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시간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탐구

        이창호(Lee, Changho),이경상(Lee, Kyeongsa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3

        최근 사이버불링이 한국사회의 중요한 청소년문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매개로 이뤄지는 사이버불링 피해 및 가해 실태는 거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이버불링의 피해/가해경험 실태를 파악하고 소셜미디어의 네트워크특성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아울러,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방안들을 제시했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이버불링 피해를 더 많이 당하고 가해경험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가운데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등 결속형 매체의 이용정도가 사이버불링 피해/가해 경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블로그나 트위터 등 교량형 매체의 이용은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에는 정적인 영향을 줬지만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결속형 매체에서 사이버불링이 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사이버불링 대처요령에 대한 교육, 사이버불링에 대한 처벌강화, 사이버불링에 대한 구체적 실태조사 등을 제안했다. Recently, cyber bully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bu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this issue.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cyber bullies or the victims of cyber bullying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both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of cyber bullying by conducting a survey o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on cyber bullying. This paper also suggested several policy measures to prevent cyber bully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boys are both more engaged in cyber bullying and victimized by it than girls. The extent of the use of closed social media such as Kakaotalk and Facebook focused on the relations affected by cyber bullying and victims positively. On the contrary, the extent of the use of bridging social media such as Blogs or Twitter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experiences of victims, but on cyber bully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cyber bulling often occurs within those forms of social media whose features are related to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Regarding measures to prevent cyber bullying,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on cyber bullying, how to confront it when it occurs, punishments for cyber bullies, and conducting survey on cyber bullying experiences are all necessary.

      • KCI등재SCOPUS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차량 안전벨트 시스템의 슬레드 해석과 시험 상관성 개선

        이광섭(Kwangseop Lee),김두용(Dooyong Kim),윤홍식(Hongsik Yun),이경상(Kyeongsang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3 No.4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a sled test and FEA(Finite Element Analysis) of a vehicle seatbelt system and aims to propose a method to efficiently reduce the error rate in the results of the FEA. This study evaluat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potential causes, apply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the FEA, and draw a highly reliable result of FEA, conducting a Taguchi Method and optimization for reducing the error rate in the FEA through the design of experiments.

      • KCI등재SCOPUS

        [기술논문] 분산 분석을 이용한 자동차 안전벨트 준정적 해석과 인장시험 상관성 개선

        이광섭(Kwangseop Lee),어영우(Youngwoo Eo),김삼성(Samsung Kim),김두용(Dooyong Kim),송택림(Taeckrim Song),이경상(Kyeongsang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4 No.3

        This study makes a relativ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ensile test and quasi-static analysis using AGL(Adjuster Guide Loop) model that plays a role in adjusting the height of shoulder belt,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seatbelt system and attempts to propose a method of reducing the error rate of the quasi-static analysis technique effectively. This study selects two major factors affecting the result of an analysis, draws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method of experimental design, one of the statistical techniques and understands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ANOVA(Analysis of Variance).

      • 차량 전방 충돌 시 승객 거동 해석을 이용한 안전벨트 시스템의 승객 안전성 확보

        어영우(Youngwoo Eo),신용욱(Youngwook Shin),박형기(Hyoungki Park),김광민(Kwangmin Kim),이경상(Kyeongsang Lee),황만경(Mankyung.Hwang),손정훈(Jeonghoon S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8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8 No.11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he servo sled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FEA) of the automotive seatbelt system and verifies the reliability by reducing the error rate of the FEA result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essure variable using pre-tensioner pressur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at belt system in frontal collision of vehicle.

      • KCI등재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의 표본이탈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관련 표본특성요인

        이경상 ( Lee¸ Kyeong-sa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에서의 청소년 표본이 탈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관련 표본특성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2패널 데이터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고지속참여형(76.93%), 초기이탈형(6.03%), 중기이탈형(4.36%), 중지속참여형(12.68%)으로 나타났고, 고지속참여형 대비, 여성일수록, 반성적이 낮을수록, 모학력이 높을수록, 부모 중 한명이상 미취업일수록, 한부모가구일수록, 월평균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초기이탈형에, 반성적이 낮을수록, 자가거주가 아닐수록 중기이탈형에, 반성적이 낮을수록, 중소도시 일수록 중지속참여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초4패널 데이터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고지속참여형(83.63%), 초기이탈형(2.92%), 중기이탈형(4.60%), 중지속참여형(8.85%)으로 나타났고, 고지속참여형 대비, 반성적이 낮을수록, 모학력이 높을수록, 부모 중 한명이상 미취업일수록 초기이탈형에, 모학력이 높을수록, 거주지가 대도시일수록 중기이탈형에, 한부모가구일수록 중지속참여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In this study,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youth sample attrition and its related factors of samp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the middle 2 panel data were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76.93%), initial attrition type(6.03%), mid-term attrition type(4.36%), and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12.68%). Compared to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the more women,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higher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more unemployed one of the parents, the more single-parent households,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initial attrition type.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more don’t live in one’s own hom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term attrition type.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more small and medium citie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the elementary 4 panel data were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83.63%), initial attrition type(2.92%), mid-term attrition type(4.60%), and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8.85%). Compared to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higher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more unemployed one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initial attrition type. The higher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more live in a big ci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term attrition type. The more single-parent household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