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체류 외국인을 활용한 노동인력 확보방안

        윤향희,김경제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3 比較法硏究 Vol.23 No.3

        대한민국은 현재 출산율 0.78이라는 초저출산 시대에 접어들었다.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현재의 경제수준을 유지하는 것조차 불가능하게 되었다. 정부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정책을 시행함과 함께 노동인력 확보를 위하여 적극적인 외국인 근로자 유입정책을 시행하여 왔다. 그러나 그동안 시행한 외국인 정책은 주로 외국인을 새로이 받아들이는 데 집중하였지 국내에 체류 중인 취업할 수 없는 외국인에게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취업할 수 없는 외국인의 수(137,185명)가 단순노무(E-9) 체류자 수(306,883명)의 거의 절반에 이른 현재에는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들에게 취업을 허용한다면 우리가 겪는 노동인력 부족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취업하기 위한 허가조건으로, 비전문취업(E-9) 체류자격 취득요건을 고려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3단계 이상의 한국어 능력, 신체가 건강함, 사회봉사활동 100 시간의 3가지 조건을 제안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의 특성에 맞는 외국인 정책을 보다 더 자율적으로 수립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제26조를 “「출입국관리법」 제8조 및 제10조에도 불구하고 인구감소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인구감소지역에 체류 중이거나 체류하려는 외국인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체류자격에 해당하는 사람에 대한 사증발급 요건 및 체류기간 연장 조건, 체류자격의 변경을 법무부장관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법무부장관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청에 따라야 한다.”로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1년간 시범적으로 28개 지방자치단체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던 지역특화형 비자(F-2-R) 사업은 인구감소지역으로 선정된 모든 지방자치단체로 확대하여야 하며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나아가서 인구제한 역시 폐지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유학생 수를 30만명으로 늘린다는 교육부의 유학생 정책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입국 심사할 때 이미 대학교에서 재정 여건이나 학업 의지가 확인되어 합격한 외국인 유학생에 대해서는 입국비자를 적극적으로 발급하여 줄 것을 제안한다. The Republic of Korea is currently in the era of extremely low birthrate with a fertility rate of 0.78. The working-age population has shrunk sharply, and it has become impossible to maintain the current level of the economy.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increase the birth rate and has also implemented an active policy of influx of foreign workers to secure the labor force. However, the foreign policy implemented so far has mainly focused on accepting new foreigners, not on foreigners who are not able to work while staying in Korea. However,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are unable to work (137,185) is almost half of the number of E-9 aliens (306,883),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m. If we allow them to work, we will be able to solve most of the labor shortage problems we are experiencing.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for obtaining a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status of residence, three conditions are propose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t least level 3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hysical health, and 100 hours of community service.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more autonomously establish and implement foreign policie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s, Article 26 of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Depopulated Areas states, “Notwithstanding Articles 8 and 10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having jurisdiction over a depopulated area may request the Minister of Justice to change the requirements for issuing visas, the conditions for extending the period of stay, and the status of residence for foreigners who are or intend to stay in depopulated areas and who fall under the status of residence prescrib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In such a case, the Minister of Justice shall comply with the request unless there is a special reason for doing so." I propose to revise it to.” The F-2-R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on a one-year pilot basis for only 28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xpanded to all local governments selected as depopulated areas and should continue until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is resolved. Furthermore, population restrictions should be abolished. In order to comply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s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of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300,000, I propose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actively issue entry visas to foreign students who have already been confirmed by universities as having financial conditions and willingness to study at the time of entry screening and have been accepted.

      • KCI등재

        충남지역 외국인 노동인력의 안정적 정착 지원에 관한 연구

        윤향희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충남 체류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이다. 충남은15개 시⋅군 중 9개 시⋅군이 인구감소지역이며 노동인력 부족현상 지역이다. 인구감소지역의 노동인력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인의 노동력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외국인 노동력 확보는 외국인의 정착과 연결된다. 충남은 외국인력 확보를 위윤향희82 해 계절근로제 유입과 비전문취업의 숙련기능인력으로 체류자격 변경 그리고 외국인유학생의 지역정착을 위해 지역특화형비자와 네거티브 방식의 전문인력 비자 유형으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충남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충남에서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계절제근로자의 입국 전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 비전문취업자의 숙련기능인력으로의 허용인원 확대, 유학생의 지역취업을 위한 기업체 인턴쉽 지원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남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지속적체류와 안정적인 정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supporting the stable settle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Chungcheongnam-do.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9 out of 15 cities and counties are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and are experiencing a labor shortage. Securing foreign labor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respond to the decrease in labor force in areas with declining populations, and securing foreign labor is linked to the settlement of foreigners. In order to secure foreign workers, South Chungcheong Province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its status of residence to skilled workers in non-professional employment, through the seasonal work system, and to regional-specific visas and negative professional visa types to help foreign students settle in the region. To help them settle down stabl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e propos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seasonal workers before their entry into the country, expansion of the number of non-professional workers allowed to become skilled workers, and support for corporate internships for local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is, we hope that foreigners staying in Chungcheongnam-do will have a continuous stay and stable settlement.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복지지원법의 개선방향

        윤향희,김경제 유럽헌법학회 2016 유럽헌법연구 Vol.20 No.-

        가족, 양육 그리고 청소년보호는 우리 헌법 제36조 제1항 그리고 헌법 제34조 제4항에 의하여 강하게 보호되는 우리 헌법상 중요한 가치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호는 헌법 제10조에 의하여 국가에게 강하게 의무 지워진다. 그리고 그 방법은 먼저 국가의 입법적 조치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현재의 청소년복지지원법은 특히 중도입국청소년의 보호에 충분하지 않다. 이 법률의 제목을 청소년복지지원법이라고 쓰고 또 이 법 제2조 제2호에 따라 청소년복지의 의미를 “청소년이 정상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을 조성하고 조화롭게 성장ㆍ발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회적ㆍ경제적 지원”이라고 정의하고 있음에도 중도입국청소년의 물질적ㆍ경제적 복지에 관련된 근거조항은 없다. 또 중도입국청소년을 가진 가족 구성원에 대한 심리 상담이나 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이 법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문화가족의 경우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기 때문에 이들에게 심리적인 상담은 가족의 화합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다문화가족이 경제적인 어려움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는 통계에 따를 때 중도입국청소년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다문화가족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 이주배경청소년의 한국 적응을 위하여 가족 구성원에게 주어지는 각종 상담과 교육프로그램에 한국인 아버지나 어머니 혹은 다른 한국인 가족이 참석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대한민국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직업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Family, care and feeding of children and youth protection are the important values which are strongly protected under the Clause 1 of Article 36 of the Constitution and the Clause 4 of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the nation is strongly obligated for the protection of them under the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nd the method starts from the legislative measure of the nation first. However, the present Youth Welfare Support Act is not sufficient to protect immigrant youth. Although the title of the act is written as Youth Welfare Support Act and the meaning of youth welfare, according to No. 2 of Article 2 of this law, is defined as the social, economical support, there is no provision related with the material support and economical welfare. Moreover, there is no concrete contents in this law o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education on the family members who have immigrant youths.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family members have a different culture between them,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them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harmony in a family. Also, given the statistics that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fall in economic difficulties, the economic support on the family with immigrant youth must be enhanced, because it might be difficult and impossible for korean father and the mother of immigrant youth or other korean family members to participate in various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given to the family members for the adaptation of the immigrant youth to korean society if multi-cultural families would face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finally the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immigrant youths so that they could live in Korea on their ow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내용; 이혼의 원인 분석을 기초로 하여

        윤향희,서은숙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9 No.1

        This article aim at suggesting direction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analyzing Causes of their divorce. In previous studies, the major cause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divorce were personality differences, economic incompetence, their husband's drinking and gambling, conflict with their husband's family, etc but according to consulting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is study, personality differences and conflict with their husband's family are major cause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divorce. However, Content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ing perform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has focused on their settlement in our society and seems to be impossible to solve the conflict with their husband's family. So,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Proactive approach to international marriage is necessary. Multi-cultural education being implemented before international marriages is carried out for international wedding parties as well as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cluding parents-in-law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individuality. It is necessary to mandate training for individual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erform a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dividuall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re-tailoring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family ethics needs to be done.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원인에 대한 기존 연구와 상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밝혀진 결혼이주여성의 주요 이혼원인은 성격차이, 경제적 무능력, 음주 및 도박,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 등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이혼상담 사례를 통해 밝혀진 주요 이혼 및 갈등원인은 성격차이와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이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에서 수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은 그 내용과 방향이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정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이들의 가족 내 갈등을 해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이혼 요인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제결혼에 대한 다문화교육의 선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에서 국제결혼 이전에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을 국제결혼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시부모 등을 포함한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대해 확대 실시하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개별성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족의 개별 구성원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하고 개별적 다문화가족에 대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사회․가족 윤리의 재정립을 통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인구감소에 따른 외국인의 지역 정착지원 방안

        윤향희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In this study, the labor shortage phenomenon appears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the domestic population. As a countermeasure, the purpose is to accept foreign workers and support measures for foreigners to settle in the regi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on the use of foreign worker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data review such as press relea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overnment’s efforts to secure foreign labor force. In order to solve the labor shortage due to population decline, the government’s efforts to secure labor force and matters for securing foreign workers were reviewed.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foreign workers due to the shortage of labor due to population decline. Therefore, the government presented a plan for the local settlement of foreign workers to secure labor force. Based on the cases for the temporary use of foreign workers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same type of visa issuance to foreign families residing in the region, continuous stay of sincere foreign workers, and family-accompanied entry are allow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way to secure the local labor force.

      • KCI등재

        국내체류 외국인의 통일교육 필요성 검토

        윤향희,전세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Review of the Need for Unification Education forForeigners Residing in KoreaHyanghee Yun & Sekyung Je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education so that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can b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le living in Korea. As a research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rticipants or graduates of the 5th st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the understanding of Korea and the fact that it is a divided country, the experience of fear of war during life in Korea, and whether foreigners living in Korea received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is was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encountered Korean culture through the Internet, YouTube, and dramas before entering Korea, and after entering Korea, they learned that it was a divided country. However, they felt no fear of war because they experienced a safe life in Korea. He also wanted to live in Korea with his family.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in which they participat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included, a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Key Words: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Integration Program, Unification Education,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국내체류 외국인의 통일교육 필요성 검토윤 향 희*ㆍ전 세 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체류 외국인이 생활에서 남한과 북한의 관계에 대한 사항을 인지 할 수 있도록 국내체류 외국인의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 한국사회 이해 과정의 참여자 또는 이수자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한 후 그들이 느끼는 남북 관계를 서술하였다. 연구 내용: 국내 체류외국인이 한국 입국 전 한국에 대한 이해와 분단국가라는 사실이해, 한국 생활 중 전쟁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경험,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에서 남한과 북한의 관계에 대한 교육을 받았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결론 및 제언: 국내체류 외국인은 한국 입국 전 인터넷과 유투브 그리고 드라마를 통해 한국문화를 접했으며 한국 입국 후 분단국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한국에서 안전한 삶을 경험했기 때문에 전쟁에 대한 두려움은 느끼지 않았으며 가족과 함께 생활하기를 원하였다. 국내체류 외국인이 남북관계를 인식하기 위해 한국사회 이해 과정에 수록되어 통일교육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국내체류외국인, 남한과 북한, 사회통합프로그램, 통일교육, 한국사회이해 □ 접수일: 2022년 12월 11일, 수정일: 2022년 12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8일* 주저자, 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First Author, Researcher, ChungNam Institute, Email: yunhyanghee@naver.com)** 교신저자, 공주교육대학교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ong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Email: jeonsk@gjue.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