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개신교 영성지도 실천과 연구 현황

        이강학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of the Protestnat churches in the USA. In the introduction, I briefly summarize the current situations of practice and research of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among Korean Protestants by introducing the Korean Society of Spiritual Direction and Spiritual Counseling and by summarizing some papers of You Haeryong, Lee KangHack. Kim Kyungeun, and Cho Hansang. In the main part, first,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practice of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I present a paper by Monica Romig Green who analyzes the questionnaires of spiritual directors who has participated to the Evangelical Spiritual Directors Association(ESDA). She concludes that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has not been fully welcomed by Protestant churches in the USA than expected, however the numbers of spiritual directors keep increasing and many directors have hope for the future ministry. The paper helps to foresee and prepare the future of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Next, I summarize some papers which show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research on spiritual direction in the USA. C. John Weborg focuses on Pietism by quoting Martin Luther, Philip Jacob Spenner, and August Hermann Franke, E. Glenn Hinson on Puritanism with John Bunyun, and Catherine Looker on Dallas Willard, a renowned contemporary Evangelical figure. In conclusion, we can recognize that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has been practiced in the Protestant churches for long and it is not only for Roman Catholics and that we have so diverse topics on which we can research, regarding spiritual direction, especially on spiritual direction of the spiritual figures in the Protestant churches. 이 논문은 미국 개신교 영성지도의 실천과 연구 현황을 제공함으로써 한국 개신교 영성지도의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들어가는 말에서는 한국 개신교의 영성지도 실천 현황을 2016년에 설립된 한국영성지도영성상담협회를 중심으로 소개하였고, 한국 개신교의 영성지도 연구 현황을 보여주기 위해서 유해룡, 이강학, 김경은, 그리고 조한상 등의 논문을 요약하였다. 본론에서는 먼저 미국 개신교 영성지도의 실천 현황을, 모니카 로믹 그린(Monica Romig Green)의 논문 “영성지도와 복음주의 교회: 오늘, 어제 그리고 내일”(Spiritual Direction and the Evangelical Church: Today, Yesterday and Tomorrow)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그린은 이 논문에서 복음주의 영성지도자 협회(the Evangelical Spiritual Directors Association, ESDA)에 소속된 영성지도자들에게 실시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린의 결론은 미국 교회에 영성지도 사역이 소개된 이후로 여전히 공식 사역으로 받아들여지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영성지도자들의 숫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영성지도 사역은 희망이 있다는 것이다. 그린의 논문은 복음주의 교회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개신교 교회 안에서 영성지도 사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살펴보는 데 필요한 참고사항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미국 개신교 영성지도 연구 현황을 보여주는 논문들을 요약하였다. 씨 존 위보그(C. John Weborg)는 마틴 루터, 필립 야곱 스페너, 그리고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 등을 인용하면서 경건주의 전통에서의 영성지도를, 이 글렌 힌슨(E. Glenn Hinson)은 존 번연을 중심으로 청교도의 영성지도를, 캐더린 루커(Catherine Looker)는 달라스 윌라드를 통해 현대 미국 개신교 영성지도의 한 단면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들을 통해 우리는 개신교 전통에서도 영성지도가 그 신학적 특성을 살리면서 실천되어 왔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영성지도가 로마 가톨릭 전통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성지도와 관련해서 앞으로 연구할 주제들은 정말 다양한데, 특히 기독교영성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영성가들의 영성지도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The Pneumatology of John Calvin and spiritual life

        이강학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9 Torch Trinity Journal Vol.22 No.2

        이 논문은 현대 성령론의 다양한 도전에 대하여 존 칼빈의 성령론은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그 통찰을 바탕으로 기독교인의 영 성훈련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칼빈의 성령론은 자연을 하나님의 극장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자연 묵상이라는 영 성훈련을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칼빈의 성령론은 성령이 사 회 안에서 역사 하신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인 은 역사와 사회 변동 뒤에 있는 성령의 역사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필요 가 있다. 셋째, 칼빈의 성령론은 성령이 기독교인의 영적 여정의 시작부 터 완성까지 계속 동반하고 안내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영적 여정의 발달 단계에 맞는 영성훈련을 찾아서 사용할 필 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칼빈의 성령론은 성령이 비기독교인에게도 끊임 없이 무의식적으로 역사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비기독교인 의 회심 이전에도 회심을 인도하는 성령의 역사에 대한 희망을 버려서는 안 된다.

      • KCI등재

        문화간 영성지도 : 『영신수련』와 『천주실의』를 중심으로

        이강학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In Korean churches, interests in spiritual direction have been greatly increased.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ety enlarges research topics on spiritual direction. On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direction and cultu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historic example of cross-cultural spiritual direction, especially for a Confucian culture. Specifically, It first of all focuses on the spiritual direction practiced by Ignatius of Loyola (1491-1556). We can find Ignatius’ methods of spiritual direction saliently in the Spiritual Exercises and his letters. Then, by exploring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天主實義), the work written by the first Jesuit missionary to China, Matteo Licci (1552-1610), it studies how the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had adapted on the Chinese Confucian culture. As a Jesuit, Licci knew very well the contents of the Spiritual Exercises and practiced many times the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based on the Spiritual Exerices. This paper finds that in writing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Licci used many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direction shown in the Spiritual Exercises. He followed the principle of “adaptation” as his strategy for mission, which is emphasized for taking care of directees in the Spiritual Exercises. Licci’s choice of sangje(上帝) as the Creator and Father God’s name, his description of the human nature and the heaven and the hell, and his suggestion of examination of consciences and fasting as ways of self-cultivation also find their parallels in the Spiritual Exercises. In sum, Licci wrote the True Meaning in order to prepare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for Chinese people in the Confucian culture. As Licci had shown, it is important that the director understands and respects the directee’s various cultural perspectives on God, human nature, spiritual disciplines, and spiritual experiences. As Licci’s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was very influential to Chosun as well as China, cross-cultural spiritual direction in this way can be fruitful. 한국교회에 영성지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다. 현대 사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영성지도의 연구 주제는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영성지도와 문화의 관계이다. 이 글은 문화간 영성지도의 역사적 예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와 유교의 만남을 영성지도의 관점에서 다룬다. 구체적으로, 먼저 이냐시오 로욜라(1491-1556)의 영성지도가 지닌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냐시오가 영성지도를 준 방법은 다양했다. 그 중 두드러지는 두 가지는 『영신수련』을 사용하는 방법과 편지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마테오 리치(1552-1610)가 쓴 『천주실의』를 살펴보면서 이 작품이 어떻게 이냐시오의 영성지도를 중국 유교 문화에 적용했는지를 살펴본다. 예수회 소속 선교사인 리치는 『영신수련』에 기반한 영성지도를 여러 차례 경험했기 때문에 『영신수련』의 내용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이 논문은 『천주실의』를 쓰면서, 리치가 『영신수련』에 나타난 영성지도의 많은 특징들을 사용했다는 점을 밝힌다. 리치의 선교 원칙인 “적용”(adaptation)은 『영신수련』에서 피지도자를 위해 강조되고 있었던 것이다. 리치가 창조주 하나님의 중국 이름으로 상제(上帝)를 선택한 것, 인간의 본성 및 천국과 지옥에 대한 묘사, 그리고 자기 수양의 방법으로 양심 성찰과 금식을 제안한 것 등은 『영신수련』에 기반한 영성지도가 유교 문화에 가능하도록 적용한 예이다. 결론적으로, 리치가 『천주실의』를 쓴 목적 중 하나는 유교 문화권의 중국인에게 이냐시오 영성지도를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리치가 보여주었듯이, 영성지도에서 지도자는 하나님과, 인간 본성, 그리고 영성수련과 영적 경험에 대한 피지도자의 문화적으로 다양한 관점들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치의 『천주실의』를 통한 노력이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에까지 영향을 끼쳐 열매를 맺었던 것을 기억할 때, 영성지도자가 자기와 다른 문화권 출신의 피지도자를 진정으로 존중하고 이해하려고 하는 가운데 영성지도가 이루어진다면 영성지도는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서 좋은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 영적 분별 개관

        이강학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1 Torch Trinity Journal Vol.24 No.1

        While spiritual discernment is an important topic in Christian ministries, Korean churches have not academically dealt with it. There are not many articles which deal with it under the generic understanding of the studies of Christian spirituality, but approach it with a narrow perspective, focusing on the works of demons instead of the Holy Spirit.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topics of spiritual discernment. Firstly, it introduce definitions of spiritual discernment from the Bible and the contemporary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Secondly, it summarizes five topics of spiritual discernment: those are election and decision making, discerning spiritual leaders, the signs of times, communal discernment, and the discernment of spirits. Thirdly, it provides some criteria for spiritual discernment by referring two historical resources, Ignatius of Loyola’s ‘rules for discernment of spirits,’ and Jonathan Edwards’ signs in the Religious Affections. Lastly, it explores how to apply spiritual discernment to ministries, by giving an example of the ministry of spiritual direction. Those are spiritual practices before the session, in the middle of the session, and after the session. This paper does not explain in detail those topics because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overview. 영적 분별은 목회와 사역 현장에서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 교회에서는 학문적으로 잘 다뤄지지 않았다. 영적 분별을 다룬 글들도 기독교 영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안에서 쓰이기보다는, 영적 분별의 한 분야인 영들 분별(Discernment of Spirits)에 한정되어 있고, 그것도 대체로 성령보다는 마귀가 하는 일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논문은 영적 분별을 전체적으로 개관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영적 분별의 정의를 성경 본문을 바탕으로 그리고 현대 영성 지도에서 사용하는 정의를 소개한다. 다음으로, 영적 분별의 다양한 주제를 다섯 가지로 정리한다: 즉 선택과 결정, 영적 지도자 분별, 시대의 표적, 공동체 분별, 그리고 영들 분별 은사. 또, 영적 분별의 원칙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역사적 자료들 가운데 로욜라의 이그나티우스의 ‘영들 식별 규칙’과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과 정서』를 참고 자료로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목회 사역에 영적 분별을 어떻게 적용할지를 영성 지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영성 지도 회기의 전에, 회기 중에, 그리고 회기 후에 영적 분별에 도움이 되는 영성훈련을 소개했다. 이 논문은 기독교 영성학에서 영적 분별에 접근할 때 관심을 갖는 주요 주제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각각의 주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 KCI등재

        새로운 수도원 운동 : 조너선 윌슨하트그로브를 중심으로

        이강학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기독교영성의 현대적 특징 중 하나가 새로운 수도원주의(New Monasticism) 또는 새로운 수도원 운동(New Monastic Movements)이다. 이 논문은 조너선 윌슨하트그로 브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 교회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새로운 수도원 운동의 양상을 가톨릭, 성공회, 그리고 미국 복음주의 등 세 종류로 구분해서 그 특성을 살펴본다. 가톨릭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기독교를 넘어서 다른 종교의 영성에서 잇닿아 있다는 특성이 있고, 성공회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교회의 새로운 표현으로 선교적인 맥락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미국 복음주의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전통적인 수도 생활이 지니고 있는 영성적, 공동체적, 대안 문화적인 장점들을 현대 사회에 맞게 접목하려고 노력한다는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윌슨하트그로브가 주창하는 새로운 수도원 운동을 살펴본다. 그의 회 심은 베네딕트 수도회의 영성에서 자양분을 얻으며 자랐고, 환대의 공동체인 루트바 에서 열매를 맺었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에 정주하는 삶,『공동기도서』를 중심으로 한 기도의 예전과 일상생활에 구체적으로 접목해서 재해석한 교리가 영성 형성의 기 반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공동체의 활동은 환대의 철저한 실천, 인종차별 문제를 근본적으로 넘어서려는 정의의 실천,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경제 관념에 기반한 경제적 실천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윌슨하트그로브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을 한국 교회에 접목해본다. 한국 개신교회의 수도원 운동, 공동체 운동, 그리고 마을 목회 등의 선교적 교회 운동과 비교해본다. 필자가 보기에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한국 개신교회에 수도원에 대한 이해를 새롭 게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수도원은 율법적 규칙 준수와 제복에 대한 것이 아니라 철저한 제자도에 관한 것이다. 수도원은 삶을 함께하는 것에 대한 것이며, 환 대하는 공동체에 대한 것이다. 수도원은 세상의 가치관과 문화를 따르지 않는 하나님 나라의 대안적인 삶을 지향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New Monasticism or New Monastic Movements is one of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ristian spirituality. This paper aims to explore Jonathan Wilson-Hartgrove’s thoughts and experiences on the New Monasticism and to apply the insights to Korean churches. First, the writer summarizes the various aspects of New Monasticism in terms of Roman Catholics, Anglicans, and American Evangelicals. Dealing with New Monasticism, the Roman Catholics concern interfaith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the Anglicans emphasize new expressions of church in terms of mission, and the American Evangelicals attempt to apply the wisdom of old monasticism on communal life to contemporary society. Second, the writer probes the New Monasticism of Wilson-Hartgrove. His spirituality was mainly nurtured by the Benedictine monasticism and harvests through the Rutba House, community of hospitality. The ground of spiritual formation in his community consists of the stability in communal life, the prayerful liturgy using Common Prayer and the practical reinterpretation of catechism. The community extends its practice to radical hospitality, social justice over racism, and economic life inspired by the belief on the Kingdom of God. Lastly, the writer applies the insights from Wilson-Hartgrove’s New Monasticism to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comparing with monastic movements, community movements, and Maeul-Mokhoe (village ministry). The writer views that the NewMonasticismcan provide new understanding of monasticism to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 monasticism is not about keeping rules and wearing habit but about radical discipleship. It is about living together and practicing hospitality. It is about having intention to live an alternative life following the will of God in this world.

      • KCI등재
      • 한국 기독교 성육신의 영성과 사회봉사

        이강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3 No.-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영성운동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기독교 영성학자 샌드라 쉬나이더스(Sandra Schneiders)의 영성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위에서 살펴본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사회봉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기독교 영성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두 가지 운동 즉, 귀일원과 다일공동체를, 그 출발점과 사회봉사의 관계, 영성훈련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운동 모두 예수를 사랑하고 예수를 따르려는 것이 모든 활동의 동기였으며, 특히 사회봉사활동은 그 동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영성훈련이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service. First, it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Using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by Sandra Schneiders, this paper explores various aspects of Christian spirituality. Second, based on the definition, it develops how Christian spirituality relates to social service.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wo representative Christian spiritual movements, Guiilwon and Dail Community, focusing on its beginning, its perspective on social service, and spiritual practices. In sum, for both movements, the motivations are to love and follow Jesus Christ and all their activities including social service have been naturally flowed from those motivation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