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의 태동과 발전 - 세대, 사승관계, 지역별 특징을 중심으로 -

        이강원,황영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이 글은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의 태동과 발전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중국 지리학계의 주요 저널에 문화지리학 논문을 게재한 학자들의 사승관계를 추적하여, 세대를 구분하고, 세대별 주요 연구자 및 연구경향과 지역별주요 연구거점 및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자들을 5개의 세대로 구분할 수 있었고, 난징대학을 중심으로 화둥지역에서 출발한 문화지리학적 연구가 베이징과 광저우라는 두 개의 거점으로 분화되어 있다는 점을 파악할수 있었다. 중국에서 문화지리학적 연구가 태동한 것은 100년에 가깝지만, 문화지리학 과목이 대학에 처음 개설된 것은 개혁개방 직후인 1980년대 중반 제3세대 학자들에 의해서였다. 1990년대 말부터 2010년대 말까지 연구를주도한 제4세대는 앞세대로부터 물려받은 ‘역사문화지리학’에서 ‘사회문화지리학’으로 전환을 이끌었으며, 대략2010년대에 학술활동을 시작한 제5세대는 ‘사회문화지리학’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지속가능성’ 과 ‘중국적 문제의식’을 중국 문화지리학의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Examin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geography in Chin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ajor researchers and research trends by generation and to identify major research bases 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as well. For these purposes, we tracked the master-apprentice relationship of scholars who published cultural geographical studies in major geographical journals in China.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lassification, scholars could be divided into five generations in this study. Geographical study of culture started in the Huadong region centered on Nanjing University was found to be divided into two bases: Beijing and Guangzhou. Although it is nearly 100 years since geographical study of culture emerged in China, cultural geography was firstly introduced to universities as a course by the third generation scholars in the mid-1980s, shortly after the Chinese economic reform. Leading the research from the late 1990s to the late 2010s, the fourth generation had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from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that inherited from earlier generations to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The fifth generation, who began academic activities in the 2010s, has switched to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We argue that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and ‘critical mind on issues in China’ are the tasks of Chinese cultural geography.

      • KCI등재

        초기 프레임 크기 예측을 통한 DFSA(Dynamic Frame Slotted Aloha) 알고리즘 성능 개선

        이강원,이문형,이현교,임경희,Lee, Kang-Won,Lee, Moon-Hyung,Lee, Hyun-Kyo,Lim, Kyoung-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8

        기존의 충돌 방지 알고리즘들은 현 프레임내의 충돌 정보를 토대로 다음 프레임내의 슬롯 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충돌 정보가 전혀 없는 초기 프레임의 슬롯 수는 결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들 알고리즘들은 초기 슬롯 수를 임의의 상수로 설정해 사용하고 있는데 알고리즘의 효율이 초기 슬롯 수에 민감하다는 연구결과를 감안하면 이는 개선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효율적인 초기 프레임 슬롯 수 결정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이를 통해 Dynamic Frame Slotted Aloha Algorithm의 성능 개선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2.4 GHz RFID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성능 측도로 사용한 Throughput과 Delay Time을 유도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모형을 Java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Throughput은 9.6%, Delay Time은 9.8%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Traditional anti-collision algorithms determine slot size of initial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number of collision slots, idle slots, and success slots. Since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collision at the beginning of tag information collection, traditional anti-collision algorithms can not determine the initial frame size. Considering that performance of anti-collision algorithm is very sensitive to initial slot size traditional anti-collision algorithms need some improvements. In this study two methods are proposed to determine slot size of initial frame efficiently, through which w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dynamic frame slotted aloha algorithm.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s, 2.4GHz RFID system is used. Throughput and delay time are derived through simulation, which is developed using JAVA. We have seen that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roughput by 9.6% and delay time by 9.8%.

      • 대기공 정밀여과막을 이용한 pore filling 기술개발 및 성능평가

        이강원,이영석,김정학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11

        Pore filling 기술을 적용한 base 분리막은 평균기공이 5㎛정도를 갖는 대기공 MF막으로써 polyester 재질의 braid로 보강된 PVDF 중공사막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대기공MF막의 기공내에 기능성이 확보된 친수성 고분자를 채워 넣은 후 화학 반응으로 영구 고정시키거나 유동막으로 고정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막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고분자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poly viny alcohol을 기공에 채워 넣은 후 Aldehyde로 가교시키는 방법으로 pore filling막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분리막은 입자 제거율은 UF정도 수준으로 되고 투과량은 기존UF 분리막에 비해 1.5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MMPP에 근거한 무선인터넷 트래픽 모델링 구축방법

        이강원,국광호 서울産業大學校 2005 논문집 Vol.54 No.4

        무선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다양한 서비스 사용자들을 위한 전송용량의 최적화는 저비용으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매우 중요한 선결사항이다. 무선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측면에서, 주어진 트래픽 특성과 각 서비스들의 QoS 요구조건 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대 가입자 수를 결정해 주는 시스템 성능평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때 보다 정확한 용량 평가를 위해서 음성위주의 전통적인 Markovian 과정에 근거한 트래픽 모델은 더 이상 사용도리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MMPP 모델을 이용해 무선 인터넷 트래픽을 나타내는 실무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즉 트래픽 엔지니어들이 실측된 데이터로부터 MMPP 모델을 구축할 때 필요한 입력 자료 및 이들을 결정하는 방법들을 제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발표된 몇몇 MMPP 에 기초한 트래픽 모델을 살펴보고 그들의 장단점을 구술하였다. 아울러 실측된 자료가 없을 경우 기존에 발표된 기본 트래픽 모델로부터 원하는 모델을 구축해 가는 일련의 과정도 제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