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셜미디어 이용시간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탐구
이창호(Lee, Changho),이경상(Lee, Kyeongsa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3
최근 사이버불링이 한국사회의 중요한 청소년문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매개로 이뤄지는 사이버불링 피해 및 가해 실태는 거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이버불링의 피해/가해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소셜미디어의 네트워크특성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아울러,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방안들을 제시했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이버불링 피해를 더 많이 당하고 가해경험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가운데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등 결속형 매체의 이용정도가 사이버불링 피해/가해 경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블로그나 트위터 등 교량형 매체의 이용은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에는 정적인 영향을 줬지만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결속형 매체에서 사이버불링이 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사이버불링 대처요령에 대한 교육, 사이버불링에 대한 처벌강화, 사이버불링에 대한 구체적 실태조사 등을 제안했다. Recently, cyber bully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bu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this issue.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cyber bullies or the victims of cyber bullying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both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of cyber bullying by conducting a survey o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on cyber bullying. This paper also suggested several policy measures to prevent cyber bully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boys are both more engaged in cyber bullying and victimized by it than girls. The extent of the use of closed social media such as Kakaotalk and Facebook focused on the relations affected by cyber bullying and victims positively. On the contrary, the extent of the use of bridging social media such as Blogs or Twitter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experiences of victims, but on cyber bully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cyber bulling often occurs within those forms of social media whose features are related to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Regarding measures to prevent cyber bullying,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on cyber bullying, how to confront it when it occurs, punishments for cyber bullies, and conducting survey on cyber bullying experiences are all necessary.
차량 전방 충돌 시 승객 거동 해석을 이용한 안전벨트 시스템의 승객 안전성 확보
어영우(Youngwoo Eo),신용욱(Youngwook Shin),박형기(Hyoungki Park),김광민(Kwangmin Kim),이경상(Kyeongsang Lee),황만경(Mankyung.Hwang),손정훈(Jeonghoon S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8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8 No.11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he servo sled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FEA) of the automotive seatbelt system and verifies the reliability by reducing the error rate of the FEA result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essure variable using pre-tensioner pressur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at belt system in frontal collision of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