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진성,이창민,백종은,박대근,김태우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최근 도로하부에 생성된 동공으로 인한 도로함몰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동공의 주요 발생 요인으 로는 굴착복구 시 다짐불량, 노후 하수관 파손, 대형공사장 지하수처리 미비 등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시 에서는 도로함몰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를 이용 한 동공탐사를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하였다. GPR 시험에서는 전자기파가 유전율이 상이한 재료 경계부에서 반사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포장층 두께, 지하매설물의 위치 등을 탐지할 수 있다. GPR 안테 나는 주파수 대역, 채널 수, 설치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식을 가진다. 서울시의 경우 도로함몰로 발전할 확률이 높은 1.5m 내외의 얕은 심도의 동공을 탐지하기 위하여 250MHz 또는 500MHz 접촉식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다. 조사연장이 긴 차도에는 조사 효율성이 높은 16채널 안테나를 사용하고, 좁은 폭의 차도 및 보도에는 단채널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실시한 GPR 시험으로부터 획득 한 GPR 신호로부터 동공 및 지하매설물, 자갈 등을 구분하기 위한 정성적 패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 적으로 원형,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는 하수관에서 반사된 GPR 신호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반사강도가 크게 나타난다. 반면 동공 대부분은 비정형, 불연속 형태이므로 신호패턴이 찌그러진 비 대칭형 포물선으로 나타내고, 반사파의 강도가 약하거나 (+)신호와 (–)신호가 뒤바뀌는 경향으로 나타났 다. 또한 지하매설물은 1.0~1.5m 사이에 위치하므로 약 30cm 두께의 아스팔트 포장층에서 1.0m 이상 깊은 곳에서 신호가 나타난다. 반면 동공의 경우 포장층 직하부에 주로 존재하므로 포물선의 상부가 포장 층에 가까이 나타났다. 그러나 포장하부에 존재하는 건설폐기물, 자갈 등도 동공신호와 유사하게 나타나 므로 탐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GPR 신호 패턴이 필요하다.
윤진성,이창민,백종은 한국도로학회 201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0 No.6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3D multichannel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equipment, which is mainly used for road cavity detection. The optimal signal analysis method was also proposed for 3D GPR data. METHODS: Four types of 3D GPR equipment were used to detect road cavities in a pilot road section in Seoul. The obtained GPR signals were evaluated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using raw data.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filters were applied to time domain (B-scan) data to examine the optimal signal processing. RESULTS: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raw data showed that all the equipment produced reverse and strong signal reflections owing to the low dielectric permittivity of air in the cavity compared with neighbor materials. Also, the asymmetric parabolic curve was observed as well. The optimal signal processing method was determined to detect road cavities: zero-setting and background removal should be applied to all equipment. Bandpass filtering can be optionally applied to remove high-frequency noise or direct waves. CONCLUSIONS: Despite the different specifications of GPR equipment in terms of signal generation and bandwidth, the GPR signals were appropriate in terms of zero-setting, noise level, and depth of investigation. Therefore, all the multichannel GPR devices evaluated were found to be suitable to detect road cavities located at depths of 1.0 and 1.5 m after the application of proper filtering process.
윤진성,김관중,김계영,백두원,Yoon, Jin-Sung,Kim, Kwan-Jung,Kim, Gye-Young,Paik, Doo-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0 No.5
An active contour model called snake is powerful tool for object contour extraction. But, conventional snakes require exhaustive computing time, sometimes can´t extract complex shape contours due to the properties of energy function, and are also heavily dependent on the position and the shape of an initial snake. To solving these problems, we propose in this paper an improved snake called "shaking snake", based on a greedy algorithm. A shaking snake consist of two steps. According to their appropriateness, we in the first step move each points directly to locations where contours are likely to be located. In the second step, we then align some snake points with a tolerable bound in order to prevent local minima. These processes shake the proposed snake. I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show the process of shaking the proposed shake and comparable performance with a greedy snake. The proposed snake can extract complex shape contours very accurately and run fast, approximately by the factor of five times, than a greedy snake.
윤진성,Yun, Jin-Seong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7 國防과 技術 Vol.- No.220
이 자료는 미국의 감사원 격인 일반회계사무소(GAO)에서 미 상원의 군사업무 획득 및 기술소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검토보고한 자료를 인용하였으며 원 보고서의 내용에 충실하고자 보고주체를 원문대로 GAO로 하였다. GAO(General Accounting Office)는 미 입법부내의 독립기관으로 연방정부의 모든 사업에 대해 회계감사, 조사, 감찰 및 평가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 업무는 국회의 요청이나 GAO에 특별히 임무 수행, 혹은 기본입법소요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이들의 보고서는 국회의원이나 국회의 각종 위원회의 증거자료로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