of dongs belonging to the gu were also differ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heat island development intensity according to the average wind speed, development degree,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BI) value. Among them, the SAVI and NDBI showed a difference in value up to the dong unit and The creation of a wind route environment for the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phenomenon i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ve dong unit leve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rojects for mitigating heat island phenomenon such as land cover improvement plan, wind route improvement plan, and green wall surface plan for development area need to consider administrative dongs belonging to the gu rather than just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administrative gu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 directions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design and policy development in the future by deriving the necessity of analysis unit and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administrative city unit to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 SCOPUSKCI등재

        가와사끼병의 역학적 연구(1987-2000년) : 관상 동맥 이상을 중심으로

        이경일,박민영,한지환,이형신,최진,황경태,Lee, Kyung-Yil,Park, Min-Young,Han, Ji-Whan,Lee, Hyung-Shin,Choi, Jin,Whang, Kyung-Ta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목 적 : 가와사끼병은 일본에서 간헐적으로 지역적인 대유행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14년 동안 대전시와 인근 지역으로부터 입원한 모든 가와사끼병 환아에 대해 연도별, 월별, 연령별 및 남녀별 발생 수를 알아보고 그 동안의 치료방법과 이에 따른 심장 합병증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198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만 14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가와사끼병 환아 506명을 대상으로 입원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간 발생 평균 환아수는$36.1{\pm}11.1$ 명이었으며, 발생 환아 수가 많은 연도는 1993년 55명(10.9%), 1994년 50명(10.9%), 2000년 47명(9.3%) 순이었다. 월별로는 6월 59명(11.7%), 1월과 12월 각각 50명(9.9%), 7월 48명(9.5%) 순이었으며 계절별로는 여름이 147명(29.1%)으로 가장 많았으나 월별, 계절별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령은 2개월에서 13세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12개월 미만 135명(26.7%), 1세 153명(30.2%), 2세 108명(21.3%) 3세 54명(10.7%)로 전체의 88.9%가 3세 이하였으며 남녀비는 1.7 : 1로 남아에서 많았다. 1987-1994년간 발생한 345명을 치료 방법에 따라 아스피린 단독 치료군(54명; 15.6%), IVIG 분할 치료군(400-500 mg/일${\times}$ 4-5일, 224명; 64.9%), IVIG 일회 치료군(2.0 g/일, 67명; 19.5%)으로 나누었을 경우, 심장초음파 검사에서 grade II 이상의 관상동맥 병변의 발생빈도는 각각 8.3, 6.0, 7.5%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996-2000년간 발생한 환아 161명중 IVIG 일회 치료만이 시행된 143명에서 관상동맥 병변은 21명(14.7%; grade I 15명, grade II 이상 6명)에서 관찰되었다. IVIG 일회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재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22례(15.4%)이었으며, 이 경우 관상 동맥 병변은 11명(50.0%, grade I 7명, grade II 이상 4명)에서 관찰되었다. 14년 동안 재발한 경우가 3례(0.3%), 형제간의 발생은 2례(0.3%)가 있었으며 사망례(0%)는 없었다. 결 론 : 대전 지역에서 가와사끼병은 96%의 환아가 5세 미만에서 발생하며 연도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계절적인 차이 없이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VIG 일회 치료에 의한 관상 동맥 이상은 14.7%이었다. 일차 IVIG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아는 15.4%이었으며 이러한 환아에서 관상 동맥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50.0%를 보였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nd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sequele of children with KD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506 medical records of children with KD, who were admitted at Daejeon St. Mary's Hospital from Jan. 1987 to Dec. 2000. Results : The mean annual incidence was $36.1{\pm}11.1$ cases per year. There was a slightly higher occurrence in summer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idence. The mean age was $2.4{\pm}1.7$ years and 450 children(88.9%) were below four years of age.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7 : 1. When the 345 cases between 1987 and 1994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reatment, incidences of the coronary abnormality(above grade II) of aspirin-treated(54 cases; 15.6%), divided-intravenous immunoglobulin(IVIG) treated($400-500mg/day{\times}4-5days$, 224 cases; 64.9%), and one-dose IVIG treated(2.0 g/day, 67 cases; 19.5%) groups were 8.3%, 6.0%, and 7.5%, respectively. Between 1995 and 2000, 143 cases were treated with only one-dose IVIG and 21 cases(14.7%) showed coronary artery abnormalities(grade I, 15 cases; grade II, two cases; and grade III, four cases). Among the 143 cases, 22 cases(15.1%) were retreated with IVIG and/or steroid pulse therapy. The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abnormality in this group was 50.0%. Incidences of cases in recurrence and among siblings were 0.6% and 0.4% respectively. There was no fatal case. Conclusion : In Daejeon, Korea, the epidemiologic feature of KD showed slight annual variations without monthly differences. The incidence of coronary abnormality with one-dose IVIG therapy was 14.7%. The nonresponse of this therapy was 15.1% with a coronary abnormality of 50.0%.

      • KCI등재

        가와사끼병에서 정맥용 면역글로불린에 반응 후 아급성기에 발생한 관절염

        이경일,오진희,고대균,Lee, Kyung-Yil,Oh, Jin-Hee,Koh, Dea-Ky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저자들은 가와사끼병으로 IVIG 치료로 해열을 보인 후, 급격히 발병한 관절염을 보인 5명의 환아에 대해 임상적 경과, 실험실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IVIG 치료에 반응 후 평균 5.8일 후에 관절염 증상이 나타났으며, 임상적 분류상 소수 관절형 형이 3례, 다수관절형이 2례로 나타났다. 검사실 소견에서 류마토이드 인자는 1례에서 양성을 보였으나 이 후 음성으로 전환되었다. 3명에서 조사된 HLA B27은 모두 음성을 보였다. 치료로는 고용량 아스피린(2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이부프로펜, 3례), 스테로이드제(메틸프레드니솔론, 1례)를 사용하였다. 가와사끼병의 경과 중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치료 후 관절염이 드물게 관찰된다. 이러한 관절염은 스테로이드제를 비롯한 항염증제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고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We evaluat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five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who had showed arthritis after responding to intravenous immunoglobulin(IVIG) treatment. Age distribution was between 13 months and six years of age(mean $3.2{\pm}1.6$ years). There were two males and three females. Arthritis occurred when acute symptoms were subsiding, with the average onset on day $5.8{\pm}1.8$ after final IVIG treatment. Arthritis was pauciarticular in three, and polyarticular in two. Regarding laboratory findings, one child was positive in rhematoid factor and changed to negative after two months. Three patients were examined for HLA B27 and all showed negative results. High dose aspirin(two cases), anti-inflammatory drug(ibprofen, three cases), and corticosteroids(methyprednisolon pulse therapy, one case) were used for this type of arthritis. Symptoms and signs of arthritis in all patients were improved by these therapies. There was no relapse or complications within six months. Arthritis after responding to IVIG therapy was rarely observed in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This type of arthritis responded well to anti-inflammatory drugs including corticosteroids, and showed no relaps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