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펫의 진리편독삼자경(眞理便讀三字經)에 나타난 구원론 연구

        윤은수(Yoon, Eun Su)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This thesis aims to compare and study soteriology shown in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眞理便讀三字經) written by Samuel Austin Moffett(1864-1939) with soteriology of reformed churches.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is the introduction to faith newly compiled by Missionary Samuel Austin Moffett by adding Korean endings to the 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faith written by Missionary Griffith John (1831–1912) in China from English Congregational Church based on Chinese 'Three Character Classic' in the early Korean church. Moffett had fundamentalistic conservative faith as he was from McCormick Seminary that boasted conservative faith. Lee, Sanggyu called him a Calvinist. Due to this faith,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was used in setting up the basics of conservative faith of the early Korean church.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follows the center of God, the Bible, and churches as it is. And it explains Jesus Christ's cross and his redemption ministry as the core of Christian ‘way (道)’ and the gospel.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explains Confucian ‘way (道)’ as the Christian gospel. Originally, the Confucian way is the cause of the whole creation and invisible. By the way,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says that the invisible way came into this world to save men. This is the point that Christianity is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explains that people achieve salvation through 'the way (道)' and enjoy the blessings from Heaven when they believe Jesus Christ, repent, and greet him. The early Korean churches could receive faith education from the missionary who inherited a tradition of reformed churches thanks to grace of God. it is hoped that the Christian Three Character Classic will again used as a faith education book for beginners after being amend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oday's changed ideas and values. 본 논문은 마펫(Samuel Austin Moffett, 1864-1939)의 저작인 󰡔진리편독삼자경(眞理便讀三字經)󰡕에 나타나는 구원론을 개혁교회의 구원론과 비교하여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진리편독삼자경󰡕은 신앙입문서로서 중국에서 영국의 회중교회 출신이었던 그리피스 존(Griffith John, 1831–1912) 선교사가 중국의 󰡔삼자경󰡕을 토대로 만든 기독교 신앙입문서를 초기 한국교회에서 마펫선교사가 한글로 토를 달아 새로 편찬한 책이다. 마펫은 보수주의 신앙을 자랑하는 맥코믹 신학교 출신으로 근본주의적 보수주의 신앙을 가졌다. 이상규는 그를 가리켜 칼빈주의자라고 하였다. 이런 신앙의 토대로 인해 『진리편독삼자경』은 초기 한국교회의 보수적인 신앙의 기본을 세우는 일에 사용되었다. 『진리편독삼자경』은 종교개혁자들의 생활원리였던 하나님 중심, 성경중심, 교회중심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그의 대속 사역을 기독교의 ‘도(道)’와 복음의 핵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진리편독삼자경』은 유교의 ‘도(道)’를 기독교의 복음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래 유교의 도는 우주만물의 원인자이며 무형의 존재이다. 그런데 『진리편독삼자경』은 그 무형의 도가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는 것이다. 이것이 다른 종교와 기독교의 다른 점이다. 『진리편독삼자경』은 예수를 믿고 회개하고 영접할 때에 ‘도(道)’를 통하여 구원을 얻고 하늘나라의 영원한 복을 누린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초기 한국교회가 개혁교회의 전통을 이어 받은 선교사와 그들을 통한 신앙의 교육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은혜였다. 『진리편독삼자경』이 오늘날의 변화된 사상과 가치관에 따라 수정 보완 되어 초신자들의 신앙교육서로 다시 사용되기를 바란다.

      • 게일의 친일사상(親日思想)에 관한 연구

        윤은수(Yoon, Eun Su)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4 No.1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if a missionary Gale(James S. Gail, 1863-1937, Korean name: Keeil) had the pro-Japanese thought. The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early at that time kept silent about Japan’s annexation of Korea because of the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decided by the Presbyterian Council(1901-1906). This was also the American policy stance toward Japan and Korea at that time. Thus, even today, some people classify those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at that time as pro-Japanese collaborators. However, the missionaries of the time had no other choices but to take such an ambiguous attitude because of the order from their own country and Japan’s conciliatory policy by using their missionary work as a snare. 본 논문은 게일(James S. Gail, 1863-1937, 한국명: 기일) 선교사의 친일사상(親日思想)의 유무(有無)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당시 초기 내한 선교사들은 일제의 조선 강제병합에 관하여 침묵을 하였다. 왜냐하면 장로회 공의회(Presbyterian Council, 1901-1906)에서 결정한 정교분리의 원칙 때문이었다. 이것은 당시 대일본과 조선을 향한 미국의 정책기조이기도 했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당시의 내한 선교사들을 친일파로 분류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당시의 선교사들이 그런 애매한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본국의 명령과 선교를 올무로 한 일제의 회유정책 때문이었다.

      • 게일(James S. Gale) 선교사의 『밴가드』(The Vanguard)에 그려진 내한 선교사들의 선교방법 연구

        윤은수(Yoon, Eun Su)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21 동서신학 Vol.3 No.1

        Gale who was a missionary from Canada wrote a long novel about early missionaries' actual missions based on Moffet who was a missionary of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Go, Chan ik' who was the first elder of Youndong Church. Missionary Moffett was 'Willis' and Go, Chan ik was 'Mr. go' in this book. Gale describes conflicts in early Korean missions and their acceptance in detail in a report format through the book. 선교사 게일(James S. Gale)은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마펫(Moffett)’과 연동교회 초대 장로였던 ‘고찬익’을 모델로 하여 초기 선교사들의 실제 선교 이야기를 장편 소설로 엮은 책 󰡔밴가드 The Vanguard󰡕를 1904년에 출판했다. 본 책에서 마펫 선교사는 ‘윌리스(Willis)’로 등장을 하고 고찬익은 ‘고씨’로 등장을 한다. 게일은 본 책을 통하여 초기 한국선교의 과정에서 일어난 갈등과 수용을 문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보고서 형식으로 자세하게 담아내었다.

      • KCI등재

        PBL적용수업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은수 ( Eun Soo Yoon ),김서희 ( Seo Heui Kim ) 한국미용학회 2020 한국미용학회지 Vol.26 No.6

        Modern education is changing from one-sided, knowledge-oriented, instructor-led education to active learning by learners themselves.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lasses that should be learned in the up-style curriculum of hairdressing were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PBL, confirming the effects of PBL classes on job basic skills and self-learning evaluations. In this study,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se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for self-study assessment sheets, measured on a multiple question scale. In this study, the problem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changes in students by combining existing lecture-style classes with PBL-applied classes. To develop the PBL class model, the design model was first developed, and feasibility and usefulness were reviewed through expert advice. The model of the PBL class was designed in eight stages: 1 class development, 2 problem preparation, 3 group discussion, 4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5 solution design, 6 presentation and arrangement, 7 direct training, 8 final course evaluation, and applied to a total of 6 clas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upstream class model based on PBL to learners was generally more satisfactory than the existing lecture class, and the effectiveness of PBL classes was verified.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beauty education, divers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will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not conventional lecture-style classes.

      •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여성직제와 신앙생활에 관한 연구

        윤은수(Yoon, Eun Su) 동서신학연구소 2017 동서신학 Vol.1 No.1

        In the early Korean Church, female Christians began their religious life at low status and difficult conditions. Accordingly, the church attendance rate of women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men during the early stage of mission work. However, soon the situation changed and church attendance rate of female Christians overtook that of male Christians. Of course, female Christians could not take the political lead in church due to the constitution, "Office holders must be male", however female Christians of early Korean church served church through various duties regardless of political leadership. Deaconess took charge of a huge role in church revival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nd female maeseo-in and evangelical women undertook a great role in the expansion of evangelism. Also, women were earnest in solidarity and training. 초기 한국교회의 여성도들은 낮은 지위와 어려운 여건 속에서 신앙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래서 선교 초기에는 여성들의 교회출석률이 남성들보다는 적은 편이었다. 하지만 얼마 있지 않아 그 상황은 곧 뒤바뀌어 여성들의 교회출석이 남성들을 앞지르기 시작 하였다. 물론 "직분자는 남성이어야 한다."는 헌법에 발목이 잡혀 교회 안에서 정치적인 주도권을 잡지는 못했지만 초기 한국교회의 여성도는 정치적인 주도권과 상관없이 다양한 직제들을 통하여 교회에 봉사를 하였다. 권찰직제는 소그룹운동을 통한 교회의 부흥에 큰 역할을 감당하였고, 여성 매서인과 전도부인은 전도의 확장을 위한 큰 역할을 감당하였다.

      • 미국의 근본주의가 한국장로교회의 분열에 미친 영향

        윤은수(Yoon, Eun Su) 계명대학교 동서신학연구소 2019 동서신학 Vol.2 No.1

        The American fundamentalism emerged as a challenge against the liberal theology of the 19th century. In the center of it was the Princeton Theology Seminary. So were fundamentalism theologians like Gresham J. Machen and Cornelius Van Til. They set up a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to protect fundamentalism when Princeton was imbued with liberal thoughts. When they fought for liberalism, Park Hyung-Ryong, who graduated from the Soongsil University established by Missionary Baird in Pyeongyang was in the center. 미국의 근본주의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 관한 도전으로 생겨났다. 그 중심에 프린스턴 신학교가 있었고, 메이첸(Gresham J. Machen)과 반틸(Cornelius Van Til)과 같은 근본주의 신학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프린스턴이 자유주의 사상으로 물들 때 근본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웨스트민스터신학교를 세우기도 했다. 그들이 이렇게 자유주의와 싸울 때, 그 자리에 베어드 선교사가 평양에 세운 숭실학교를 졸업한 박형룡이 있었다.

      • 소열도의 『신자생활의 첩경』(A Straight Road To Christian)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주일관(主日觀) 연구

        윤은수(Yoon, Eun Su)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7 No.1

        본 논문은 스탠리 솔터(Theodore Stanley Soltau, 1890-1970, 한국명: 소열도)의 『신자생활의 첩경』(A Straight Road To Christian)에 나타나는 당시 일제강점기시절 개신교인들의 주일개념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자생활의 첩경󰡕은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에서 신사참배가 결의되기 불과 4년 전인 1935년에 발행이 되어 혼란한 시대에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올바로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로 복음주의자인 소열도는 『신자생활의 첩경』을 개혁주의에 입각해서 기록하였다. 소열도는 주일을 지키는 것을 교회들이 의논한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명령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신자들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주일을 지켜야 하는 것이다. 또한 신자는 주일에 명령권자인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일들을 해야만 할 것이다. 소열도는 안식일과 주일을 율법의 세대와 은혜의 세대로 구분한다. 율법의 세대는 행함으로 구원받는 것이고 은혜의 세대는 구원받았으니 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 신자는 예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아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으니 당연히 주일을 지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일은 하나님의 명령이고 은혜의 증거이다. 따라서 이 시대에 신자들은 주일신앙을 회복해야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study protestants’ concept of Sunda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n in‘A Straight Road To Christian’of Theodore Stanley Soltau (1890-1970, Korean name: 소열도). ‘A Straight Road To Christian’ was issued in 1935, 4 years before the shrine worship was decided i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Joseon,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of guiding Christians onto the right path of religious lives in the age of chaos. Theodore Stanley Soltau, the evangelical as a missionary of American North Presbyterian Church, recorded ‘A Straight Road To Christian’ based on reformism. Theodore Stanley Soltau said that keeping Sunday is not the thing discussed by churches but a command of God. So Christians should keep Sunday according to the command of God. And they should also do things to make God who calls the shots on Sunday happy. Theodore Stanley Soltau divides the Sabbath and Sunday into generations of commandments and grace. The generation of commandments is to be saved by doing and the generation of grace is to do because of being saved. Therefore, today, Christians keep Sunday because they became children of God by being saved by Jesus Christ. Like this, Sunday is the command of God and evidence of his grace. Thus, Christians of this age should restore their faith in Sunday.

      • KCI등재

        파열된 전방 십자인대 잔류 조직 내 기계적 수용기

        이병일(Byung-Ill Lee),민경대(Kyung-Dae Min),윤은수(Eun-Soo Yoon),김준범(Jun-Bum Kim),최형석(Hyung-Suk Choi),이동화(Dong-Hwa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파열된 전방 십자인대 잔류 조직내 기계적 수용기의 존재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 십자인대 파열 환자 21명에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시 경골 부착부 잔류 조직을 떼어 내었다. 대조군으로 각각 32세와 41세 남자의 외상성 대퇴 상부 절단 시 얻은 정상 전방 십자인대 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떼어낸 표본을 급속동결 후 40㎛ 두께로 연속 절편하였다. 잔류 조직의 총 절편수는 1,502개, 대조군의 총 절편수는 264개였다. 각 절편에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한 후 광학 현미경하에 신경섬유와 기계적 수용기를 관찰하고 수와 위치를 분석하였다. 잔류 조직에서는 기계적 수용기가 보이는 군과 보이지 않는 군 간의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과 평균 절편 수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independent sample tset-t를 이용하였다. 결과: 잔류 조직에서는 총 21예 중 7예에서 총 107개가 발견되었다. 두개의 대조군 인대에서는 총 19개의 기계적 수용기가 관찰되었고, 분포는 경골 및 대퇴골 부착부에 고루게 분포하였다. 기계적 수용기가 보이는 군(7예)과 보이지 않는 군(14예)간의 나이와 평균 절편수 및 수상 후 기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파열된 전방 십자인대 잔류 조직내 기계적 수용기의 존재는 임상적으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잔류조직 보존의 필요성을 시사해주는 결과라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mechanoreceptors in the tibial remnants of inju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s (ACLs) in human knees by immunohistochemistr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specimens of tibial remnants of ACLs from patients with ACL ruptures were obtained during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procedures. As a control, two normal ACL specimens were taken from healthy men at the time of traumatic above the knee amputations. The ACL specimens were serially frozen-sectioned at a thickness of 40 ㎛. The average number of sections from each specimen was 71.5 (total 1,502) in the remnant group and 132 (total 264) in the control group.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used for detection of the neural elements. The mechanoreceptors were identified under a light microscope and their locations and amounts were record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In the remnants of the ACLs, ten mechanoreceptors were identified in 7 (33.3%) out of 21 cases. Nineteen mechanoreceptors were detected in the two normal ACLs, which demonstrated an even distribution at both the tibial and femoral attach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R-present group (7 cases) and the MR-absent group (14 case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sections, age, and time from injury to surgery. Conclusion: The identification of mechanoreceptors in the remnants of ruptured ACL specimens could support the necess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tibial remnant during ACL reconstruction to improve joint proprio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