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중등교육 환경과 한자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윤채근 ( Chae Keun Yo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9 No.-

        이 논문은 한국 중등교육 환경에 빚어지고 있는 폭력화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문화교육이 매우 절실히 요청되고 있음을 재확인하기 위해 씌어졌다. 미만한 학교 폭력과 높은 중등학생 자살률은 OECD 국가 가운데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그 원인은 다양하지만 교육적 동기 부여를 명문대 입학, 혹은 인서울에만 설계해 놓은 기존 교육정책이 그 핵심적 원인임에는 대부분 동의 하고 있다. 중등교육의 서열화, 경쟁 위주의 수업 설계, 수업 성취 기준의 단일화등의 저변에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선점하기 위한 무한 경쟁 시스템이 자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야만적인 선행 학습, 특정 교과 위주의 수업 편제가 남용되고 있다.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생의 목표를 다원화시켜 불필요한 과잉 경쟁을 줄이고 문화교육을 강화하여 중등교육 과정을 출세를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는 풍조를 근절해야 한다. 그러한 견지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교육은 필수적이다. 또한 문화예술 교육은 경제적 양극화를 해소하는 데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한자문화 교육의 가치는 그러한 문화예술 교육의 관점에서 새롭게 평가되어 강조되어야 마땅하다.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causes of violent currency has happened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environment and appeals the necessity of the cultural education in that curriculum. School violence and high grade of the suicide in secondary school are so serious that the similar case can not be found in another countries joined in OECD members. Though the causes could be more various, but most of people agreed with the fact that the main cause was the educational policy which had been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to prestigious university or so called "In-Seoul". There would be the infinite competition system for gaining first the highest social status in the core of the educational problems, as it were, the unfair hierarchy of secondary education system, the lessons planned only for competition, the monotonousness in the standards of educational achievement etc. In the results of these phenomenon, the savage preparing lesson and the course-work arrangement focused only on some major subjects were prevailed. For eradiating these cases, we should reduce the useless competition through diversifying the goals of life and finish the tendency that regarded the secondary education as the means for social success by reinforcing the cultural education. So, we need diverse culture & art education. Also we have to remember that the culture & art education could contribute to resolve the economic polarization. The value of th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culture should be appraised and emphasized newly in the sight of the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한문소설의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문화교육의 이론적 실천을 위하여-

        윤채근 ( Chae Keun Yo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2 No.-

        The importance of edutainment contents or educational contents as a sub-part of the culture contents has been emphasized. But if we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more precisely, we could perceive that the creators of edu-contents had focused their works on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As far as we regard the edu-contents industry only in the view point of economic profit, the high-publicity which every edu-contents should be equipped could be lost so easily. This is the product of the foolish concept disregarding the high cultural values of the education, especially the education of the traditional classics. The self identification as an asian and a Korean could be derived from the power of our own culture. So the government and another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ave to realize these facts and invest a lot of fund to develop the edu-contents.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classic culture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testify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edu-contents in the case of Sino-Korean culture education. Above all we understand that the field of storytelling could be most suitable part where the researchers of the Sino-Korean culture can create public edu-contents, so that we grope the relation between the storytelling industry and the Sino-Korean novels. We hope another valuable papers would be continued after this one relating with the recently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8 that emphasize the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허균 문학 의식의 기원

        윤채근(Chae-keu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이 논문은 마테오 리치와 이탁오를 거쳐 허균으로 이어지는 근대적 사유의 징후들을 기원의 사유가 붕괴되는 과정으로 포착했다. 마테오 리치는 선교 목적으로 기억술과 우정론을 빼들었는데 이는 명 지성계에 전혀 예기치 못했던 파란을 일으켰고 그 자신은 과학자로, 교육자로 성공하게 된다. 이 탁오는 리치의 우정론에 감동했고 이 서양인이 명 제국에 미칠 쇄신으로서의 가치를 날카롭게 깨달았다. 비록 이탁오가 곧바로 사망했고 더 이상 리치의 의중을 간파해 들어가진 못했지만 그러한 순진한 면을 제외하면 중국의 낡은 사상을 변화시킬 힘이 수평적 질서, 즉 우정의 미덕을 강조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임을 알아채고 있었다. 허균은 다양한 경로로 조기에 이탁오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며, 특히 1602년 종사관으로 만난 이탁오의 벗이자 제자인 구장유로부터 각별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그는 중세적 一理論으로 상징될 보편주의와 엄숙주의를 거부하고 조선사회를 비판적으로 해체하는데 그러한 외재적 무기를 사용했다. 이는 단순한 전파-수용의 문제가 아니며, 한 천재가 자기 당대의 한계를 외부와의 창조적 교감을 통해 돌파하려는 전형적인 모습을 구현하고 있다. This investigation focuses on the symptoms of modern thought appeared in texts made by unique scholar in 16th century, as it were, Matteo Ricci, Li-ji, Heo-Gyun. They show the clues that the thought of middle age in east Asian culture would be collapsed sooner or later. The memory method and friendship issue Ricci has given to the intellectual society of Ming empire had cast big surprise unexpected on the important peoples of that empire system and in the result of the case Ricci had a brilliant success to be a teacher and scientist. Li appreciated the importance of the issues that Ricci had present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so he had attended on Ricci’s unique style in thinking that could influence their old pattern correctly. Li has understood the right point the western religious culture could make in the historical life of Chinese people and he accepted western thought could change the old thought maintained in Ming empire that he had wanted vanish from his former career as an enlightenment thinker. Especially he has regarded the virtue of friendship as the primary element in humane society, for the virtue represented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required by revolutional reformer to refresh the old-fashioned conservative force in Ming dynasty. It could be possible that Heo might recognize of Li-ji in various channels through canal relationship or relative connections. He was, in 1602, as a minister’s secretary engaged in the reception of Ming ambassador Koh and had encountered with Khu who was Li’s youngster friend or pupil could influenced on him. Heo, in later time, could use the intellectual weapons acquainted at that experience to refuse the monotheism of medieval thinking and solemnity doctrines or deconstruct old system of Chosun society.

      • KCI등재

        투고논문 : 허균 전(傳)에 나타난 불온(不穩)한 인간상의 문제 -누아르적 세계의 등장과 타자의 서사-

        윤채근 ( Chae Keun Yoon ) 근역한문학회 200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8 No.-

        이 글은 기존의 허균 傳 연구를 반성적으로 재검토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수정하여 어떠한 창의적 재해석이 가능한지를 시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허균의 전 작품들에 등장하는 불온한 인간상들이 기왕의 전 주인공들과 어떤 지점에서 차별화되는지를 고찰하고 그것이 갖는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김수영의 불온문학론을 원용하여 허균 문학이 지닌 근대 지향적 혁신성을 강조하였다. 이 혁신성은 정치 담론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들며 오직 미학적 관점을 동반해야만 검출 가능하다. 따라서 허균 전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시간 속에서 발전하며 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주체가 아니라 세계의 주체화 전략을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비껴가는, 그래서 삶을 낭비하고 소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반주체를 구성하는 타자화된 주체들임을 반복하여 강조하였다. 이들의 존재는 17세기 음영화법의 세계에서 음에 해당하는데, 다시 말해 누아르적 존재들인 셈이다. 이들은 어둠 속에 비존재로 존재함으로써 스스로를 중세의 타자로 구성하였고 허균은 이들을 밝음의 양식인 傳 양식으로 소환함으로써 그 세계의 정체를 노출시켰다. 이로 인해 17세기는 다양한 異人들로 붐비는 타자들의 공간으로 변모하는 것인데, 바로 이 성격이 허균이 노렸던 혼란과 해방의 미학이었다고 생각한다. I, by this essay,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on the biographic proses written by Heo Gyun through reflecting established studies and modifying the focus of research. For these goals, I explained how the disquieting heros in Heo Gyun`s biographic prose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ones in another novelist`s works who was born before him. In this study I quoted the theory of disquieting literature issued by Kim, Soo Young who was modern poet and critic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emphasized the innovative characters toward modern society laid in Heo Gyun`s works. These innovative characters could be detected by accompanying with the aesthetic viewpoint not by only the political discourses. So I emphasized repeatedly that the characters appeared on his works are not the persons who can develop in the time and constitute their own life actively, on the contrary they are the altruic subjects who escaped from, intentionally or not intentionally, the subject-strategy of the power and so constitute anti-subject by wasting their life. These beings fall under the shadow in the 17th century`s shade and shadow system, as it were they are the beings in the noire. They made themselves the altrui of the medieval age by being as non-being in the dark side and Heo Gyun summoned them by the bright form "Geun(傳)" to exposure the true character of his world. For these reasons, in the 17th century, there are coming a new space which are crowded with diverse altruis or different persons. This was the thing that Heo Gyun pursued, the aesthetic of chaos and liberation.

      • KCI등재

        한자와 한글의 언어적 차이와 교육적 상보성에 관한 고찰 -고전 문어와 현행 구어의 의미론적 섭동(攝動)을 중심으로-

        윤채근 ( Yoon Chae-keu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 한문교육논집 Vol.50 No.-

        한자와 한자어는 한국어 어휘 생산의 주요한 근원으로서 그 중요성에 대한 근본적 이의는 제기된 적이 없었다. 다만 순수 한글 표현의 필요와 언어 화행에 있어 최근 벌어진 변화 등에 의거해 한자 및 한자어 사용을 축소하거나 아예 배제하자는 일부 주장이 제기되어 있다. 이런 주장에 일일이 대응할 필요는 없거니와 오히려 한국어의 뿌리에 불가항력적으로 습합되어 있는 한자 및 한자어의 위상을 재확인하면 그뿐일 것이다. 하지만 한자 및 한자어의 위상을 자꾸 어휘론 차원으로만 축소시켜 강조하는 것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 보인다. 본고는 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한국어 의미론 체계 속에 유구하게 스며든 한자 및 한자어의 영향력을 새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 시대 지식인들이 한자를 무조건 자국어로 인식하거나 사대적 복종심에 수동적으로 추수했다는 편견을 논박했으며 그 토대 위에서 한자와 한글이 서로 상보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기초적 수준에서 증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 언어가 문화적, 인지적으로 고등 차원에서 발현된 형태를 인문언어라 상정할 때, 인문언어로서 한국어가 가진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한자문화의 의미론적 협찬이 필수불가결함을 지적했다. Chino-Korean classical letters in Korea as the important origin of lexical production in Korean language had not been encounter with the fundamental negation for its significance. Just only the current issues has been proposed that the usage of Chinese letters have to be restrained or prohibited i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The proposal argued the using of perfect genuin Han Geul. So, we should reaffirm the importance of Chin-Korean letters tradition which had been conjoined in the root of Korean language. Nevertheless the current academic trends that have emphasized the position of Chino-Korean letters zooming in the dimension of lexicology has some limitation. This essay would recovered the deep influence of Chino-Korean letters tradition that had been conjoined through a lot of historic periods with the system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semantic dimension. By these arguments, we proposed two important results, the one is that the Korean scholars in the traditional periods had not recognized Chinese letters as their own language culture or followed Chinese language culture passively, and the other one is that Chino-Korean letters tradition could conjoined with Han Geul successfully.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시장경제와 콘텐츠화되는 아시아-한국 전통문학을 중심으로

        윤채근 ( Chae Keun Yoon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이 논문은 세계화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하에서 후발국가의 문화가 산업재로 이해되어 문화콘텐츠로 변신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아시아 문화가 콘텐츠로 변화하는 것이 결국은 글로벌 경제 속의 상품으로 표준화되는 것이라는 점, 결국 문화의 종 다양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인문학이 무분별하게 산업콘텐츠 시장에 투항하는 행위가 인문학 자체의 존립을 붕괴시킬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그러나 콘텐츠가 대세가 되고 있는 현실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이 인문학의 만성적인 동맥경화를 해소할 수 있는 능동적 대안은 될 수 없기에 인문학 고유의 문화적 존엄과 주체성을 보존하는 선에서 콘텐츠 시대를 통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특히 한국전통문학은 스토리텔링 산업과의 창조적인 결합을 통해 전통적인 인문 지식을 대중화하고 교양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예견하였다. 하지만 그것도 무차별적인 디지털만능주의를 인문학적 속도와 결 속에 녹여낼 수 있을 때 비로소 의미 있는 역사적 현상으로 승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port investigates critically on the process that the culture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are metamorphosed into industrial goods under the new liberalism economy system could be represented by globalization. The contentualization of the asian culture means its standardization as a good in the global economy and eventually could injure the diversity of the cultural species. And I considered that the indiscreet surrender of the human science to the industrial content market could collapse the reason of the existence itself. But the simple negation of the reality could not be the actual means of setting for the chronical arteriosclerosis of the human science. So, I investigated how to pass the era of content preserving the cultural dignity and subjectivity of the human science itself. Especially, the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could popularize and culturalize the traditional human informations through the creative combination with the storytelling industry. Nevertheless, when we could melt the pan-digitalism into the texture and velocity of the human science, we would elevate the phenomena to the best value-level our own cultural history could achieve.

      • KCI등재

        지공 루트를 통해 본 14세기 동아시아 문명권 -고려 불교문화를 중심으로-

        윤채근 ( Chae Keun Yo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지공은 14세기에 원나라에 들어와 大都(지금의 북경과 통주)에서 활동하던 인도 승려였다. 그는 스스로를 석가의 후손이며 달마 선사의 외손으로 내세웠고 이를 통해 당시 원 제국의 국교였던 金剛乘, 일명 라마교에 대항하려 했다. 당시 기득권을 쥐고 있던 제사와 라마 세력은 환관들과 결탁해 있었으며 宣政院과 같은 기관을 통해 정치에 간여하고 있었다. 이들은 지공에게 종교 지도자가 될 기회를 주지 않았고 따라서 그는 대도의 제삼 세력인 고려계 귀족들과 결합하게 되었다. 고려계의 후원으로 황실에 접근한 지공은 충숙왕 대에 개경에 입성하여 열렬한 환대를 받는다. 이후 지공은 고려인들에게 활불로 추앙받으며 종교적, 문화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리는 지공의 행적을 통하여 14세기 고려인들의 문화 지도를 대략 그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한문 교과가 망라할 수 있는 문화권이 서방으로 중앙아시아 문명권, 더 나아가 터키에까지 도달할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밝혀진다. 향후 한문 교과는 ‘민족’을 창조적으로 지양할 수 있는 동아시아 문화교육 교과로 확대 발전해나가 야만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데, 지공의 존재는 그러한 도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Jigong was an Indian buddhist monk who had visited Taido, the capital of Wen dynasty, in 14th century and engaged in missionary work. He had introduced himself as a Buddha`s descendent and a grandchild of Dharma`s daughter, by this high status he wanted to stand up to Ramaism or Vajrayana which had been the state religion of wen dynasty at that time. Then ramas including the prime monk of the empire who possessed their vested right conspired with eunuches, went further to interfered in politics by various institutions, for example, Sunjeonwon(宣 政院). These monks didn`t want to give Gigong the opportunity to be one of the religious leaders, accordingly he should be assembled with the Korean nobility in Taido was the third force in empire. Jigong who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imperial household by the support of Korean people had entered into Kaekyoung, the capital of Koryo, had taken warm reception from the Koryo King Chungsook. After that time Jigon was regarded as the living Buddha and had a tremendous impact on Koryo religion and culture. So we can describe Korean people`s cultural map in the 14th century and by this improve that Chinese Korean literature class could deals Middle Asian cultures or Turkey to the west. After this our department should be developed to be the education of East Asian culture sublating creatively modern "nation", at that point the existence of Jigong could suggest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way.

      • KCI등재

        투고논문 : 동아시아 문화의 타자성과 한문소설의 문화교육적 가치

        윤채근 ( Chae Keun Yo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5 No.-

        현대 교육학이 신화처럼 맹신하는 자아의 신화는 17세기 서구 근대 주체에 의해 성립되었다. 이에 따르자면 교육의 목표는 피교육자의 미숙한 자아를 강화하여 건강한 개인성을 성취하도록 하는데 모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개인 자아의 강화 그리고 이를 위한 인지 학습 능력 발달에만 치중한 서구 중심의 교육학 이론은 서구 문화의 주체 중심주의가 와해되면서 새롭게 수정되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이는 근대 서구의 산물인 자아지향적 주체를 타자지향적인 주체로 전변시켜야 할 사명을 우리에게 부과한다. 동아시아문화는 강력한 자아 대신 타자와 융화하는 탄력적인 주체를 선호해왔다. 이런 타자지향성은 근대화 경쟁에서 동아시아를 뒤처지도록 만든 핵심이었는데, 근대 주체를 해체해야 하는 현재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새롭게 조명하여 그 가능성을 발굴해야 할 소중한 전통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는 이를 동아시아 문화의 타자성으로 명명하면서 바로 이 타자성이야말로 동아시아 탈식민화가 섣부른 네이션 담론에 휘말리지 않으면서 동시에 인류 문화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는다. 이상의 이론적 구도 하에서 가장 주체지향적인 양식으로 발전해 온 소설 양식을 간략히 검토하고, 특히 한국의 전통소설 양식이 서구소설의 특징인 자아지향성을 초월한 탈자적 지점에서 형성되어 왔음을 제시했다. 이는 더 나아가 동아시아 문학의 이산적 속성이 자아에만 집착해 온 서구중심의 문화 체계를 분열시킬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런 견지에서 한문소설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통소설은 문화 교육을 위한 실험 양식으로서 새롭게 평가될 수 있다. The ego(self) mythology of today pedagogy had established in 17th century by the subject of the eastern modernity who has believed that idea as an unchangeable “Magna Carta”. After the era, the ultimate goal the eastern pedagogist has pursued was concentrated on strengthening the educate`s immature ego for attaining healthy individuality. But at the time when the eastern ego-centrism was collapsed, the traditional eastern pedagogy focusing only on the strengthening ego an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has to be revised. So we, Asian scholars, are charged with the mission for mutating the ego-centric subject to altrui-centric one. The East Asian culture has preferred the plastic subject reconciliable with other existences in this universe to the concrete one. Thought this traditional quality of East Asia culture was the main reason making them fall behind the eastern one in the modern times, especially at the time when the modern subject has to be deconstructed creatively, that characteristics was relieved as a significant tradition has to be researched and excavated newly. We, identifying these new phases as the altruism of the East asian culture, believe that the Asian traditional altruism will give a next chance or alternative to all humankind through the ex-colonialism without rolling in clumsy nationalism.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schemes, we would cast a look at the novel genre which has been developed as the most ego-centered work. And we would present the historical fact that Korean traditional novels have been formed from the trans-egoistic ground that transcends the ego-centrism of the modern eastern novels. This suggests that the diaspora appeared in the East asian literature could disrupt the cultural system of the east has focused only on the ego-centered lif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East asian traditional novels including various asian novels in Chinese letters could be estimated as a new model for 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