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상적으로 쓰이는 차폐선반투과율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윤형근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 의학물리 Vol.14 No.4

        목 적:조사면 크기 및 차폐선반(tray)의 두께 등의 변화에 따른 차폐선반투과율(tray transmission factor)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현재 임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각 기계의 X-선 에너지마다의 단일한 차폐 선반투과율 값의 타당성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임상적으로 쓰이는 조사면 크기들의 분포를 분석하여 흔히 차폐선반투과율 결정시 표준조사면 크기로 사용되는 10${\times}$10 $\textrm{cm}^2$이 타당한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조사면 크기의 변화와 차폐선반두께의 변화에 따른 차폐선반투과율의 변화를 측정해 보기 위해서 각 에너지(6 MV, 10 MV) 별로 0, 6, 8, 10, 12 mm 두께의 아크릴 차폐선반을 사용해서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는데 각 차폐선반두께 마다 방사선 조사면 크기는 5${\times}$5, 10${\times}$10, 15${\times}$15, 20${\times}$20, 25${\times}$25, 30${\times}$30, 35${\times}$35 $\textrm{cm}^2$ 등 7단계로 변화시키면서 측정해서 각 경우의 차폐선반투과율을 결정하였다. 팬톰 내의 측정깊이는 10 cm로 하였다. 또한 차폐선반투과율의 대표값 측정에 많이 쓰이는 표준조사면 크기 10${\times}$10 $\textrm{cm}^2$이 타당한지 확인해 보기 위해 2002년에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들의 조사면 크기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 과:6 MV에서 기준 조사면 크기인 10${\times}$10 $\textrm{cm}^2$와 최대조사면인 35${\times}$35 $\textrm{cm}^2$ 사이의 차폐선반투과율 증가를 살펴보면 6 mm 두께 차폐선반에서 0.517%, 8 mm 에서 0.836%, 10 mm에서 1.058%, 12 mm에서 1.066%였다. 10 MV에서 조사면 크기 10${\times}$10 $\textrm{cm}^2$와 35${\times}$35 $\textrm{cm}^2$ 사이의 차폐선반투과율 증가를 살펴보면 6 mm에서 0.615%, 8 mm에서 0.724%, 10 mm에서 0.730%, 12 mm에서는 1.158%였다. 각 경우에서 조사면 크기 20${\times}$20 $\textrm{cm}^2$ 이하에서는 차폐선반투과율이 표준 조사면(10${\times}$10 $\textrm{cm}^2$)에서의 값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20${\times}$20 $\textrm{cm}^2$ 이상에서는 0.5% 이상, 30${\times}$30 $\textrm{cm}^2$ 이상에서는 1.0% 이상의 오차가 날 수 있었다. 한편 임상적으로 쓰이는 유효조사면 크기 중 79.2%가 10${\times}$10 $\textrm{cm}^2$과 20${\times}$20 $\textrm{cm}^2$ 사이에 분포하였다. 결 론:6 MV, 10 MV X선 각각에서 차폐선반투과율은 조사면 크기가 커질수록, 차폐선반두께가 작아질수록 각각 증가하였으며 차폐선반두께가 큰 경우가 작은 경우보다 조사면 크기에 따른 차폐선반투과율의 차이가 더 컸다. 또한, 임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기준 조사면 크기에서의 단일한 차폐선반투과율은 조사면 크기 20${\times}$20 $\textrm{cm}^2$ 이내의 범위에서는 큰 오차가 없지만 30${\times}$30 $\textrm{cm}^2$ 이상 크기의 조사면에서는 1.0% 이상 오차가 날 수 있다. 따라서 각 병원별 큰 조사면에서의 차폐선반투과율의 측정치를 확보해서 필요시에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By evaluating the dependence of the tray transmission factor (tray factor) on collimator setting and tray thickness, we determined the validity of the clinically used single tray factor for standard radiation field size (10${\times}$10 $\textrm{cm}^2$). Methods and Materials:For each X ray energies (6 and 10 MV), outputs were measured by using 5 steps of tray thickness (0, 6, 8, 10, 12 mm) and 7 steps of radiation field size (5${\times}$5, 10${\times}$10, 15${\times}$15, 20${\times}$20, 25${\times}$25, 30${\times}$30, 35${\times}$35 $\textrm{cm}^2$) at 10 cm phantom depth. Outputs were measured in both 'with tray' and 'without tray' conditions by using radiation with the same monitor units, and the tray factors were determined by the ratios of the two output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single tray factor obtained for standard radiation field, we analyzed the pattern of the field sizes in cases treated at our hospital in 2002. Results : In the 6 MV X-ray, the increases in the tray factor between the standard field (l0${\times}$10 $\textrm{cm}^2$) and the largest field (35${\times}$35 $\textrm{cm}^2$) were 0.517%, 0.835%, 1.058%, 1.066% in 6, 8, 10, and 12 mm thickness tray, respectively. In the 10 MV X-ray, the increases in the fray factor between the standard field (10${\times}$10 $\textrm{cm}^2$) and the largest field (35${\times}$35 $\textrm{cm}^2$) were 0.517%, 0.836%, 1.058%, 1.066% in 6, 8, 10, 12 mm thickness tray, respectively. In a major portion of clinical cases, when the field size was smaller than 20${\times}$20 $\textrm{cm}^2$, the tray factor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standard tray factor. However, in cases where the field sizes were 30${\times}$30 $\textrm{cm}^2$ and 35${\times}$35 $\textrm{cm}^2$, the error could exceed 1.0%. Conclusion:The tray factor increased with increasing field size or decreasing tray thickness. The difference of tray factor between the small field and the large field increased with increasing tray thickness. Furthermore, the standard tray factor was valid in most clinical cases except for when the field size was greater than 30${\times}$30 $\textrm{cm}^2$, wherein the error could exceed 1.0%.

      • KCI등재

        투과선량을 이용한 생체내 (in vivo) 선량측정을 위한 알고리즘

        윤형근,지의규,허순녕,이형구,우홍균,신교철,김시용,하성환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2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7 No.3

        연구 목적 : 각종 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시 환자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매 치료시마다 간편하게 확인하기 위한 생체내(in vivo) 선량측정의 한 방법으로 투과선량을 이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교실에서 이미 개발한 바 있는 알고리즘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알고리즘은 투과선량의 기본 측정치를 A/P (area-perimeter ratio)의 4차 함수로 회귀한 후에 각 계수들을 PCD (phantom-chamber distance)의 3차 함수로 회귀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기본 측정조건들의 감소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PCD 및 Tp(phantom thickness)당 조사야를 8개만 사용한 경우와 15개를 사용한 경우에서 측정치와 계산치를 비교하였다. 임의의 방사선조사조건에서의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측정 조건에 포함되지 않은 장방형의 방사선조사야, 기본 측정에 포함되지 않은 임의의 팬톰 두께, 임의의 PCD 조건에서 측정을 시행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 기본 측정치와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치 간의 오차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하여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정방형 개방 조사야의 경우 오차의 범위를 ±0.5% 이내로 제안할 수 있었다. 또한 기본 측정조건을 약 2분의 1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임의의 개방조사야의 방사선조사조건에서 측정을 시행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치와 비교한 경우도 대부분의 경우 ±1.0% 이하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결론 : 악성종양환자의 방사선치료시 투과선량을 이용하여 환자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생체내 선량측정시스템에 필요한 개선된 알고리즘은 기본 측정자료를 약 2분의 1로 축소한 경우에도 정방형 개방 조사야의 경우 ±0.5% 이하의 오차 범위, 장방형의 개방 조사야에서는 ±1.0% 이하의 오차 범위로 정확히 투과선량을 계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 Measurement of transmission dose is useful for in vivo dosimetry of QA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n algorithm for estimation of tumor dose using measured transmission dose for open radiation field. Materials and Methods : Transmission dose was measured with various field size (FS), phantom thickness (Tp), and phantom chamber distance (PCD) with a acrylic phantom for 6MV and 10 MV X-ray. Source to chamber distance (SCD) was set to 150 cm, Measurement was conducted with a 0.6 cc Farmer type ion chamber. Using measured data and regression analysis, an algorithm was developed for estimation of expected reading of transmission dose. Accuracy of the algorithm was tested with flat solid phantom with various settings. Results : The algorithm consisted of quadratic function of log(A/P) (where A/P is area-perimeter ratio) and tertiary function of PCD. The algorithm could estimate dose with very high accuracy for open square field, with errors within ±0.5%. For elongated radiation field, the errors were limited to ±1.0%. Conclusion : The developed algorithm can accurately estimate the transmission dose in open radiation fields with various treatment settings.

      • KCI등재

        『대안반수의경』에 나타난 부처님 호흡법의 의학적 구명

        윤형근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3 No.-

        『대안반수의경』,에 나타난 부처님호흡법의 요체는 호흡에 정신을 집중하며 출장식 호흡을 하는 것 이다. 현대의 수식관 수련법에서도 의념을 배꼽이나 단전에 두고 출장식 복식호흡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출장식 복식호흡의 가장 큰 효과는 호흡에 대한 정신집중에서 비롯된다고 사료된다. 정신집중 상태에 서는 뇌전도상으로 알파파가 많이 나타나는 '알파파 상태'가 되어 뇌를 비롯한 신체에 긍정적인 효과 가 나타난다. 또한 횡경막과 복근을 이용한 복식호흡을 하면 복부혈류가 증가하여 복부장기 기능이 향 상된다. 호흡생리학적 관점에서의 가장 확실한 이점은 폐활량에 가까운 일회 환기량이 큰 호흡을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수행함으로써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폐활량이 줄어드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건강한 폐를 유지하는 점인 것으로 사료된다. 여러 의학적 연구들에서 폐활량과 비례하는 ‘1초 기준 노력성 호기량’ (FEV1)이 큰 사람들의 수명이 보통 사람들보다 더 긴 것이 증명되었다. 폐기능이 좋을 때 수명이 늘어 나는 기전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폐가 환경독소에 대한 주 방어기관이므로 폐기능이 떨어지 면 인체가 여러 환경독소와 질병 발병에 중요한 산화 스트레스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수명이 줄어든다 는 설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큰 호흡으로 폐활량을 유지하고 건강한 폐를 유지하면 건강에 도움이 되 고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일회 환기량이 큰 복식 호흡을 하면서도 과환기에 따르는 과호흡증후군을 피하려면 혈액 내 이산화탄 소가 증가하여 어느 정도 숨이 찰 때 들이 쉬도록 호흡수를 줄일 수 밖에 없는데 이 때 흡식의 길이를 늘리는 것보다는 호식의 길이를 늘리는 것이 정신집중에 훨씬 유리하다. 이것이 바로 부처님이 사용하 신 ‘출장식’ 호흡법이다. 따라서 호식을 천천히 하며 호흡하는 것이 좋으며 조용히 내쉴수록 정신 집중 에 좋다. 조용히 쉬기 위해서는 천천히 내쉬어야 한다는 것은 기도가 나뭇가지 모양으로 이루어져 말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것을 감안할 때 ‘베르누이의 정리’ 로도 설명 가능한 부분이 있으며 기 타의 여러 가지 호흡생리학적 지식 및 자율신경계 활성도의 변화 등으로도 설명이 된다. The key points of Buddha's breathing method in Anapanasati Sutra are focusing to breath and exhaling slowly. Similarly, in many modern ZBRM(Zen breath awareness methods), disciplinants focus to breath, exhale slowly and use abdominal respiration. In ZBRM, focusing to respiration causes brain wave patterns to slow, alpha wave activity increases in electroencephalogram. Increased alpha wave state is proven to be good for health. By abdominal respiration using abdominal muscle and diaphragm, blood flow to abdominal organs is increased so that the function of abdominal organs may be enhanced. In view of respiratory physiology, definite advantage of ZBRM is to use continuously large tidal volume relatively near to vital capacity. By continuously using large tidal volume, healthy lung function can be preserved especially in old age. In many medical studies,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was proved to be inversely related to mortality. FEV1 is very closely related to vital capacity. The reasons why lung function may predict mortality are not clear. The lung is a primary defense organism against environmental toxins. So, impaired pulmonary function could lead to decreased tolerance against these toxins, and could underlie an increase in oxidative stress from free radicals. Frequent abdominal respiration using large tidal volume may lead to hypocapnia similar to hyperventillation syndrome. So, in ZBRM using abdominal respiration, the respiration rate should be decreased to prevent hypocapnia. For long expiration is good for silent and contemplative respiration, long expiration have been preferred than long inspiration from the Buddha's age. The empirical fact that long expiration is good for silent breathing may be explained by 'Bernoulli effect', autonomic nervous activity change, and other physiologic phenomena.

      • KCI등재

        Aortoenteric Fistula Diagnosed by Double Balloon Enteroscopy: A Case Report

        윤형근,고봉민,태재웅,홍수진,문종호,김진오,이준성,이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3 Clinical Endoscopy Vol.46 No.1

        A secondary aortoenteric fistula (AEF) is a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 aorta in a patient who has undergone major surgery on the aorta, often an aorta graft operation. We experienced a patient who had undergone graft interposition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and was admitted due to three episodes of hematemesis and following hamatochezia. Gastroscopy, colonoscopy,and radioactive iodine scan failed to identify the bleeding site in the patient. He was diagnosed with AEF by double balloon enteroscopy and recovered after surgical intervention.

      • KCI등재

        정위적 방사선 수술시 치료위치에서의 정위적 표적점 확인을 통한 자기공명영상 획득의 정확도 연구

        윤형근,신교철,김영식 한국의학물리학회 1998 의학물리 Vol.9 No.2

        자기공명영상을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 이용하기 위한 우선 과제로 비교적 균일한 phantom에서 자기공명영상으로 구한 정위적 표적점이 실제 방사선수술시의 방사선 빔의 isocenter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 속에 임의의 표적점이 표시된 선량측정용 필름을 끼우고 head ring 을 고정시킨 다음 자기공명영상올 얻어 방사선 수술용 planning computer 로 표적점의 정위적 좌표를 구한 다음 실제 치료와 같이 무 phantom 을 테이블에 고정한 후 구해진 표적점의 좌표를 isocenter로 하여 방사선을 조사하고 필름을 현상하여 필름에 표시한 표적점과 실제 방사선이 조사된 부위의 선량분포의 중심을 비교하였는데 오차가 0.5 mm 이내였다. 따라서 무와 같은 비교적 균일한 phantom 에서는 표적점과 실제 방사선이 조사된 부위의 선량분포의 중심이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자기공명영상의 왜곡의 정도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 아크릴에 1 cm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오일방울을 넣어준 후 아크릴 phantom을 무 속에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삽입한 뒤 자기공명영상을 얻은 후 각각의 좌표를 구하여 자기공명영상의 수평과 수직방향에서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균일한 물질 내에서는 7 cm 거리에서 0.4 mm 이내의 오차를 보여서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그런데 이 측정과정에서 device 자체와 digitizing 과정의 오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더 정교한 device 의 제작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R image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the target point-achieved by acquisition of MR image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must agree with the actual isocenter of irradiation in real treatment. And the amount of distortion of the MR image must be known to make a correction for the agreement. A radish containing abundant water content was chosen as a homogeneous phantom for the purpose of verification of the agreement in this experiment. A dosimetric film was firmly attached to the small specially fabricated acryl plate and needle puncture was made through the film just into the acryl plate and a drop of oil was dropped into the hole of the film. The acryl plate with film was inserted into the radish and the dorp of oil represented the target point in MR image. After the image acquisition by stereotatic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we achieved stereotactic coordinate of the target point represented by the oil drop. And we proceeded to actual irradiation to the target point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After the irradiation, the film in the radish was developed and processed and the degree of coincide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radiation distribution and the target point represented by the hole in the film was measured. The discrepancy between two points was under 0.5 mm. so we could confirm good coincidence in homogeneous phantom such as radish. On the other hand, authors tried to use our home-made device for estimation of distortion of MR image.

      • SCOPUSKCI등재

        Radiotherapy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윤형근,박찬일,김광현,Yun, Hyong-Geun,Park, Charn-Il,Kim, Kwang-Hy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1

        1979년 2월부터 1986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상악동의 편평상피 암 환자 73예를 분석하였다. 41예에서는 수술과 수술후 또는 수술전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여 치료하였고 32예에서는 방사선치료만을 주치료로 시행하였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0.4\%$였으며 방사선치료만을 주치료로 시행한 집단의 5년 생존율은 $22.1\%$였고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함께 시행한 집단의 5년 생존율은 $65.3\%$였다. 치료 후 사망이 확인된 환자 가운데 상세한 치료실패 과정을 알 수 있었던 31예 중 잔류병소를 포함 국소치유실패를 나타냈던 경우가 22예($71.0\%$)였고 경부임파절 재발로 인한 치유실패가 6예($19.3\%$)였으며 인격전이로 인한 치유실패가 3예 ($9.7\%$)에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상악동 암의 국소치유율을 증가시켜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획된 수술과 방사선 치료의 병용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ne hundred-te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maxillary antrum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viersity Hospital between February 1979 and September 1986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f these, only 73 patients were eligible for analysis. Forty-o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and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The majority of patients had advanced stage (including $47\%\;T_4$ tumor).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was $40.0\%$. In the radiotherapy alone group,5 year survival rate was $22.1\%$, and in the combined surgery and radiotherapy group,5 year survival rate was $65.3\%$. Of 31 patients who had failures,22 patients ($71.0\%$) had local failures, 6 patients ($19.3\%$) had regional failures and 3 patients ($9.7\%$) had distant metastasis. Planned combined treatment with surger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carcinoma of the maxillary ant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