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우환 미술관’의 장소특정성과 공간디자인 연구

        윤의향(Yoon, Eui-hy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본의 베네세 그룹 회장 후쿠다케 소이치로의 새로운 공공문화 예술 공간 건립에 대한 실행의지로 발현된 나오시마(直島)지역의 프로젝트 중 이우환 미술관 공간의 장소특정성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나오시마 프로젝트는 지중미술관, 베네세 미술관 그리고 이에(家) 프로젝트와 이우환 미술관 등 여러 대상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강조되는 연구 주제는 안도 다다오(安藤忠雄) 건축의 특성과 자연과 예술이 융합되는 전시 공간과 작품 설치와의 관계이다. 세부적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현대미술계에서 새삼 주목을 끄는 미술의 장소특정성의 의의와 안도 다다오 건축의 장소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논의 한다. 앞의 논지를 이어받아 지역의 자연, 건축, 예술의 각 요소들이 소통하는 이우환 미술관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우환 미술관의 안과 밖에 설치된 <관계항>등 작품사례들의 확인을 통하여 장소특정성에 관한 논의의 방향을 입증한다. 아울러 이우환 미술관이 지역의 자연, 건축, 예술의 각 요소들이 소통하는 장소특정성의 문화공간으로서 특수한 예술적 경험을 활성화하는 위치로서 작용한다는 사실(査實)과 학술적으로는 장소특정적 미술과 관련된 논담(論談)에 공헌하는 새로운 시대의 향방을 가리키는 긍정적 전례(前例)임을 거론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ite-specificity of Lee Ufan Museum space, one of the projects made in Naoshima (直島) region realized through the practice will of Hukudake Soichiro, chairman, Benesse Group of Japan on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public culture art space. The Naoshima Project is combined with a variety of targets including Chichu Art Museum, Benesse Art Site, Art House (家) Project, Lee Ufan Museum and etc. This study is focusing especially on the subjects: Ando Tadao’s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rtwork installation and the exhibition space that infuses the nature and arts. For more details, I comprehensively analyze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ite-specificity that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art field newly again these days and the placeness of Ando Tadao’s architecture. Thus, the analysis goes further o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of Lee Ufan Museum where the nature and architecture of this local area are communicated with every element of arts, so that this study proves the direction for discussion on site-specificity by examining artwork cases install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Lee Ufan Museum such as Relatum.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 that Lee Ufan Museum is a cultural space with site-specificity where elements of the region’s nature, architecture and art communicate and also serves as a position to activate special artistic experience and to mention in academic perspective that Lee Ufan Museum is a positive precedent that points out the direction of new era that distributes to discourses on site-specific art.

      • KCI등재

        나오시마(直島)프로젝트 중 베네세 하우스 공간에 나타난 장소특정성에 관한 연구

        윤의향(Yoon Eui Hy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논문은 일본 나오시마(直島)라는 특정 지역에서 베네세 하우스(Benesse House) 공간이 현대미술과 결합되면서 파생된 장소와 미술 간의 상호 영향과 장소특정적 요소들을 살펴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베네세 하우스내의 현대미술 설치 프로젝트가 파생시킨 여러 변화들 중 기존 지역 공간들이 과연 어떻게 현대 예술의 특정 장소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이어 그 인과 관계로 인해 현대 미술계에서 새삼 주목을 끈 자연과 건축의 조화 및 공간과 작품 설치의 상생 효과 그리고 미술의 장소특정적 속성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것을 근거로 본고에서는 첫째로 나오시마 프로젝트를 통해 장소특정성의 작품들의 설치로 문화예술지역으로 탈바꿈된 지역이 예술과 상생적 성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둘째는 앞의 논지를 이어 받아 호텔과 미술관이 결합된 공간인 베네세 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 차이궈창, 히로시 스키모토, 야스다 칸 등 구체적 작품 사례들을 확인을 통해 베네세 하우스의 안과 밖에 설치된 현대미술 작품의 장소특정성에 관하여 논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입증해 보인다. 셋째는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특정 지역의 자연, 건축, 예술의 각 요소들이 소통, 교류하면서, 동시대 예술의 향방을 가리키고 있음을 그리고 학술적으로는 나오시마 프로젝트가 장소특정적 미술과 관련된 담론에 기여하는 긍정적 사례임을 거론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mutual influences between a location and art as well as site-specific elements resulting from the convergence of the space of Benesse House and Oval Building with modern art in Naosima, Japan. Among diverse changes ensuing from the modern art installation project within Benesse House, the argument is mainly focused on analyzing how a local space has turned into a specific site for modern art; and harmony of nature and architecture, synergic effects between space and artwork installation, and site-specific attributes of art, which are now intriguing the world of modern art due to their causal effects. Based on that, the study firstly verifies that the region, which has changed into a site for culture and art thanks to the installation of site-specific artworks through the Naosima Project, is showing synergic growth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art. Secondly, the study analyzes the space of Benesse House that is converging a hotel and a museum, and Oval; observes such specific cases as Yasuda Kan, Chaikochang and Hirosi Skimoto; and presents a direction of arguments on site specificity of contemporary artists’ works installed both inside and outside a building. And lastly, by examining details of the Naosima Project, the study maintains that each and every element of nature, architecture and art in a specific location communicates and interacts, while pointing out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 and that in an academic perspective, the Naosima Project is a positive case contributing to the discourse regarding site-specific art.

      • KCI등재

        김수자 작품에 나타난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윤의향(Yoon Eui hy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김수자(金守子) 작품에 대한 문화정체성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특히 강조 되는 것은 그녀의 작품들이 시대적으로 다원화되는 상황 속에서 세계화되는 미술계의 변화와 함께 주요한 비평 담론들과 어떻게 접목되고 관련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부적 연구로는 김수자에 대한 소개와 작품의 양식적 변천이 문화정체성으로 연결되는 작업의 특징에 대하여 해석을 하고, 독자적 경험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나타나는 문화정체성을 살펴 볼 것이다. 특히 김수자의 작품 설치 퍼포먼스의 대표작 <보따리>, <보따리 트럭>등의 작업과 마지막 <바늘여인>작업을 유목주의와 문화정체성의 맥락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김수자 작품들의 특징을 정리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문화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한국 미술계의 상황과 국제 전시들 경향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전반적 맥락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ltural identity of international artist Sooja Kim's works. This study, in particular, tries to grasp how Kim's artworks are implanted and related to the major criticism arguments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art field that is getting globalized with her works diversified age by age.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ntroduces the artist; interprets her work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transition of her work styles has a link to cultural identity; and looks into the cultural identity that appears through her unique personal experiences. Especially, I try to analyze her representative installed work performances such as her last work, Needle Woman as well as Bottari and Bottari Truck in the context of nomadism and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se studies, I will list up the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and identify the cultural identity implied in her works. Also, I analyze her artworks to facilitate understandings about the values of major as well as overall context that encompasses the Korean art community's current status and international exhibition trends.

      • KCI등재

        김수자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에 관한 연구

        윤의향(Yoon Eui Hyang)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국제무대에서 힘차게 활약하고 있는 한국출신의 여성작가 김수자(金守子)의 작품에서 중심이 되는 주제인 여성성에 관하여 다룬 연구이다.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세계의 여성작가들이 삶을 다른 영역의 예술로 되살리는 다양한 활동배경의 양상 속에서, 여성성을 강조하여 작품들을 독자적으로 표현해 내었기 때문이다. 세부적 연구로는 먼저 김수자 작품의 표현적 변화가 여성성으로 연결되는 작업의 특색에 대하여 해석을 하고, 개인적인 독자적 경험을 함유한 작품들이 여성성과 어떻게 접목되어 표현 되는지를 파악 할 것이다. 특히 김수자의 ‘바느질’이라는 행위를 통해서 여성성이라는 담론으로 연결된 초기 꿰매기 작업들(1983-1988)과 연역적 오브제(1989-1994), 그리고 1995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중외공원 소나무 숲속에 광주 민주항쟁의 희생자들에게 헌정하는 헌옷 보따리를 늘어놓는 작업, 2002년 브룩클린의 묘지에서,〈묘비명〉등, 퍼포먼스와 장소 특정적 설치 작품들의 특징들을 정리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여성성의 맥락에서 깊이 고찰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함으로써 김수자 작품 속에 내재된 여성성의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국제 전시들의 현상과 한국 미술계의 진행까지 관계되는 중요한 연계적 가치에 대한 해석을 돕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ubject of femininity, a central motif in the works of Kim Sooja - a Korean female artist with an international reputation.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s how her works, amidst the global trend of female artists finding manifestation of their lives in various art forms, emphasize femininity in an independent fashion. The study first begins with an analysis of how the expressive changes in Kim’s work connect to femininity, followed by a detailed study of how her works, bearing individual and autonomous experiences, find expression of connection to femininity. In particular, early sewing works (1983-1988), which related to the discourse of femininity through needlework, will be examined along with a range of other works such as: her 1995 Gwangju Biennale work which installed bags of old clothes in a pine grove at Jungoe Park in memory of the victims of Gwangju Democratic Uprising: 〈Epitaph〉 (2002) which took place in a Brooklyn cemetery: and others. The idea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 context of Kim’s works and to conduct an in-depth study into the context of femininity. Such explorative study aims to reaffirm the place of femininity in Kim’s works, while proffering an interpretation of their relative value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rt community as well as international exhibitions.

      • KCI등재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공간과 디스플레이 연구

        유재길(Yoo Jae kil),윤의향(Yoon Eui hy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공간디자인과 디스플레이를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나오시마 프로젝트는 베네세하우스와 지추미술관, 이우환미술관, 이에(家) 프로젝트 등 여러 대상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연구 주제로 강조되는 것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의 건축적 특성과 전시장의 공간 디자인, 그리고 작품 설치와 관계이다. 세부적 연구방법으로 나오시마 프로젝트 특성으로 지적되는 장소성에서 공간디자인 특성과 디스플레이를 주목하며, 본고에서는 지추地中미술관을 표본대상으로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난 공간디자인 특성과 개별 작품으로 모네의 <수련> 공간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문제와 같이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여기서 무엇보다 강조되는 것은 안도 다다오의 건축의 장소성으로 첫째로 자연환경과 건축의 관계에서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조화로 빛, 물, 바람, 하늘 등의 자연 요소들이 건축물과 함께 지각되는 공간디자인 연구이다. 아울러 자연과 인간, 사회속의 공간 디자인을 생각하며, 현대미술과 연결된 장소특정적 상황의 디스플레이 효과 연구이다. This study mainly covers the spatial design and display of the Naoshima Project. The project includes Benesse House, Chichu Art Museum, Lee Ufan Museum, Art House Project, and many more. Especially the relationship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patial design of the exhibition hall and installation of art works of Ando Tadao was emphasiz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its specific research approach, I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and display in the sense of place pointed out as one of the attributes of the Naoshima Project. And in this study, with Chichu Art Museum as the sample, the characteristic of the spatial design found in the architecture of Ando Tadao and the space in Monet's <Water Lilies> for an individual work will be comprehensively interpreted and discussed in addition to display issues. What is more emphasized in this is the sense of space that the architecture of Ando Tadao has; one is the study on the spatial design regarding in the harmonization of building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architecture in which the natural factors such as light, water, wind, and sky are recognized together with the buildings. And the other is the study on the effects of display of site-specific situations, connected to the modern art, with spatial design of nature, human being, and society taken into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