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대학 부설 기관 한국어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윤주리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on the demand for teacher retraining of incumbent teachers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find ways to develop systematic retraining programs.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needs related to retraining for teachers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for the institution's own retraining program was high. In addition, they hoped for a teacher-centered re-education program tha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eachers, and preferred a re-education program that mixed online and offline in the form of special lectures, research meetings, and workshops. As for the content of re-education, the demand for the us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the highest. Based on this, it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consumer-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reflect lecture periods and lecture hours based on teachers' career, develop various educational types of re-education programs that fit the trend, and evaluate re-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 재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관련 요구를 파악한 결과, 소속 기관 자체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원의 요구에 따라 진행되는 교원 중심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희망하였으며, 특강이나 연구 모임, 워크숍의 형태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혼합한 방식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재교육 내용으로는 교육자료 활용 및 개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원의 경력 기준으로 강의 기간 및 강의 시수 반영, 시대 흐름에 맞는 다양한 교육 형태의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윤주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for at-risk Korean soldiers on the levels of adjustment and stress.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division of the Korean Army with 7 participants who were classified as “at-risk soldiers” based on the results of a psychiatric evaluation, MMPI-II and a personal interview with a counselor. The participants received 12 hours of group music therapy for three weeks and their scores on stress and adjustment inventori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pre and post scores were analyzed with the Wilcoxon test for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verall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djustment levels at p < .05. The research findings and personal remarks from the participants suggest that group music therapy may provide effective support for at-risk Korean soldiers in coping with stres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본 연구는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심리치료를 시행하여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OO 사단에 소속된 병사들 중 국군병원 정신과 진료 및 군 전문상담관의 개별상담을 통해 관심병사로 분류된 7명을 대상으로 총 12시간에 걸쳐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계발 및 사용되었던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와 군 생활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결과는 비모수에 의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중재 후 대상자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 전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 < .05). 이를 하위 요인별로 보면 역할스트레스와 외부스트레스는 유의미한차이가 있었고, 관계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군 생활 적응척도의 전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5). 하지만 하위요인에서 심신의 상태와 직책과 직무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임무수행의 의지와 군 환경에 대한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정서적 지지 차원의 집단음악치료 활동이 군 부적응 관심병사의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시사한다.
윤주리,송정근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This study examines what learning information is needed for synonym discrimination in temporal adverb education for foreign Korean learners, and based on this, it is used to discriminate synonyms of ‘hyencay’, ‘cikum’ , ‘icey’ and ‘kapcaki', 'mwuntuk'. It was intended to present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In order to discriminate synonyms of temporal adverbs in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meaning of synonyms, differences in syntactic usage restrictions, and collocation information from other language elements. The educational materials available may vary. For example, in the case of ‘kumpang’ and ‘pangkum’, it is possible to use restrictions of syntactic usage or collocation relation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word, and in the discrimination of ‘hyencay’, ‘cikum’ and ‘icey’, rather than word meaning or collocation relation information, The difference in usability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difference in meaning in sentences can be utilized. The difference between ‘kapcaki' and 'mwuntuk'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difference in usage depending on the sentence ending pattern or col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naturally combined with other language elements. This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for education as basic data for discriminating synonyms of adverbs of time and time. In other 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review, we classify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lass of time adverb synonyms, and present a plan for teaching time adverb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간 부사 교육에서 시점 시간 부사 유의어 변별에 필요한 학습 정보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중· 고급 학습자들에게 유의어 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점 시간 부사 중 오류 빈도가 높은 ‘지금’, ‘현재’, ‘이제’와 ‘금방’, ‘방금’ 그리고 ‘갑자기’, ‘문득’의 변별에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 유의어의 의미, 통사적 쓰임의 제약, 다른 언어 요소와의 공기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결과 시점 부사어들의 유의어 변별을 위해, ‘방금’과 ‘금방’의 경우에는 단어의 의미보다는 통사적 쓰임의 제약이나 공기 관계를 활용할 수 있고, ‘지금’류 유의어 변별에서는 단어 뜻풀이나 공기 관계 정보보다는 구어와 문어에서의 사용 가능성 차이, 문장에서의 의미 차이를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갑자기’류 유의어들 간의 차이는 문장 종결 양상에 따른 쓰임의 차이나 다른 언어 요소와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는 공기 정보를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편광 카메라와 전처리 방법을 이용한 너트 불량 검사 알고리즘 개발
윤주리,이사랑,홍석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9
유압 커플러 너트의 표면 결함은 제품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너트 불량을 사전에 감지하여야 한다. 기존 불량 검사는 사람이 직접 검사하거나 머신 비전을 사용하지만, 작업자의 피로도와 촬영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신 비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촬영 환경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전처리와 딥러닝을 통해 불량 판별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촬영 환경의 빛 반사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편광 카메라를 사용하였으며, 편광 카메라 필터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지의 노이즈 제거 및 너트 불량 발생 영역만을 표현하는 전처리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이에 따른 불량 판별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이에 일반 산업용 카메라를 사용했을 때보다 편광 카메라를 적용했을 때 정확도가 8.4%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전처리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불량 판별 정확도가 14% 향상되었다. 또한 편광 카메라 필터에 따라 최대 7.9%까지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최적의 촬영 환경 및 전처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너트뿐만 아니라 빛 반사 및 이미지 노이즈로 인해 정확도가 저하되었던 부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fects in nuts can negatively impact product operation, making defect detection critical. Existing defect inspection methods use human inspection or machine vision, but the inspection accuracy is inconsistent depending on operator fatigue, and the accuracy decreases depending on the shoot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reduce noise in the shooting environment and improve accuracy through preprocessing and deep learning. A polarizing camera was used to remove light reflections in the shooting environment, and the accuracy of different polarizing camera filters was compared. This paper also proposes a process for denoising images and preprocessing images of interest and compares the accuracy of defect identification. The results revealed 8.4% improvement in accuracy when using a polarized camera over an industrial camera, and a 14% improvement in defect detection accuracy by applying preprocessing. The accuracy improved by up to 7.9% depending on the polarizing camera filter, and the optimal shooting environment and preprocessing process were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nuts and parts, the accuracy of which has been reduced by noise.
음악치료 전공생이 수퍼비전에서 경험하는 성장에 대한 연구
윤주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Korean music therapy students experience growth under clinical supervision. The investigator conducted in-depth qualitative interviews with 9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who had at least three semesters of clinical supervision. Data was analyzed using a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nstruct the growth experience of music therapy supervisees. Results suggest that growth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domains and includes four types of experiences: growth hindering, fostering, mediating, and revealing. In the personal domain, hindering factors are defensiveness, narcissistic trauma, avoidance and anxiety whereas growth fostering and mediating factors include reflection on self, musical self, unconscious drives and conflicting issues as well as self-driven problem solving skills. As a result, growth in the personal domai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lf-acceptance and self-awareness. Growth in the professional domain is hindered by having trust issues, performance anxiety, identity crisis, and being hypersensitive to the judgment of others. On the other hand, growth is fostered and mediated by opening the self and interacting more with others, building trusting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supervisors, and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with music, which leads to improved attitude, increased motivation, and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본 연구는 음악치료 전공생들이 수퍼비전에서 경험하는 성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3개 대학의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 중 수퍼비전을 3학기 이상 이수한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변형된(modified) 근거이론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수퍼비전 경험에서 음악치료 전공생은 개인으로서의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성장의 요소로써, 자기방어, 자기애적 상처, 자기회피 및 불안 등은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삶, 음악적 자아, 자신의 욕구와 개인 내적 문제를 탐색하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성장의 지지/매개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자신을 수용하고, 자기 인식의 변화가 나타남을 통해 수퍼바이지는 개인으로서 성장을 하였다. 전문성의 성장 요소로써, 타인의식, 신뢰의 어려움, 수행불안 및 정체성의 혼란은 전문적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수퍼바이저 및 동료에 대한 신뢰와 동맹을 형성하며 관계 및 태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는 동기강화로 이어지며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자세로 발전하고자 노력하고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났다. 그 결과로 수퍼바이지는 음악치료의 전문성을 형성, 음악의 치료적 힘을 인식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며 전문가로 성장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주리,이사랑,홍석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9
자동차 분야에 사용되는 체결용 너트는 표면 결함으로 인해 부품 간의 결합 또는 밀착력을 저하시켜 주요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때 너트 표면 결함의 크기에 따라 제품 기능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르다. 이에 결함이 형성된 원인을 분석하고 보완하기 위해서는 불량을 크기에 따라 분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양품과 불량만을 구분하여 크기에 따른 불량을 크기별로 분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량을 크기별 판별하기 위한 이미지 전처리 방법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너트의 불량 크기를 2단계로 구분하였으며, 불량을 명확히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 전처리 시 모폴로지 연산을 적용하였다. 또한 클래스별 데이터 개수의 비율을 고려하여 딥러닝 모델 학습 시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된 모델의 불량 판별 정확도를 비교하였을 때, 모폴로지 연산을 통해 91.3%의 정확도를 확보했다. 또한 데이터 셋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한 결과 기존 대비 정확도를 1.4% 향상시켰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개선된 알고리즘은 너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의 불량 크기를 구분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urface defects on fastening nuts used in automotive applications can impair the bonding or adhesion between parts, compromising key functions. The impact on the product function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ut surface de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defects according to their size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efect formation and make improvements. On the other hand, existing studies cannot classify defects according to size because they only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bad products. This paper proposes an image preprocessing method and deep learning algorithm to classify defects by size. Morphology operations were applied to image preprocessing to detect defects,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data in each class was considered when training the deep learning model. A comparison of the defect detection accuracy of the trained models showed that the morphology operation secured 91.3% accuracy. In addition, the weighting of the dataset improved the accuracy by 1.4%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The improved algorithm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nuts to differentiate the size of defects in various products.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자원 형성
윤주리,정현주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9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ner resources of at-risk adolescents evolved through resource-oriented song psychotherapy (RoSPT). For this study, an RoSP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Eight weekly group sessions of the RoSPT program were conducted with 25 adolescents who were under probation of prosecution.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10 of the adolescents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terviews about the experience of RoSPT. Transcription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vi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identified nine types of inner resources that were utilized by the participants: hope/desires, challenge, endurance, sense of achievement, sense of competence, pride, discovering true self, courage, and internal locus of evaluation. The study supports that RoSPT can be applied to enhance inner strength of at-risk adolescents who often lack contextual and relational support. Further studies on qualitative exploration of resource formation can be helpful. 본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위기청소년이 경험하는 심리적 자원을 알아보고자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구성하여, 조건부 기소유예 및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 25명을 대상으로 총 8회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종결 후 1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원 형성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에서 참여자가 경험한 심리적 자원은 총 128개의 개념으로 나타났고, 9개의 심리적 자원 유형이 도출되었다. 9개의 심리적 자원은 ‘소망/원함’, ‘도전’, ‘인내’, ‘성취감’, ‘유능감’, ‘자부심’, ‘참자기와의 만남’, ‘용기’, ‘내적평가소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 과정을 통해 위기청소년이 경험한 다양한 심리적 자원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해 경험하는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 과정 및 치료적 역동을 심도 있게 탐색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