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복막투석의 현황: 다기관 공동연구 결과보고

        윤지석,이주훈,박영서,임형은,백경훈,유기환,하일수,정해일,최용,Youn, Ji-Seok,Lee, Joo-Hoon,Park, Young-Seo,Yim, Hyung-Eun,Paik, Kyung-Hoon,Yoo, Kee-Hwan,Ha, Il-Soo,Cheong, Hae-Il,Choi, Yo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2

        목적 : 복막투석요법은 말기 신부전 환아에서 신이식 다음으로 추천되는 신대체 요법으로 현재 말기 신부전 환아들의 장기 생존율 향상으로 복막투석요법 환아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 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8년 5월 국내 4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전자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현재 3개월 이상 복막투석 중인 103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03명의 남녀비는 1.6:1로 남아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11.5{\pm}4.9$세(0-19세), 투석시작 전 말기 신부전의 원인 중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34%로 가장 많았다. 복막투석의 형태는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42.7%로 가장 많았고, 주간 전체 Kt/V는 $2.1{\pm}0.7$ (0.3-4.1),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이 36.8%, 저평균 투과성이 31.6%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체중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00{\pm}1.20$(-4.54-+2.50), 신장 표준편차점수(Z-score)는 $-1.55{\pm}1.65$(-9.42-+1.87)였고, 성장호르몬은 24.3%에서 투여 중이었다. 38.8%의 환아에서 이완기 혹은 수축기 혈압 95 백분위수 이상의 고혈압을 보였고, 64.0%의 환아가 항고혈압제 투여 중이었다. 평균 혈청 혈색소는 $10.5{\pm}1.4$ g/dL, 평균 혈청 칼슘은 $9.7{\pm}0.7$ mg/dL, 평균 혈청 인은 $5.4{\pm}1.4$ mg/dL, 평균 부갑상선 호르몬은 $324.2{\pm}342.8$ pg/mL였다. 결론 : 국내 복막투석요법 소아에서 원발성 사구체 질환이 소아 말기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복막투석 형태이며, 복막평형검사상 저 투과성과 저평균 투과성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아가 적절한 신장과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저신장 환아의 경우 성장 호르몬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여전히 많은 환아에서 빈혈과 고혈압이 관찰되었다. 혈청 칼슘과 인은 비교적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많은 환아가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보였다. Purpose : Peritoneal dialysis (PD) is the major form of dialysis in use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 on PD in Korea. Methods : In May 2008,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pediatric nephrologists via e-mail. Four centers replied and those data were reviewed. Results : A total of 10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ale to female ratio was 1.6:1. Mean age was $11.5{\pm}4.9$ years (0-19 years). Primary renal diseases diagnosed were as follows: primary glomerular disease (34%), chronic pyelonephritis-reflux nephropathy (14.6%), systemic disease (9.7%), renal hypoplasia/dysplasia (8.7%), heredofamilial disease (6.8%), vascular disease (3.9%), drug-induced nephropathy (1.0%), and unknown (12.6%). PD modalities were as follows: CAPD (42.7%), CCPD (27.2%), NIPD (11.7%), and Hybrid (18.4%). Weekly total Kt/V was $2.1{\pm}0.7$ (0.3-4.1). Results of peritoneal equilibrium test were as follows: low 36.8%, low average 31.6%, high average 19.7%, and high 11.8%. Z-score for weight was $-1.00{\pm}1.20$ (-4.54~+2.50). Z-score for height was $-1.55{\pm}1.65$ (-9.42~+1.87). Growth hormone was administered in 24.3% of patients. Anti-hypertensive drugs were administered in 64.0% of patients. Laboratory findings were as follows: hemoglobin $10.5{\pm}1.4$ g/dL, calcium $9.7{\pm}0.7$ mg/dL, phosphorus $5.4{\pm}1.4$ mg/dL, and parathyroid hormone $324.2{\pm}342.8$ pg/mL. Conclusion : Primary glomerular disease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ESRD. CAPD was the most prevalent PD modality. Low and low average peritoneal transport type were common. Growth disturbance were noted in many patients. Some patients had hypertension even with anti- hypertensive drugs. Calcium-phosphorus levels were maintained adequately, but many patients had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 KCI등재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

        송승민,윤지석,고정민,전종근,최진호,유한욱,Song, Seung-Min,Youn, Ji-Seok,Ko, Jung-Min,Cheon, Chong-Kun,Choi, Jin-Ho,Yoo, Han-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Graves병은 소아 및 청소년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1년 1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15년간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Graves병으로 진단 받고 2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113명(여자 88명, 남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진단 시 연령, 치료 기간, 혈액 검사, 임상 증상, 가족력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모든 환자들은 항갑상선제 투여로 치료를 시작하였고 7명(6.2%)에서 PTU, 106명(93.8%)에서 MZ을 투여하였다. 전체 환자 113명 중 75명(66.4%)은 첫 번째 관해가 되었으며, 이 중 23명(전체의 20.4%)은 약물 치료를 중단한지 평균 $25.5{\pm}33.7$개월 후 재발하였다. 재발한 23명 중 13명(전체의 11.5%)은 두 번째 관해가 되었으나 이 중 2명은 다시 재발하였다. 1명은 4년간의 약물 치료에도 정상 갑상선 기능이 되지 않아 방사선 요오드 요법을 시행하였다. 완전 관해군의 진단 시 연령이 질병 지속 상태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12.7세 vs. 11.7세, $P$=0.034). 즉, 연령이 높은 경우 관해율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진단 시 연령을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예후 인자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Graves병의 치료 방법 및 기간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Graves'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hyperthyroid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tural course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Graves' diseas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One-hundred thirteen (88 girls and 25 boys)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of all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Graves' disease.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recorded and analyzed: patient's sex, age at diagnosis, duration of disease, laboratory findings, symptoms and signs, and family history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Results : All patients were initially treated with antithyroid drugs, either methimazole (93.8%) or propylthiouracil (6.2%). Antithyroid drugs had been discontinued in 75 (66.4%) of 113 patients. Of these 75 patients, 23 (20.4%) relapsed after $25.5{\pm}33.7$ months. Thirteen (11.5%) of 23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first relapse, showed a second remission. However, 2 (1.8%) of 13 patients relapsed again. Euthyroid state could not be achieved by antithyroid drugs in 1 patient, and radioactive iodine therapy was performed. The older the patient at diagnosis,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remission ($P$=0.034). Conclusion : Age at diagnosis seems to be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Graves' disease, 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reatment plan determination.

      • 소아 천식 환자에서 발견된 거대한 점액전

        서창덕 ( Chang Deok Seo ),오석희 ( Seak Hee Oh ),윤지석 ( Ji Seok Youn ),송영화 ( Young Hwa Song ),권지원 ( Ji Won Kwon ),김병주 ( Byoung Ju Kim ),유진호 ( Jin Ho Yu ),홍수종 ( Soo Jong Ho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0 천식 및 알레르기 Vol.30 No.1

        A 7-year-old girl with asthma developed large mucus plug confirmed by bronchoscopic evaluation. Her respiratory failure and concomitant multiple atelectasis were improved after bronchoscopic removal of the mucus plug. Mucus plug is known to frequently occur in children with asthmatic attack, because of exudate accumulation in airway, different profile of mucus in asthmatic conditions and decreased activity of cilia. Despite the conventional concept that mucus plus is managed by chest physiotherapy, large mucus plug in asthma may cause severe respiratory failure with the development of atelectasis which should be removed by bronchoscopy. We report herein a case of large mucus plug that caused atelectasis in a child with asthmatic attack.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0;30:50-5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