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의 역사성을 활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들 - (구)주안염전 일대를 사례로 -

        윤현위,정원욱 한국도시지리학회 202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5 No.2

        오늘날 인천광역시 주안역 북부지역은 우리나라 최초의 천일제염이 시행된 주안염전이 있었던 곳이다. 주안염전의 역사는 근대 도시 인천의 역사를 소개할 때 핵심 콘텐츠로 늘 소개되며 인천 역사와 관련된 홍보물과 간행물에도 빠지지 않는다. 1907년에 시작된 주안염전은 1960년대까지 유지되다가 주안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되어 경인공업지역으로 편입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주안염전이 위치했던 지역에는 그 흔적을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최초의 천일제염만을 강조하다 보니 일제강점기 이전 인천의 소금생산과 산업단지 조성 이후의 소금생산에 대해서는 지역사에서 대체로 배제되어왔다. 이러한 상황은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주안염전 일대가 다수의행정구역으로 분리된 공간적 파편화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안염전 일대의 역사지리가 인천의 도시변화를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점임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활용을 위해서 주안염전 일대의 장소기억의 보전과 전환의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주시 원도심 쇠퇴의 대응방안에 관한 비판적 검토

        윤현위,김가은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3

        청주 원도심은 청주 읍성이 있었던 지역이며 현재까지도 충북도청을 중심으로 청주와 충북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청주의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공간이 외연적으로 확장되면서 원도심은 인구감소와 물리적 노후화를 경험하고 있다. 추가적인 원도심 쇠퇴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동안 원도심에는 다수의 도시재생정책이 추진되었으나 지속가능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서는 원도심이 보유하고 있는 장소자산의 활용을 강화하고 업무기능을 유치하기 위한 장기적 전략과 정책이 필요하다. 최근 원도심 일대에는 경관보존지구가 지정되어 건축물고도제한이 강화되는 가운데 광역철도의 원도심 통과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광역철도의 통과가 결정되더라도 원도심의 무분별한 난개발,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부동산개발 중심의 개발을 지양하기 위해서는 원도심이 보유하고 있는 장소자산의 보전과 시민사회의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작업의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쇠퇴하는 도시의 공간적 확장이라는 역설 -태백시를 사례로-

        윤현위 한국사진지리학회 202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3 No.3

        우리나라의 중소도시들은 수도권과 지방의 대도시에 인접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인구감소를 경험하고 있으며 과거 인구가 가장 많았을 시기와 비교하면 인구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도시들도 다수인 상황이다. 그러나 인구가감소하는 상황에서도 도시적 토지이용과 도시외곽의 개발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탄광도시인 태백은 과거 석탄산업이 활발했던 시기보다 인구가 1/3 이하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개발양상을 보이고 있다. 태백은 공기업 설립을 통해서 시행했던 관광개발사업의 실패로 많은 부채를 떠안게 되었으며 화광아파트 재개발과 같이 도시재생사업과정에서 석탄도시 특유의 장소성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Except for the metropolitan area, most of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experiencing a population decline except for those adjacent to the metropolitan area or large cities, and many cities have seen their population decline by half compared to the past when they had the largest population. However,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population is decreasing, urban land use and urban development tend to continue to increase. Although the population of Taebaek, Korea’s representative coal mining city, has decreased by less than one-third from the past when the coal industry was active, it has suffered a lot of debt due to the failure of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implemen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ublic corporations.

      • KCI등재

        청주시 미래유산 선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근대 건축물을 중심으로-

        윤현위,김가은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3 한국교육논총 Vol.44 No.3

        청주시는 2023년부터 미래유산목록을 지정하기 시작하였다. 미래유산은 2001년 등록문화재의 도입 이후 종전의 문화재보전법의 보호를 받지 못했던 문화유산을 보전하고 미래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2013년 서울에서 가장 먼저 도입되었다. 청주시가 선정한 미래유산목록은 근대건축물이 다수를 차지하였는데 기존의 등록문화재가 점 단위의 지정과 관리에서 면 단위로 그 범위가 확대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건축물과 이와 연계된 문화유산의 가치가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미래유산의 지정과정이 제도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청주미래유산의 지속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해서는 시민들이 미래유산의 후보군을 제안할 수 있는 경로를 다각화할 필요성이 크며 지정된 미래유산에 대한 아카이브 작업을 진행하고 이를 청주의 지역 특성과 정체성을 강화하는데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의 정비와 기구의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쇠퇴지역의 재생과 관광화 사이에서

        윤현위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2 중원문화연구 Vol.30 No.-

        Suamgol, located in Sudong-dong, Sangdang-gu, Cheongju, was formed by refugees after June 25, and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until the 2000s, but was transformed into an area visited by many visitors when a mural village was created and introduced as a filming location for dramas in 2008. Although tourism has been experienced, such as an increase in convenience facilities due to an increase in visitors,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residents living in Suamgol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sidents along with projects to form communities for resident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uamgol,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entered on public-led low-rise apartments should be improved, and policies and projects should be set to be used as a memory space to discover historicity related to 6.25 and connect facilities owned by Cheongju.

      • KCI등재

        서천군 장항읍의 쇠퇴와 대응방안의 모색

        윤현위 한국도시지리학회 202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7 No.1

        일제강점기 미곡수탈항으로 형성된 서천군의 장항은 장항제련소 건설 이후 산업도시로 성장했으며 1980년대초반에는 인구가 3만 명까지 성장했으나 장항제련소의 가동 중단 이후에는 현재까지 계속 인구가 감소하는 등 뚜렷한 쇠퇴의 징후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1989년에 계획했던 군장산업단지의 장항단지를 2007년에 백지화했고 이후 서천군에 대안사업을 시행하였으나 큰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대안사업의 시행은 거버넌스에 의한 결과물이 아니라 정부 제안의 수용에 가까웠으며 장항의 중요한 시설인 장항항과 장항선은 본래의 기능을 상당부분 상실하였다. 중소도시의 쇠퇴속도를 조금이나마 줄이는 한편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도시 거버넌스의 구축, 도시가 보유하고있는 고유한 기능의 강화 그리고 도시의 장소자산에 대한 보전과 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Janghang, Seocheon-gun, which was formed as a port for the transportation of ric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rew into an industrial cit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Janghang Smelter, and its population grew to 30,000 in the early 1980s, but after the smelter was shut down, the population has continued to decline to this day, showing clear signs of decline. The government canceled the Janghang Industrial Complex in Gunjang, which was planned in 1989, in 2007 and has since implemented an alternative project in Seocheon County, but it has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the alternative project was more of an acceptance of the government’s proposal than a result of governance, and Janghang Port and Janghang Line, which are important facilities in Janghang, have lost much of their original functions. In order to slow down the declin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evitalize th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ong-term urban governance, strengthen the unique functions of the city, and preserve and utilize the city’s place as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