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의 개념과 수준

        윤헤경,이지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또래관계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개인의 역량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0명의 중학생들이 또래관계 역량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18명의 학생이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56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산출된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와 개인 역량 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79개의 또래관계 역량의 구체적인 진술문이 산출되었으며, 이를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또래관계 역량은 ‘정서적 특성’, ‘내적 강인성’, ‘집단 내 조화’, ‘사회성 기술’, ‘물질적 요인’, ‘신체적 요인’, ‘외적 강인성’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집단 내 조화’를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와 자신의 역량 수준의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해보면, 중학생들은 신체적인 조건, 물질적 요인 등의 외적인 범주들도 친구관계 역량의 요소로 보는 반면, 고등학생들은 관계형성과 촉진으로 구분되어지는 내적인 범주를 또래관계 역량의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념도를 통하여 중학생의 또래관계 역량을 7개 범주로 밝혀냄으로써,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학생들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또래관계 특성을 반영한 실제적인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by concept mapping an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For this, 18 students solicited, gathered and analyzed statements that 16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wrote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156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9 statements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were solici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were categorized as ‘emotional characteristic’, ‘enterprising’, ‘group harmony’, ‘social skill’, ‘material factor’, ‘physical factor’ and ‘external strong force’. Second, except for ‘group harmony’ in all categories, importance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compare with the precedent study about high school students, they consider external categories as a factor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but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ed internal categories divided into relationship formation and promotion as a factor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s this study explored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in 7 categories, it suggested tha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having trouble with peer relationship and measurement scale considered characteristic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