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 기반 UAV 경로 계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윤준희(Junhee Yo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UAV 자율비행을 위해서는 정확한 경로 계획 및 비행 상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상업용 UAV 운용앱의 경로계획은 2차원 지도에 웨이포인트를 지정하고 그 높이를 입력하여 계획함으로써 정확한 3차원 경로계획 수립에 한계가 있다. 또한 UAV 카메라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주변 위험 인지방식은 카메라 화각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반의 UAV 경로 계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다룬다. 첫째, 실험지역의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축한다. 데이터 구축에는 지형데이터, 건물의 3차원 객체모델, 그리고 건물의 영상이 활용된다. 두 번째로, UAV 비행 데이터 연계모듈을 설계한다. 상업용 UAV의 비행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연계모듈의 구조를 선택하고 주요 클래스를 설계한다. 세 번째로, 가상현실 기반 UAV경로계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응용아키텍처를 설계한다. 아키텍처는 6개의 Level 1 기능과 12개의 Level 2 기능으로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의 구현 결과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프로토타입 으로써 다양한 활용목적에 맞는 분석기능 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or UAV autonomous flight, we need accurate path planning and flight status monitoring. However, since the commercial UAV application plans the paths by choosing the way-points in a 2D map and inputting the corresponding altitude, it lacks accurate 3D path planning. Moreover, the current system has a limitation regarding the camera field of view, especially when applying the existing risk awareness method that depends only on the UAV camera.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Virtual Reality-based UAV path planning and monitoring system. First, we reconstruct the virtual reality data with a digital elevation model, 3D object model for buildings, and imagery. Second, the UAV flight data linking modules are designed. Here, we select the structure for the linking module and design the main classes for transmitting real-time flight status data for commercial UAVs. Third, the application architecture for Virtual Reality-based UAV path planning and monitoring system is designed with 6 Level 1 and 12 Level 2 functions. Finally, we present the system implementation results. The implemented system in this paper is a prototype, and hence a further study with added analysis function for various objects is need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응용아키텍처 재설계

        윤준희(Junhee Youn),김태훈(Tae-Hoon Kim),김두식(Dusi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한반도는 더 이상 화산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이 아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정부는 2014년부터 화산재해에 의한 피해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공간정보 기반의 시스템 구축기술을 개발하여 왔다. 이 기술의 결과물인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은 1단계로 2016년도에 구축이 완료되었다. 이후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한 고도화를 위해 2단계 구축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아키텍처를 재설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응용아키텍처의 재설계를 다루었다. 첫째, 1단계에 구축되었던 시스템의 기존 응용아키텍처를 분석하였다. 둘째,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사용자 요구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시나리오 지향에서 업무지향형으로의 변화, 정확도 제고를 위한 기능의 추가, 그리고 공간 및 재해대상의 확대기능 추가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셋째, 기존 시스템 아키텍처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여 응용아키텍처를 재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응용아키텍처의 재설계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구조에 기반을 두어 책임자 관점의 응용시스템 구조도와 응용기능 기술서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계자 관점의 응용모듈 설계서와 응용모듈 상세기술서 도출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구성방안이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is no longer safe from volcanic disaster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developing a spatial information-based system implementation technology since 2014. VDRS (Volcanic Disaster Response System), which is the result of the technology, was implemented in 2016 as Phase I. Since then, phase II implement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for an advanced system reflecting the user"s requirements. To advance the system, redesign architecture is essential. This paper examined the redesign application architecture for an advanced VDRS. First, existing application architecture, which was implemented in phase I, was analyzed. Second, the user"s requirements for advanced VDRS were analyzed. The analyzed user"s requirements were categorized as a transforming service oriented to a business-oriented architecture, improving accuracy, and expanding the spatial range and target disaster. Third, application architecture was redesigned based on gap analysis between the existing architecture and user"s requirements. The results of the proposed redesign architecture are presented as the application system structure and description of the application function based on owner"s point of view in the enterprise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to derive the application module design and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based on the designer"s point of view. Further research focused on structuring the HW/SW architecture will be required for system implementation.

      • KCI등재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개발 방안 수립

        윤준희(Junhee Youn),김창윤(Changyoon Kim),문현석(Hyonseok M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IT 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활용에 다양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국가 공간정보는 관리 주체가 분산됨에 따라 최신의 갱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GIS 분석기능을 기관 별로 독자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간정보 시스템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는 기술개발의 방향 제안에 머물러 있고 구체적 개발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개발 방안을 수립한다. 첫 번째로 정책 및 기술적 환경과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한다. 두 번째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요소 및 핵심 기술요소를 평가 요소에 대한 전문가 분석으로 도출한다. 그 결과 총열 세 개의 핵심 기술요소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핵심 기술요소를 구성하는 총 서른 한 개의 연구활동이 정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핵심 기술요소 및 연구활동은 추후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oud computing is an IT resource providing technology to various users by using virtualization technology. Newly updated spatial information may not be used by other organizations since management authorities are dispersed for Korean public spatial information. Further, the national budget is wasted since each organization independently implements renewable GIS analysis function.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applying cloud service. However, research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cloud service to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in the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 and no detailed development plan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establishment of a technology development plan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cloud service. First, we deduct the implication to derive the technology development goals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technical environment. Second, technology and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re deriv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pecialist"s analysis based on the evaluation elements. As a result, thirteen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re derived. Finally, thirty-one research activities, which comprise the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re defined.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nd research activities derived in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generation of a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 KCI등재

        UAV 기반 건설현장 모니터링 및 분석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윤준희(Junhee Yo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UAV의 기술발전과 함께 건설현장의 분석과 모니터링에 UAV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UAV 영상 분석 산출물은 포인트클라우드와 정사영상이며 건설현장의 토공량 계산에 활용되고 있다. 포인트클라우드와 정상 영상의 제작 기능은 많은 상용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고 있으나, 다른 건설공정에 UAV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영상 및 포인트클라우드 제작 기능 외에, 공사 진척 가시화, DEM(Digital Elevation Model) 제작 등의 분석 모듈이 통합된 UAV(Unmanned Aerial Vehicle)기반 건설현장 모니터링 및 분석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다룬다. 첫째, 전체적인 시스템의 개념을 제안한다. 둘째, 총 다섯 개 모니터링 및 분석모듈의 응용아키텍처 및 시스템 구조를 설계한다. 다섯 개의 분석 모듈은 프로젝트 관리모듈, 공사진척 가시화모듈, 토공량 산출모듈, 비행계획 모듈, 그리고 DEM 제작모듈이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의 구현과 현장적용 결과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프로토타입으로써, 추후 다양한 활용목적에 맞는 분석기능 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continued technical development of UAVs, the UAV application in construction site analysis and monitoring is also increasing. Some of the representative UAV image analysis products are point cloud and orthophoto. Usually, these products are applied to earthwork calculation in construction sites. Moreover, the point cloud and orthophoto generation functions are provided by many commercial softwares. However, if we apply UAV to construction processes other than earth work calculation, the above functions are not sufficient and we need additional software. This situation is the case in this paper, which deals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AV based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This system integrates orthophoto and point cloud generation functions with the construction process visualizatio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ion functions, etc. First, we propose the system concept related to the idea. Second, the application architecture and system structure of five analysis modules are designed. The five analysis modules include project management, construction process visualization, flight planning, and DEM generation modules. Finally, we present the system implementation results. The implemented system in this paper is a prototype, and research related to adding more analysis modules is essential as a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