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의 관계 탐색

        이건혁(Gunhyu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논문은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이라는 조직 성과를 높이는 데 직무 만족과 상호작용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문화, 그리고 경영진에 대한 신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추적하였다. 창원지역 기계금속 업종 근로자로부터 표집된 설문 자료를 토대로 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세 가지 조직 환경 변인과 직무 만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의미 있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검증된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생산성 향상보다는 품질 개선이라는 성과 변인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예상 가설과 달리 커뮤니케이션이 비활성화되고 낮은 경영진 신뢰의 조건에서 직무만족과 품질 개선 효과는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커뮤니케이션과 신뢰의 부적 조절효과). 마지막으로 수평적 조직문화의 조건에서, 그리고 갈등적 노사관계의 조건에서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미와 함의에 대해 추가적인 논의를 포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ulture and trust as a moderator of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the growth of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and job satisfac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248 workers at 128 establishments in Changwon industrial complex, morderated regression analyses explored the proposed model. As a result, communication activity and organizational trust was found negatively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improvement/the growth of produc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positively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언론학연구』의 메타분석 연구

        이건혁(Gunhyuk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6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1

        본 연구는『언론학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초창기(1997∼2001)’와 ‘부흥기(2007∼2013)’의 두 시기로 나누어 두 기간 동안 발간된 논문에서 논의의 성격, 연구주제, 분석매체, 방법론, 연구 지역, 학회원 여부, 스폰서 여부, 저자의 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언론학 학회지로서 10년 동안 학술지의 학문적 경향과 연구자들의 구성에서 변화를 추적하고『언론학연구』의 역사를 성찰적으로 평가하고 향후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주된 연구 문제는 언론학 연구 저널이 지역언론을 연구하는 학술지인지 아니면 지역에서 연구하는 학자들의 학술지인지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지역언론 논문을 추가로 메타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논문뿐만 아니라 지역 언론 연구 논문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규범적 연구 비중이 높거나 지배적이라는 우려는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적 연구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창기에 비해서 부흥기에는 계량적 분석 연구 혹은 양적 연구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세부적으로 수용자 연구와 내용분석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분석 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다든지, 90년대 문헌 연구의 압도적 비중이 낮아지면서 양적/질적 연구 비중이 높아지는 긍정적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언론 연구로 그 대상을 축소시켜 살펴보면 규범적 연구와 계량적 연구라는 두 종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와 문헌 연구로 나타나고 있었다. 외부 기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지역 연구의 비중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1) 아직도 저널의 색채가 저널명에서 명확하지 않고 2) 지역 연구를 우대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하여『언론학연구』저널은 지역 언론 연구 저널이 아니라 지역에서 연구하는 학자들의 학술지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of two periods of ‘early stage(1997-2001)’ and ‘renaissance(2007-2013)’ with the study disposition, topic, methodology, study media and area, etc. and this study explored the study pattern and academic identity of local media research during ten years of the local media journal. The result showed the dramatic increase in number of local media paper as well as total paper. Also the por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research including the audience and content analysis research increased in renaissance stage for early stage. And the another positive phenomenon of various media research and the decrease of literature research appeare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eaning of the macro research trend in the meta-analysis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신뢰, 그리고 조직 몰입

        이건혁(Gunhyuk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7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1 No.4

        본 논문은 조직 신뢰와 조직 몰입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과 지식 공유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부산과 경남 소재 대학교 직원으로부터 표집된 설문 자료를 토대로 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지식 공유, 그리고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으로 연결되는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세 가지 주요한 내용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조직 신뢰와 조직 몰입을 향상시키는데 조직 내 원활하고 충분한 정보 교류와 정보의 질, 그리고 지식 창출 활동이 가지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지식 공유와 조직신뢰를 설명하는데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지식 창출 활동이었고 충분한 정보, 그리고 해당 정보의 질적 수준의 순으로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두 번째로 매개 효과에 대해서는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신뢰를 매개하는 지식 공유의 역할은 검증되지 못하였지만 지식 공유와 조직 신뢰, 그리고 조직 몰입으로 연결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그 의미를 분석해보면 커뮤니케이션과 지식 공유가 조직 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에서 충분한 신뢰 관계가 형성된 연후에 비로소 조직에 대한 애착과 소속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미와 함의를 살펴보면 조직 내 신뢰와 조직 애착감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만큼이나 다양하고 이질적인 지식활동이 필수적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knowledge sharing, organizational trust and involvement, using data collected from 219 employees at five National Universities in Pusan City and KyeongNam Province. The researcher derived five different but related hypothes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m, which explored the ways and mechanisms in whic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knowledge sharing and organizational trust influence organizational involvement. after variables including job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being controlled for. Analyses showed a salient importance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on activity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involvement. As supposed, organizational trust mediated between the knowledge sharing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role of knowledge creation as well as the enough and accurate information in developing organizational trust and involvement.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충격과 전문직주의가 언론노동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건혁(Gunhyuk Lee),원숙경(Suk Kyoung Won),정준희(Junehee Jung),안차수(Chasoo Ahn)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2000년을 전후로 불어닥친 디지털화와 온라인화에 따라 전통매체인 종이신문은 다매체와 다플랫폼경쟁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선발행 후편집 관행’을 정착시키고 기자들에게 다매체에 적응할 수 있는 ‘다중 업무 수행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로 디지털 충격으로 나타나는 취재관행의 변화와 권위적 경영스타일이 어떻게 신문 종사자들의 노동강도를 강화시키고 직무 만족도를 저하시키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언론노조와 함께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8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531명의 편집국 내외의 언론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 디지털 충격이 취재 관행에 미친 변화에서 기사가 부실해질수록, 그리고 속보 중시 경향이 심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디지털 충격이 뉴스룸 정책에 미친 영향으로 경영스타일이 권위적이라고 생각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문직주의(사회적 책임의식과 조직 내 소통)가 강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에 관한 연구 의의와 학술적 기여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었다. The shock wave of digitalization initiated around the year 2000 has led newspapers, as part of traditional mass media, to the new practices of ‘publishing-first, editing-second’ in an attempt to adapt to a multimedia/multi-platforms environment, which has effectively forced journalists to be prepared for multi-tasking skills. In order to find out how authoritative management styles and the changes in news gathering practices following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has led to increasing labor intensity while decreasing job satisfaction of journalistic labor, this study surveyed the members of the National Union of Press Workers,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ted by a total of 531 journalistic workers between 12th August and 30th September 2019, this study has found: firstly, in terms of the changing effect of digitalization on news gathering practices, the fact that the lower the subjective quality evaluation of news articles is and the graver the leaning towards breaking news i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becomes; secondly, in terms of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newsroom policy, the more authoritative the management styles the workers evaluate a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becomes; and thirdly, the fact that the stronger their level of professionalism -a higher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a smoother communication in their organization - i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becom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