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레저산업의 MRO 자재 물류 서비스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 -D사 사례를 중심으로

        윤희빈,신광섭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6

        With the development of ICT system, most companies are trying to improve efficiency through integrated operation of logistics services. Companies in the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which are suffering from profitabi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domestic economic recession, should als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internal operational efficiency. The major business sites in the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have a de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centered on sightseeing spots rather than in the city center,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MRO materials for smooth service provision is class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operational efficiency. In other words,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RO material supply-related services can lead to direct cost savings and ensure continuity of service operations. Although the importance of MRO materials has already been recognized in the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due to the high uncertainty of product diversity and demand. For this reason, tourism and leisure companies need to actively invest in logistics infrastructure to supply and receive MRO similar to professional logistics companies, but generally believe that building ICT system for internal oper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sales.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expansion of related infrastructu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twork management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service in the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focusing on MRO materials. To do this, we conduct a basic survey on MRO material handling status and logistics structure of domestic tourism and leisure companies, and compare the existing logistics service and integrated logistic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satisfy both the consumer and the supplier in terms of efficiency of integrated logistics oper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RO materials, factors that constitute the satisfaction of logistics service were considered economics, quickness, accuracy, stability, information environment and evaluated relative importance with improvement of service level or current problem solving priority. In addition, three types of service delivery methods, 1PL, 3PL service operation, and direct manufacturer’s delivery, were compared and evaluated in terms of 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delivery network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MRO materials. In particular, we compared the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the tourism and leisure company headquarters and logistics center, which provide service, from the viewpoint of each business site using the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identify the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service related to MRO material supply and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ICT 시스템 발전에 따라 대부분의 기업들은 물류 서비스의 통합 운영을 통한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내수 경기 침체로 인해 수익성 악화의 문제를 겪고 있는 관광레저산업의 기업들 역시 내부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수립해야 하는 상황이 다. 관광레저산업의 주요 사업장은 도심이 아닌 지역 관광지 중심으로 분산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MRO 자재의 수급이 운영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분류된다. 즉, MRO 자재 수급 관련 서비스의 효율성 향상은 직 접적인 비용 절감 효과와 서비스 운영의 연속성 보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광레저산업에서 이미 MRO 자재가 가진 중 요성은 이미 인식되어왔지만, 제품의 다양성과 수요의 불확실성이 높아 체계적인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관 광레저기업들 역시 전문 물류기업과 유사하게 MRO 자재 수급을 위한 물류 인프라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으 로 내부 운영을 위한 ICT 시스템의 구축이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믿고 있어 물류 관련 인프라 확충을 통한 효 율성 향상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레저산업에서 MRO 자재를 중심으로 물류 서비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네트워크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 관광레저기업의 MRO 자재 취급현황 및 물류 구조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와 함께 기존 운영 중인 물류 서비 스와 통합물류의 비교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통합물류 운영 효율화 방안에 대해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MRO 자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물류 서비스 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소는 경제성, 신속성, 정확성, 안전성, 정보환경을 고려하였으 며 서비스 수준의 향상 혹은 현재의 문제 해결을 위한 우선순위와 함께 상대적 중요도를 함께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MRO 자재의 수급을 위한 배송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자가 물류, 3PL 서비스 운영 및 제조사 직접 배송의 세 가지 유형의 서비스 제공 방식을 효율성 측면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특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인 관광레저기업 본사 및 물류센터와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사업 장 입장에서의 중요도와 선호도를 함께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RO 자재 공급과 관련된 서비스의 효율성 향상과 서 비스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는 우선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표고 곡립종균의 균사활착 특성

        김태헌,윤희빈,이귀용,안찬기,구창덕 한국버섯학회 2006 한국버섯학회지 Vol.4 No.2

        균류가 생장하거나 버섯이 발생하는 시기는 강수량보다 온도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표고버섯 내의 수분함량은 원기형성기 의 상대습도보다는 채취 할 당사의 상대습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표고버섯 내의 수분함량이 높아질수록 삼투압은 낮아지는 음의상관성이 있으며 버섯의 품종(290, 302)에 따라 수분함량이 같다하더라도 삼투압에 차이가 있었다. 버섯의 수분함량과 삼투압과의 상관관계는 290버섯인 경우 -0.81, 302버섯은 -0.88이었다. 이는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삼투압이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산포도로 나타낸 경향을 보면 290의 삼투압의 범위는 1.5∼16bars, 302의 삼투압의 범위는 1.5∼23bars로 302의 삼투압 범위가 더 넓었다. 수분함량이 80%일 때의 삼투압을 보면 290은 -6.5bars, 302는 -5bars를 나타낸다. 삼투압 현상은 농도가 높은 쪽으로 농도가 낮은 지역에서 용매가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290과 302의 수분함량이 80%로 같아도 290의 삼투압이 6.5bars, 302의 삼투압이 5bars로 290의 버섯이 302의 버섯보다 물을 더 흡 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버섯의 품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표고버섯을 구입 할 때 모양이 원형 또 는 타원형으로 고르고 일정하며 갓이 피지 않고 광택이 나며 연갈색 바탕에 흰줄무늬가 있고 두꺼우며 외관에 흠집이 없는 제품을 선호한다. 그러나 같은 수분함량이라해도 290과 302의 버섯은 육안으로 차이가 있다. 같은 수분함량 일 때 302는 290보다 수분을 더 많이 머금은 듯이 보인다. 버섯의 가격은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같은 품질별 버섯의 가격은 kg당 얼마, 즉 무게로 계산한다. 버섯은 수분이 90% 내외로 물은 버섯무게를 결정하는 주요인이 된다. 다시말하면 같은 크기의 버섯이 있을 때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무게는 많이 나가게 된다. 따라서 표고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같은 수분함량으로 무게 가 비슷할 경우 색이 밝아서 물을 덜 머금은 듯이 보이는 290을 더 선호할 것이다. 고품질의 표고품종은 버섯내 수분함량 이 같다고 하더라도 균사 조직의 삼투압이 높은 품종이며, 이것은 버섯 내의 수분함량이 높더라도 건조한 듯이 밝은색을 나타내므로 가격이 높고, 중량이 많아서 소득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 일대의 자원식물상

        정태영,박철하,이경수,윤희빈,이귀용,안찬기,유주한 한국자원식물학회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조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8과 242속 342종 52변종 7품종 등 총 4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키버들, 개족도리, 할미밀망, 민산초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분취 등 총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망개나무 등 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개족도리, 고란초, 망개나무, 백작약, 태백제비꽃, 꼬리진달래, 말나리 등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들의 보전을 위해서는 향후 희귀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안과 번식방법 등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원식물은 관상용 식물 220분류군, 식용 식물 239분류군, 약용 식물 281분류군, 기타용 식물 20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소리쟁이, 취명아주,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큰달맞이꽃, 비짜루국화, 붉은서나물, 개망초, 망초, 뚱딴지, 서양민들레 등 13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24%, 자연파괴도는 약 4.53%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sanggok valley, Chilsung-myeon, Geosan-gun and Chungcheongbuk-do, and the survey of period was from March, 2006 to June, 2007.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flora were recorded as 401 taxa; 88 families, 242 genera, 342 species, 52 varieties and 7 form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8 taxa; Cephalotaxus harringtonia, Salix purpurea var. japonica, Asarum maculatum, Clematis trichotoma, Zanthoxylum schinifolium var. inermis, Lonicera subsessilis, Weigela subsessilis and Saussurea seoulensis. The endangered plant designat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Berchemia berchemiaefoli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7 taxa; Crypsinus hastatus, Asarum maculatum, Paeonia japonica, Berchemia berchemiaefolia, Viola albida, Rhododendron micranthum and Lilium distichum. In future, we will discuss a concrete conservation plan and propagation method about rare plants for conservation. The plant resources were 220 taxa of ornamental plant, 239 taxa of edible plant, 281 taxa of medicinal plant and 206 taxa of other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3 taxa; Dactylis glmerata, Rumex crispus, Chenopodium glaucum,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pratense, Trifolium repens, Oenothera lamarckiana, Aster subulatus, Erechtites hieracifolia,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Helianthus tuberosus and Taraxacum officinale. The naturalized index and Urbanized index were about 3.24% and 4.53%.

      • 백운산지역의 관속식물상

        유주한,박상훈,진연희,장혜원,정한숙,이동우,윤희빈,이귀용,이철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Vol.2002 No.-

        무주나무(Lasianthus japonicus Miquel)는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열대 및 아열대의 상록활엽수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남쪽계곡에만 분포하는 희귀식물이다. 무주나무는 현재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로 보호되고 있으나 개체특성 및 자생지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무주나무의 자생지 현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주나무의 자생지는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 해발 250m의 계곡 동사면과 서귀포시 돈네코 계곡의 해발 350 m 계곡의 서사면 등 2개소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별 개체수는 남원읍 하례리 4개체, 서귀포시 돈네코계곡 5개체 등 총 9개체에 불과하였다. 자생지는 계곡의 상록수림 하부에 바위 위 부엽토나, 습한 계곡 사면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구실잣밤나무, 비쭈기나무, 황칠나무, 동백나무 등이 우점하고, 관목층에는 사스레피나무, 백량금, 산호수 등이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이었다. 분포 개체의 수고는 최소 0.4 m, 최대 1.55 m로 평균 1.5 m 였다.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줄기는 어릴 때는 사각형이지만 점차 원형으로 되며, 일정한 마디가 있고 털이 없으며, 잎은 대생하고, 혁질이며, 중륵과 측맥이 뚜렷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열매는 장과형으로 성숙 시에는 남색이며 털이 없으며, 직경 약 6-7 mm,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었다. 종자는 반달형이며, 3개의 홈이 지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현재의 자생지는 자연적인 요인으로서 토양유실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었으며, 교목 또는 다른 관목에 의한 피압으로 무주나무의 생장에 부적절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의 적절한 식생관리와 지속적인 자생지 조사 및 자생지외 보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TEX>$I_{NO}$</TEX> 가 죽절초를 제외한 3종에서 여름철 낮시간에 증가하였다. 겨울철의 O-J-I-P곡선은 모든 종에서 낮시간에 다소 낮아지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TEX>$\psi$</TEX>o/(1-<TEX>$\psi$</TEX>o)가 낮시간에 다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P <TEX>$I_{NO}$</TEX> , SF <TEX>$I_{NO}$</TEX> , <TEX>$\psi$</TEX>o/(1-<TEX>$\psi$</TEX>o)등의 변수는 식물의 활력도를 검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rc}C$</TEX>) 까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각섬석 편암

      • KCI등재후보

        충청북도 박달산 일대의 식물상

        유주한,이철희,이동우,진연희,장혜원,조흥원,윤희빈 한국자원식물학회 200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accurately to grasp the vascular plants in Mt. Bakdal (825 m of sea level), Goesan-gun, Chungcheongbuk-do. In the results of survey from October, 2000 to August, 2001,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Mt. Bakdal were summarized as 458 taxa; 91 families, 275 genera, 391 species, 62 varieties and 5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ry Service were six species; Lilium distichum, Iris uniflora var. carisina, Hylomecon hylomeconoides, Viola albida, Scopolia japonicus and Scrophulariakoraiensis. And the endemic plants were seventeen species; Melandryum seoulense,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Hylomecon hylomeconoides,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Rubus hongnoensis,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Lespedeza× tomentella, Vicia venosa var. cuspidata, Vicia venosissima, Tilia taquetii, Ajuga spectabilis, Paulownia coreana, Scrophularia koraiensis, Weigela subsessilis, Lonicera subsessilis, Cirsium setidens and Saussurea seoulensis. The sixteen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naturalized plants; Rumex acetocella, Rumex crispus, Fallopia dumetora, Chenopodium glaucum, Amaranthus retroflexus, Robinia pseudo-acacia, Amorpha fruticosa, Trifolium repens, Abutilon avicennae, Hibiscus trionum,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and Carduus crisp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accurately to grasp the vascular plants in Mt. Bakdal (825 m of sea level), Goesan-gun, Chungcheongbuk-do. In the results of survey from October, 2000 to August, 2001,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Mt. Bakdal were summarized as 458 taxa; 91 families, 275 genera, 391 species, 62 varieties and 5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ry Service were six species; Lilium distichum, Iris uniflora var. carisina, Hylomecon hylomeconoides, Viola albida, Scopolia japonicus and Scrophularia koraiensis. And the endemic plants were seventeen species; Melandryum seoulense,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Hylomecon hylomeconoides,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Rubus hongnoensis,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Lespedeza× tomentella, Vicia venosa var. cuspidata, Vicia venosissima, Tilia taquetii, Ajuga spectabilis, Paulownia coreana, Scrophularia koraiensis, Weigela subsessilis, Lonicera subsessilis, Cirsium setidens and Saussurea seoulensis. The sixteen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naturalized plants; Rumex acetocella, Rumex crispus, Fallopia dumetora, Chenopodium glaucum, Amaranthus retroflexus, Robinia pseudo-acacia, Amorpha fruticosa, Trifolium repens, Abutilon avicennae, Hibiscus trionum,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and Carduus crispus.

      • KCI등재후보

        충청북도 청주시 것대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유주한,정태영,박철하,안찬기,김경태,이우성,이경수,윤희빈,이귀용 한국자원식물학회 2007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0 No.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struct the data bas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offer the raw data forobtaining the genetic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06 taxa; 79 families, 199 genera, 266 species,35 varieties and 5 form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7 taxa; Salix caprea, S. purpureavar. japonica, Deutziacoreana, Akebia quinatavar. plyphylla, Spiraea prunifoliafor. simpiciflora, Lonicera subsessilisand Weigela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6 taxa; Dactylis glomerata, Rumex acetocella, R. crispus, Phytolacca esculenta,Tlaspi arvense,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repens, Ailanthus altissima, Oenothera lamarckiana, Veronicapersica, Ambrosia artemisiifolia var.elatior,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Taraxacumofficinaleand Sonchus asper.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26 taxa; Chloranthus japonica, Populusdavidiana,and so forth.Key words - Vascular plant, Endemic plant, Naturalized plant, Floristic region

      • KCI등재후보

        충청북도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자원식물상

        유주한(Ju-Han You),조흥원(Heung-Won Cho),진연희(Yeon-Hee Jin),윤희빈(Hee-Bin Yun),이귀용(Gwi-Yong Lee),한주환(Ju-Hwan Han),이철희(Cheol-Hee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충청북도 제천시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자원식물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지역은 북위 37°12, 동경 127°57에 위치하고 2004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상은 83과 238속 324종 44변종 3품종 등 총 371종류가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 조사결과 관상용 식물자원은 178종 (47.98%), 식용 식물자원은 232종(62.53%), 약용 식물자원은 257종(69.27%), 기타용 식물자원은 154종(41.51%)로 나타났다.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너도바람꽃, 백작약, 태백 제비꽃, 미치광이풀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systematically to grasp the resource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ea. This site was located at 37^{\circ}12 in latitude and 127^{\circ}57 in longitude and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March to October, 2004.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71 taxa; 83 families, 238 genera, 324 species, 44 varieties and 3 forma. And in the results of survey on resource plants, we confirmed 178 taxa of ornamental plants(47.98%), 232 taxa of edible plants(62.53%), 257 taxa of medicinal plants(69.27%) and 154 taxa of other useful plants(41.51%).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Eranthis stellata, Paeonia japonica, Viola albida and Scopolia japon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