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CBHRM)체제 개발 : 종합유선 케이블TV 기업을 대상으로

        윤필현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1

        본 연구는 현재 많은 기업에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고 있는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 체제를 구축 한 사례를 통해 실무적 차원에서 응용과 적용이 가능한 방법론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차후에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 체제를 구축하려는 기업이나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패널(resource panel)을 중심으로 한 역량모델의 도출사례를 제시하고,역량모델 도출 이후에 실시된 인적자원관리 체제의 구축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 및 활용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 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역량에 기반 한 인적자원관리 체제의 구축을 통해 조직의 전략적 방향과 조직구성원의 행동과의 연계성을 강화시켰다는 점이다. 둘째,역량에서 제시된 행동을 조직구성원들이 실천할 수 있는 과정으로 인사평가제도를 설계 하였다는 것이다. 셋째,인사평가제도와 학습간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역량의 평가결과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이 행동을 수정하고 이와 함께 전사적으로 학습의 필요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역량에 기반하여 조직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채용-육성-평가’의 일관성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 이후,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CBHRM)체제 도입의 효과성 및 타당성을 검중받기 위해서는 기존 인사제도와의 비교 분석·평가 작업이 후속 과제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경험적 사실에 의해 도입의 효과성과 타당성이 증명 될 때,그 유용성이 평가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 체제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은 추후에 실중적으로 검증되어야 할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This study aims to finally help companies or academic researches build up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petency by researching practical, applicable methods through the precedent cases wher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that recently attracts huge interests from many companies were already set up. To achieve this goal, the case a competency model was deduced based on resource panel was suggested, and then the build-up cas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llowed by the above step was presente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petency that can be researched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bring out the effects as follows. First, the connection between strategic direction of an organization and attitudes of organization members can be occurred. Second, it can help organization members put the suggested actions in practice. Third, it can actively drive organizational changes. The evaluation result of competency can lead to behavioral changes, and make people feel the need for learning, which can collectively encourage the organization to have a study-pursuing culture in the long term.

      • KCI등재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 여학생들의 성격 5요인 특성이 진로 장벽과 진로 포부에 미치는 영향: 학업 효능감의 조절 효과

        윤필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career aspirations &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with focus on the moderat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which is a major variable of academic moti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instability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level of all sub-factors of career barrier, i.e. self-abnegating barrier, occupation-denying barrier, individual informative barrier.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of extroversion, affinity and faithful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elf-abnegating barrier among the sub-factors in carrier barriers. Third, perception of open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ndividual informative barrier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Fourth, this study confirmed the affirmative influence of extroversion, affinity, and faithfulness on career aspirations. Fifth,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in faithfulness and career aspirations. This study,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lications meant by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theory & moderat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for lowering the perception level of career barriers and heightening the perception level of career aspira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 여학생들의 성격 5요인 특성과 진로 포부 및 진로 장벽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업 동기의 주요 변인인 학업 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불안정성은 진로 장벽의 모든 하위 요인, 즉 자아 부정적 장벽, 직업 부정적 장벽, 개인 정보적 장벽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향성 및 친화성, 그리고 성실성에 대한 인식은 진로 장벽의 하위 요인 중 자아 부정적 장벽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방성에 대한 인식은 진로 장벽의 하위 요인 중 개인 정보적 장벽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향성 및 친화성, 그리고 성실성이 진로 포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성실성과 진로 포부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에서 학업 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 여학생들의 진로 장벽에 대한 인식 수준을 낮추고, 진로 포부의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성격 5요인 특성 이론 및 학업 효능감의 조절 효과가 의미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팀장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자기 및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필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So far,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been focused on the unilinear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individual members, who are the leader's followers. However, as many diverse studies on introduction of team systems and producing results in a team unit have been recently performed, an idea that researche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eed to be conducted from a multi-level point of view about teams and individuals has been suggested. This indicates that level issues should be considered ev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m leader's leadership and individual members. By considering the multi-level impac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study verified the psychological effect recognized at the personal and team levels, that is the mediative effect of self and group-efficacy, in the relationship where a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d individual effectiveness.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team leader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the personal effectiveness of a team member.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mediative effect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ve effect of group-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 and indications about the impac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team system on the organization management. 기존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주로 리더와 추종자 간의 단선적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팀제의 도입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도 팀과 개인이라는 다수준 관점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팀장과 구성원 개인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분석수준을 고려해야 함을 뜻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의 다수준 영향력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개인 및 팀수준에서 인지되는 심리적 효과, 즉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준 맥락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효과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났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도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팀제 하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관리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SCOPUSKCI등재

        배열충돌제트에서 횡방향유동성분에 따른 열/물질전달 특성 고찰

        윤필현,이동호,조형희,Yoon, Pil-Hyun,Rhee, Dong-Ho,Cho, Hyung-Hee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4 No.2

        The local heat/mass transfer coefficients for arrays of impinging circular air jets on a plane surface are determined by means of the naphthalene sublimation method. Fluid from the spent jets is constrained to flow out of the system in one direction. Therefore, the spent fluid makes a crossflow in the confined spa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effects of jet-orifice-plate to impingement-surface spacing and jet Reynolds number. The spanwise- and overall-averaged heat/mass transfer coefficients are obtained by numerical integrating the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s. The local maximum heat/mass transfer coefficients move further in the downstream direction due to the increase of crossflow velocity. At the mid-way between adjacent jets, the heat/mass transfer coefficients have a small peak owing to the collision of the adjacent wall jets and are affected strongly by the crossflow. The effect of the crossflow occurs strongly at the small orifice-to-impingement surface distance.

      • KCI등재

        Wilson Plot을 이용한 만액식 증발기의 열전달계수 측정

        윤필현,강용태,정진희 대한설비공학회 2004 설비공학 논문집 Vol.16 No.8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enhanced tubes in a flooded evaporator are measured through Wilson Plot method. And the correlations are proposed to design a flooded evaporators.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s are composed o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both inside and outside tubes. Usually th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separately. But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like setting up the equipments and measuring the wall temperature. Wilson Plot method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he separated transfer coefficients at the same equipment through experimental skills. So the cost and time can be reduced. And the results are reliable enough to use for design.Heat transfer coefficients inside the tube were able to be correlated uniquely in spite of various outside conditions. Boiling heat transfer of R134a is more dependent on the saturation temperature and much higher than that of R123.

      • 팀 특성이 팀 프로세스를 통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고성과작업조직 추진 기업을 대상으로

        윤필현,한주희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고성과작업조직에 대한 연구는 핵심이 되는 주제에 따라 자원근거이론에 기초한 보편주의적 접근, 외적적합성에 초점을 둔 상황적합적 접근, 선진적 인사관리 관행에 초점을 둔 구성주의적 접근 등의 동향을 보이고 있으며, 고성과작업조직의 핵심 관행이 무엇인가에 따라 연구 방향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성과의 선행요인을 탐색함에 있어 대부분 팀이 아닌 개인 및 집단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팀의 관점에서 팀 프로세스를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해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조직에 있어 팀 중심의 작업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팀 특성과 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성과작업조직에서 팀 특성 요인인 자율성과 참여는 팀 프로세스 요인인 협력과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프로세 스 요인인 협력과 자긍심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팀 프로세스 요인 중 자긍심이 관리자평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만 유의하였으며, 협력은 관리자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팀 프로세스는 팀 성과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성과작업조직에서 팀은 작업집단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써, 팀제가 도입이 되었다고 해서 팀 프로세스가 자연발생적으로 구축되는 것이 아니며, 이는 팀의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대상이다. 둘째, 고성과작업조직 연구의 접근 유형별로 유의한 팀 프로세스와 그 구성요인을 실증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팀 프로세스의 완전매개 효과를 감안하면, 효과적인 고성과작업조직의 관행에 대한 연구와 함께, 조직행동론 관점에서 고성과작업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팀원들의 태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실증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만액식 증발기의 열전달 촉진관에서 저온 비등열전달의 이력현상 특성

        윤필현,박종익,정진희,강용태 대한설비공학회 2003 설비공학 논문집 Vol.15 No.4

        The boiling characteristics for R134a are studied to clarify the hysteresis at low temperature on enhanced tubes of a flooded evaporator. Initial boiling conditions, refrigerant temperature, and inlet temperature of the chilled water are considered as the key parameters of the experiments. Unlike previous studies of the boiling heat transfer with uniform heat flux and uniform wall temperature, the wall temperature was varied along the tub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ysteresis of the temperature overshoot (TOS) at the onset of nucleate boiling initially at the inlet section of the tube.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abnormal operation can be avoided during the low temperature boiling if the refrigeration system is started with LMTD larger than 3.4℃ at initial stage and larger than 1.0℃ at normal stage.

      • KCI등재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 인지부조화가 전문직 정체성에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필현,한주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 인지부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 그리고 역할과중을 들고, 이러한 요인들이 전문직 정체성을 구성하는하위 척도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전문대학 교수의 셀프리더십이 이들 관계에조절효과를 미치고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 인지부조화가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셀프리더십이 역할요인과 정체성 간 관계에서 조절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역할 인지부조화의 하위 요인 중 역할갈등은 전문직 정체성의 전문조직의 활용과 유의미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셀프리더십 변수는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셀프리더십을 통한 전문대학교수의 전문직 정체성 증진과 관련된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et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as the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a college professor’s role cognitive dissonance, and verified what influence such factors have on the sub scales form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whether a college professor’s self-leadership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se relations. [Methodology] As a research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ole cognitive dissonance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a professor at a colle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Finding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role conflict among the sub -factors in role cognitive dissona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a specialized organiz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In addition, in such a relation, the self-leadership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mplic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like this, this study was intending to present the implications related to a college professor’s professional identity enhancement through self-leadership, and the follow-up research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