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취소: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젖산발효 도라지 추출물이 첨가된 도라지 농축액 제품의 최적화 연구

        이가순(Ka Soon Lee),성봉재(Bong Jae Seong),김선익(Sun Ick Kim),지무근(Moo Geun Jee),박신영(Shin Young Park),문중식(Jung Sik Mun),길미자(Mi Ja Kil),도은수(Eun Soo Doh),김현호(Hyun H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1

        도라지 추출농축액과 발효도라지 추출액을 이용하여 휴대가 편이하고 식용이 간편한 도라지 추출농축액 스틱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관능적 특성과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최적화 목적으로 품질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최적 배합 레시피를 산출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CCD)에 따라 도라지 추출농축액(X1), 발효도라지 추출액(X2), 천년초 추출액(X3)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계획을 하고 데이터를 분석한 후 최적화하였다. 쓴맛과 아린맛, 흐름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 등 관능적 특성과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의 기능적 특성 모두 P-value가 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여 모델의 적합성이 인정되었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쓴맛, 아린맛 및 흐름성에서는 도라지 추출농축액이 증가할수록 맛 및 흐름성에 강도가 높아졌고, 천년초 추출액이 증가할수록 점성이 높아져서 흐름성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졌으며, 관능적인 특성에서 배합비의 최적치를 쓴맛과 아린맛은 최저치를, 흐름성과 기호도는 최대치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때 도라지 추출농축액, 발효도라지 추출액 및 천년초 추출액을 최적 배합치는 각각 8.00 g, 18.38 g 및 20.00 g이었으며, 쓴맛, 아린맛, 흐름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 결과값은 각각 3.259, 1.491, 5.218 및 6.037을 보였으며, 만족도는 쓴맛, 아린맛, 흐름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 각각 0.9753, 1.0000, 0.6336 및 0.9093이었고 전체적으로 관능적인 면에서 만족도는 0.8658로 나타났다.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은 도라지 추출농축액, 발효도라지 추출액 및 천년초 추출액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최대치를 목적으로 하였을 때 최적 배합치는 도라지 추출농축액, 발효도라지 추출액 및 천년초 추출액 각각 12.00 g, 20.00 g 및 18.38g이었다. 이때 결과는 각각 93.405%의 항산화 효과와 45.306시간 동안 기관지질환 유발세균의 생육을 저지하였으며 만족도는 항산화 활성은 1.0000이었고 항균 활성에 대한 만족도는 0.9684였다. 관능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을 동시에 반응표면분석한 결과 최적배합치는 도라지 추출농축액, 발효도라지 추출액 및 천년초 추출액 각각 8.456 g, 20.00 g 및 20.00 g이었으며, 이때 결과는 쓴맛, 아린맛, 흐름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각각 3.424, 1.700, 5.105 및 6.033이었고, 85.53%의 항산화 활성과 34.27시간 동안 생육시간이 저지되었다. 최적 배합치에서 아린맛에 대한 만족도는 변함이 없었으나 기타 관능적인 면에서 만족도와 기능적인 만족도는 낮아졌으며 전체적인 만족도는 0.7596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concentrate (PGRC, 65°Brix), fermented P. grandiflorum root extract by Lactobacillus plantarum (FPGRE, 2°Brix), and cactus Chounnyouncho extract (Cactus-E, 2°Brix) for preparation of PGRC stick product with FPGR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esigned according to a central composite design with 2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hree replicates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mount of PGRC (8∼12 g), FPGRE (0∼20 g), and Cactus-E (0∼20 g). The experimental data for the sensory evalua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based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fitted with the quadratic model, and accuracy of equations was analyzed by ANOVA. For the responses, sensory and functional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en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PGRC contributed to increased bitterness and acridity based on the sensory test and antimicrobial activity, addition of FPGRE contributed to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addition of Cactus-E contributed to increased fluidity based on the sensory tes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RSM, the optimum formulation of PGRC stick product was calculated as PGRC 8.456 g, FPGRE 20.00 g, and Cactus-Ex 20.00 g with minimal bitterness and acridity, as well as optimized fluid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 KCI등재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의 품질 특성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성봉재(Bong-Jae Seong),김현호(Hyun-Ho Kim),송미란(Mi-Ran Song),김미리(Mee Ree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인삼정과 제조 시 이용되는 당 용액 대신에 올리고당 함량이 높은 맥문동의 열수추출액을 이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는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의 함량이 76.40%로 설탕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80.01%에 비하여 약 4% 정도 낮았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1.46% 및 3.49% 로 일반인삼정과의 0.59% 및 0.96%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에서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은 fructose가 32.42%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올리고당이 16.91%, 설탕 및 이당류가 13.91%, glucose가 13.16%이었으며, Rh2를 비롯한 진세노사이드 11종이 검출되어 총 함량이 740.1 ㎎%로 일반 인삼정과(675.6 mg%)보다 더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46과 0.016%로 일반인삼정과의 5.02와 0.014%보다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항산화활성은 DPPH IC50값이 인삼정과 중량기준으로 약 34.5 ㎎/mL 이었으며,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50 ㎍/mL의 농도에서 92%의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Kwa produced withhot-water extract from Maegmundong (MGJ) instead of sugar.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GJ and control ginseng JungKwa produced by sucrose (CGJ) were measured by proximate constituents, free sugars, ginsenosides, total phenolic compound,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ies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ash contents of MGJ were 76.40, 1.46 and 3.49%, where as those of CGJ were 80.01, 0.59 and 0.96%. Free sugar compositions of MGJ were fructose (32.42%), oligosaccharide (16.91%), disaccharide (13.91%) and glucose (13.16%). Eleven ginsenosides types were detected on MGJ and 9 kinds on CGJ; their contents were 740.1 and 675.6 ㎎%,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were 5.46 and 0.016% on MGJ, 5.02 and 0.014% on CGJ, respectively. I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C50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by DPPH on MGJ was about 34.5 ㎎/mL and ability was slightly higher than CGJ, although there's not much difference in ability between MGJ and CGJ.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were 92% on MGJ and 96% on CJG when treated at 50 ㎍/mL.

      • KCI등재

        수삼과 홍삼액을 첨가하여 취반한 인삼밥의 품질학적 특성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성봉재(Bong-Jae Seong),김선익(Sun-Ick Kim),한승호(Seung-Ho Han),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methods of increasing raw ginseng consumption. To accomplish this, Insambob was prepared by adding minced raw ginseng (MRG), ground raw ginseng (GRG) or extracts of red ginseng (RGE). Sensory quality, textural properties, and changes in the ginsenoside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Insambob then were investigated. Insambob containg 50% RGE had the best color, flavor and texture, but that containing 10% GRG had the best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hardness and adhesiveness were highest for containing 10% GRG and decreased as the amount of ginseng added increased. However, the hardness increased, while the adhesiveness of Insambob containg RG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added increased. Moreover, the ginsenoside composition changed upon addition of ginseng, with the levels of ginsenoside-Rb1, -Rb2, -Rb3, -Rc, -Re, -Rd, -Rg1, and -Rf decreasing and ginsenoside-Rh2, -Rh1, and -Rg3 newly appearing. Finally,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of Insambob increased upon addition of MRG, GRG and RGE.

      • KCI등재

        수삼튀김 시 튀김유 종류에 따른 수삼 및 유지의 이화학 특성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성봉재(Bong-Jae Seong),김선익(Sun-Ick Kim),한승호(Seung-Ho Han),이석수(Sox-Su Lee),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6

        본 연구는 수삼을 식용유지별, 튀김온도별에 따라 수삼을 튀김한 후 수삼과 유지의 품질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식용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를 사용하였으며, 튀김수삼과 튀긴 후 식용유지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유리지방산가의 함량 변화와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반복적으로 튀긴 기름의 색도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튀김온도가 높을수록 튀김유의 산가 및 과산화물가는 모두 증가하였다. 수삼채를 튀김할 경우 180℃ 이하의 온도에서 2분30초 이내로 튀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30회간 반복 튀김하였을 경우 포도씨유가 16.7 meq/kg으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올리브유로 32.6 meq/kg이었다. 튀김수삼에서의 과산화물가는 옥수수유가 10.3 meq/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씨유가 4.7 meq/kg으로 가장 낮았다. 대두유, 옥수수유 및 포도씨유 모두 oleic acid와 linoleic acid, linoleic acid 등 불포화도가 있는 지방산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등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튀김수삼 내에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식용유지 중 올리브유가 가장 적게 생성되었고 옥수수유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반복적으로 튀김을 할 경우 대두유, 옥수수유 및 포도씨유의 색도의 변화는 밝기와 적색도는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올리브유는 밝기는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갈색화가 가장 심하게 나타난 튀김유는 옥수수유이었다. 점도는 반복적으로 튀김을 할 경우 옥수수유가 점도가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대두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는 110 cPs 이상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frying ginseng,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ginseng and different edible oils processed through frying ginseng: soybean oil (SO), corn oil (CO), olive oil (OO), and grape seed oil (GO). We tested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temperature (130, 160, 180, and 200℃), frying time (2.0, 2.5, 3.0, and 3.5 min), and frying amount (up to 30 tim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ied ginseng and oils were evaluated for changes in acid value, peroxide value, free fatty acid content, acrylamide formation, color, and viscosity of oils.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the oils increased with frying temperature and amount.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frying, but oleic acid in CO and GO and linoleic acid in OO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acrylamide in fried ginseng increased as the frying temperature and amount increased and was the lowest in OO.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he frying oil color decreased and its yellowness increased in SO and CO, but the lightness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in OO. In particular, CO was significantly browned with increasing frying amounts. The viscosity of the frying oils increased with frying amount, with CO showing the lowest increases in viscosity of the oils. As a result, the optimal ginseng frying condition found was 2 min 30 sec at 180℃, regardless the type of oils.

      • KCI등재

        구기자청 제조 시 유리당의 변화

        이가순(Ka-Soon Lee),김관후(Gwan-Hou Kim),김현호(Hyun-Ho Kim),이희철(Hee-Chul Lee),오만진(Man-Ji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생구기자를 수확 후 건조하지 않고 바로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데치기 처리 유무에 따라 생구기자 : 설탕을 1:0.2, 1:0.4, 1:0.6, 1:0.8 및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저온 (5oC)에서 5 및 10개월간 당침 숙성하여 구기자청을 만든 후, 유리당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기자청의 가용성전분의 함량은 데치기 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설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UPRGSL-4(데치기 처리를 하지 않은 구기자 : 설탕, 1:0.8의 비율로 처리한 구기자청)에서 가용성전분의 함량이 2.5%로 가장 높았다. Maltose의 함량은 PRGSL (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청)은 설탕첨가량이 증가할수록 maltose의 함량이 높아서 PRGSL-5(데치기 처리를 한 구기자 : 설탕, 1:1)에서 5, 10개월 담금 숙성 시 각각 11.52%와 12.66%이었고 UPRGSL은 1%내외의 함량을 보였다. Sucrose의 함량은 담금 10개월째 sucrose 함량을 측정한 결과 PRGSL-5에서 sucrose 함량이 4.22%이었고 UPRGSL-5는 1.36%의 함량을 보였다. Glucose의 함량은 PRGSL-4에서 담금 10개월째 glucose 함량이 7.86%로 PRGSL-5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UPRGSL은 설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glucose 함량이 높았으며 담금 숙성 5개월째 급격히 증가하여 UPRGSL-5에서 24.39%, 10개월째는 26.22%이었다. Fructose의 함량은 PRGSL-4 및 -5가 UPRGSL-4 및 -5보다 약 3~4%정도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Sorbitol 함량은 1%내외로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UPRGSL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보여 UPRGSL-2, -3 및 -4에서 1.2~1.24%이었다. Glycerol 함량은 설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glycerol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5개월 담금 시 PRGSL-1 에서 4.58%, UPRGSL-1에서 3.01%를 보였다. Changes of free sugar on Gugija-sugar leaching were investigated by adding sugar on Gugija (Lycii fructus) raw fruit. Gugija were prepared by parboiling (40~50 sec at hot water of 85℃) and unparboiling. Gugija-sugar leaching were leached after preserving (5 and 10 months at 5℃) Gugija-sugar mixture (ratio of raw Gugija and sugar, 1:0.2, 1:0.4, 1:0.6, 1:0.8, and 1:1/w:w). Soluble starch content of Gugija-sugar leach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without reference to parboiling treatment, having the highest content, 2.5% at UPRGSL-4 (unparboiling Gugija:sugar, 1:0.8 leaching). Malt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in PRGSL, being the highest at 12.66% in PRGSL-5 (parboiling Gugija:sugar, 1:1 leaching) at 10 months leaching periods. Most of the sucrose went out of existence with increasing leaching periods; content was 4.22% on PRGSL-5 and 1.36% on UPRGSL-5. Content of glucose and fructose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ugar; glucose content was 7.86% on PRGSL-4 and 26.22% on UPRGSL-5, at 10 months leaching periods. Fructose content was 18.46% on PRGSL-5 and 22.51% on UPRGSL-4 at 10 months leaching periods. Contents of sorbitol and glycerol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s of sug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