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여성 : 몸과 마음의 새로운 경험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1 여성학논집 Vol.18 No.-

        This paper analyzes the new experiences in cyberspace that women are accumulating on their own body and mind. These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heralding in changes we could not conceive of yesterday, both in the way we think, in cognitive structures and in social transactions. A web of computer networks spanning the globe offers millions of users the opportunity to exchange electronic mail, transfer files, search databases, and participate in discussion groups on topics from kids' education to table cloths designs. Cyberspace might be a virtual creation, but it is a reality that is here to stay, so there exists a rather robust continuum. Despite the ideal potential of the new technologies to create a global, egalitarian community, a virtual world without barriers or divisions, the reality is strikingly different. First, there is the danger of sliding into a world divided between the info-poor and the info-rich, with women, as we know only too well, ending up on the wrong side of the gates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puters may exacerbate existing power monopolies rather than serve as a great equalizer. In order to narrow the informational gap, the only viable strategy is to ensure that women are not without a means of technological poficiency. Furthermore, women see macho behavior as an explicit attempt to scare women off so that men can keep the territory to themselves. When men attack women's posts (by flaming, intellectualizing, or posting lengthy line-by-line rebuttals of women's messages) women retreat easily into silence. In the context of such computational reticences, the veil of anonymity is powerless and women's body is conditioned to be unwilling. Our primary concern now should be to put human beings at the centre of computer culture; every social issue that we are familiar with in the real world will now have its counterpart in the virtual one. Everything from sexual harassment to mind crimes, from concepts of the gender biased habits to the informational inequity, will all be up for policy discussion and decision-making. However, even if present dystopian trends continue, most of the negotiations, adaptations and creative solutions to emerging problems will be dealt with in cyberspace from an optimistic perspective. Women are trying to create cyberspace somewhere, a place-based global community in which women are active agents. The main thing is that women must now be active agents in experimenting and interpreting new forms of communication that the new on-line communities offer them. I believe that the creative ethos on cyberspace is the key process that will allow us to reinvent the world. The possibilities that new forms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have placed in our hands at the start of this millennium are enormous. It is up to us now to navigate them for our place-based knowledge and action. We are to become informational amphibians. Cyberspace will greatly accelerate our capacity to create and build new selves in the spatial orientation. This will have important effects in encouraging women to participat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of cultural development constructing stable democracies, ensuring that different cultures can exist side by side without violent conflict and providing a sense of trust, partnership and solidarity that are necessary to any community in which people cooperate for mutual well-being. I argue that cyberspace can be explored and created as a source of pleasure for and among women, as a means to share female genealogy based on embodied subjectiv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구지역시대 아시아 여성주의 공간의 모색

        윤혜린 한국여성철학회 2007 한국여성철학 Vol.8 No.-

        본 논문은 정보의 급속한 생산과 유통, 및 소비 그리고 자본의 초국적/지역간 이동과 신체의 이주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지구화의 국면이 상품공간의 끝없는 확장으로 흘러가는 경향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자본주의 세계체제는 아시아 지역들 안에서 점증하는 사회적 불평등 및 삶의 통합성으로부터 지역성의 유리를 댓가로 하여 시장의 자유를 확산하고 있고, 이러한 시대적 맥락 안에서 지역 가부장제와 결탁함으로써 여성 및 여성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약자 집단들은 다중적인 억압에 노출된다.그렇지만 이러한 부정적 폐쇄회로를 재생산하는 것처럼 보이는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의 식민성은 구조적 변화를 모색하는 여성 행위주체들의 등장 앞에서 수많은 균열과 틈새의 공간을 허용할 수밖에 없다. 이들은 더 나은 삶의 기회를 찾아 과감히 공간이동을 감행하거나 혹은 떠나지 않는다 해도 자신의 지역 현장을 좀더 나은 삶의 장소로 변화시키려는 탈식민적 실천을 통해서 일방적으로 구조적인 권력 기제의 대상으로 위치지어지는 것을 거부한다. 일견 획일적인 현상으로 보이는 자본주의/가부장제/식민성의 다중적 억압 기제가 작동하는 틈새들마다에서 행해지는 균열 만들기는 매우 복수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지역 공간의 생산 작업이다. 여러 현장들에서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는 ‘아시아 여성주의들’은 담론적이고 실천적인 공간의 두 차원을 넘나들면서 야심적인 평등 실현의 기획 방향을 갖는 성별 정치(gender politics)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구화 시대 생태관광을 통한 지역성 생산에 대한 연구 : 인도네시아 발리의 키아단 펠라가 마을을 중심으로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본 논문은 지구화 시대 가장 크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경제 부문의 하나인 관광업이 관광 목적지와 그 지역의 사람들에게 미치고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급증하는 해외 대중관광의 이면에는 대규모 휴양지 개발로 인한 지역 환경의 훼손뿐 아니라 고유한 지역성의 실종, 주민의 삶의 질 하락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그렇지만 연 10억 건을 상회하는 해외여행의 규모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 경계를 넘어 교류하는 모빌리티가 급증하는 현실 속에서 왕래 자체를 부정하거나, 개발이냐 환경 보전이냐의 이분법에 빠지기보다 좀더 적실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의식 있는 글로벌 여행자와 지역 공동체 기반의 생태관광 프로그램이 서로 소통하는 장으로서 ‘생태관광’이라는 새로운 틈새 공간의 미래지향성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그 경험적인 사례로서 아시아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발리(Bali) 안에서 실행되고 있는 키아단 펠라가(Kiadan Pelaga) 마을의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새로운 지역성의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그리고 ‘더 좋은 마을 만들기’를 향한 그들의 집합적인 실천을 통해서 마을 공동체, 지역 주민, 그리고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커질 것임을 논의하고자 한다. I began this study acknowledging that tourism is one of the largest and fastest-growing economic sectors in the age of the globalization and it has negative impacts on the destination and the local people. Mass tourist abroad and the large scale resort development for them have been resulted in the environmental damage, loss of the authentic locality, and the degradation of the quality of local people. However, as the recent magnitude of the 1 billion tourist per year demonstrates that fast growing mobility across the borders are an unavoidable phenomenon. So, the more relevant discourse is needed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this context, I explore the future vision through the ecotourism, as the niche space, which connects the conscious global traveler and the community base ecotourism program. In order to that, first, I introduce the ecotourism program run by the Kiadan Pelaga Village in Bali, the representative of Asia Tourist destination. Secondly,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the new locality, I try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their attempts. Lastly, I argue that through the collective practices towards better village building, the sustainability of their own village community, local people, and the environment will enlarge.

      • KCI등재후보

        지구시민사회 맥락에서 본 여성주의 시민의 정체성

        윤혜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6 여성학논집 Vol.23 No.1

        This paper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theontological status of feminist citizenship in the context of a global civilsociety?” In order to explore the problem, I have set up three points, becausedealing with its identity, its contents, and its value orientation is crucial to thecitizenship debates. First, citizenship is not a certain membership which isassigned to individuals by one society according to the rights and the duties, butconstructively-layered properties through the global-citizenization. Second, thefeminist approaches to the citizenship issue are promising to transformpatriarchal frameworks into gender equal ones. From that standpoint, we are ableto realize everyday civic life fully to the micro levels of the society includingan individual’s citizenship and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s. Third, citizenshipin the feminist voices embodies solidarity to a certain extent with other valuesystems, for example, peace, ecology, cultural diversity, in order to weaken allkinds of hierarchical systems. 본 논문은 지구시민사회의 맥락에서 여성주의 시민의 정체성을 개념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즉 시민성이 어떤 존재론적 지위를 갖는가를 논의하기 위해 세 가지 문제의 지점들을 다루었다. 우선 시민성은 한 국가 내에서 개인이 부여받은 권리와 의무의 멤버십이 아니라 '시민되기'의 과정에서 중층적으로 구성해가는 성질이다. 둘째, 여성주의가 시민성 논의에 개입함으로써 기존의 논의가 가부장제적이고 형식적이었음을 비판하면서 몸의 시민권을 포함하여 일상의 미시적 시민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시민성의 기준을 강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주의 시민성 안에 지구지역적 차원에 서 추구되는 평화 생명 다양성 등의 탈 위계적 가치들과 함께 연대할 수 있는 가치체계가 표명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