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 사뇌사 유물 퇴장(退藏) 시기에 대한 검토

        윤용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2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7 No.1

        In 1993, a large number of relics was found in Cheongju Sanesa Buddhist Temple. They show superiority as bronze-based products, and are especially important in since they provide much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their creation. However,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the time they were hoarded: in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late in the 13th century, early in the 14th century, etc. This study estimates the time they were hoarded to be some time in April 1291 during the invasion of Kădīn (哈丹) in the Yuan Dynasty. Kădīn’s troops invaded the Goryeo Dynasty, then went through Yangpyeong and Wonju in January 1291 and appeared in Yeongi-hyeon on May 1 of that year. Based on record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troops passed through Cheongju on their way from Chungju to Yeongi-hyeon (currently Sejong-si) and pointed out that the invasion route of the troops was the background for the hoarding of Sanesa relics. The estimation that the Sanesa relics were hoarded in 1291 when Kădīn’s invasion was going on makes it possible to reasonably clear up the era of the relics in which the Heavenly Stems called gānzhī (干支) Muo (戊午), Gyeongshin (庚申), Giyu(己酉) etc. were written. That is, Giyu Geumgo is presumed to be the year 1249, Muo Hyangro 1258, Gyeongshin Hyangwan 1260, etc. 30년 전인 1993년에 발견된 청주 사뇌사 유물은 유물의 양이 방대하고, 고려 청동 기물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것인 데, 특히 제작 시기에 대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유물의 퇴장 시기에 대해서는 13세기 중반, 13세기 말, 14세기 초 등 여러 견해가 엇갈린 상태에서 견해가 정리되어 있지 않다. 본고는 논란이 많은 청주 사뇌사 유물의 퇴장 시기를 원(元) 카단(哈丹)의 고려 침입이 진행중이었던 1291년 4월의 일로 추정하였다. 카단 군은 고려에 침입하여 1291년 1월에 양평과 원주, 4월 충주를 거쳤으며, 5월 1일 연기현에 출현하였다. 본고에서는 충주에서 연기현(세종시)에 이르는 중도에 이들이 청주를 거치게 되었다는 점을 기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이것이 바로 사뇌사의 폐사 또는 유물의 퇴장 배경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사뇌사 유물의 퇴장 시점을 카단 침입이 진행중이던 1291년으로 설정하게 되면,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무오년, 경 신년, 기유년 등 간지(干支)가 적힌 유물의 연대를 합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유년 금고(金鼓) 1249년, 무오년 향로 1258년, 경신년 향완 1260년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백제 임류각과 ‘류(流)’자명 기와

        윤용혁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

        임류각(臨流閣)은 서기 500년(동성왕 22) 봄 백제 동성왕에 의하여건축된 웅진시대의 대표적 건축물이다. 높이는 5장, 최소 2층 정도의건축물이어서 건축 측면에서도 중요하고, 연못과 함께 구성함으로써 고대 조경으로서도 매우 의미가 크다. 임류각의 위치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1980년에 발굴된 건물지가 공식적으로는 ‘임류각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초석을 사용한 이 건물지가 백제보디 늦은 시기의 건물지로 인식됨에 따라 임류각의 위치는 재검토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본고는 백제 임류각의 위치로서, 공산성의 동북쪽에 위치한 현재 영은사 자리를 지목하였다. 바로 앞에서 백제시대 지당이 확인된 곳이기도 해서, 건축과 연못을 셋트로 한 궁궐 관련 조경 시설 기록과도 부합한다. 검토의 과정에서 백제 연못 발굴과정에서 확인된 ‘류’자 명 기와에 대해서도 임류각과의 연계 가능성을 제기 하였다.

      • KCI등재

        우라소에성(浦添城)과 고려 · 류큐의 교류사

        윤용혁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5

        지금까지 한국과 류큐왕조의 교류는 공식적으로는 조선왕조 성립 3년 전인 1389년을 그 시작으로 잡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류큐와는 조선시대의 교류가 일반적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오키나와 우라소에 구스크 등지에서 출토한 고려기와는 류큐왕조와의 교류를 그보다 소급시키고 있다. 우라소에 요도레 출토의 고려기와의 연대는 1273년, 1333년, 1393년의 세 가지가 논의되어 왔다. 1990년대 수년에 걸친 우라소에 요도레의 발굴조사 결과는 두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우선 英祖王統의 역사성과 관련한 문헌 사료의 객관성을 크게 높여준 것이다. 둘째는 英祖王의 역사적 존재를 뒷받침하는 한편으로 고려기와의 연대가 1273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자료의 과학적 분석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이다. 요도레의 건립과 승 禪鑑, 極樂寺조영도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요도레 뒤편 험한 지대에 極樂寺의 위치를 정한 것도 이같은 상호 관련성에 입각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英祖王代오키나와 우라소에 구스크의 極樂寺를 창건한 禪鑑스님은 고려인이었을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한다. 1273년 英祖王代고려 기와 기술자와의 관련은 양국의 지속적 교류의 일부라기보다는 一回的교류의 성격이 높아 보인다. 그렇다면 英祖王代오키나와에 있어서 고려 기와 기술자의 존재는 이 시기의 특별한 국제정세에 의하여 가능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그것은 몽골 침략하의 고려 정세에 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닐까. It has been known so far that the exchange between Korea and the Kingdom of Ryukyu was officially initiated in 1389 that was three years befor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actual exchange with the Kingdom of Ryukyu was considered to occur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n general. However, the Goryeo style roof tiles excavated in Okinawa and Urasoe-Gusk(浦添城) indicate that the period of initial exchange between the countries needs to be dated back than current period. According to relevant researches, the Goryeo style roof tiles discovered in Urasoe Yodore are thought to be produced either in 1273, 1333 or in 1393. The result of excavation of Urasoe Yodore, which was conducted for several years in the 1990s, is significant in two aspects. Firstly, it has significantly reinforced the objectivity of historical records in relation to Eiso Dynasty(英祖王統). Secondly, it has supported the historical existence of King Eiso(英祖王) and proved that 1273 was the most possible year when the Goryeo roof tiles were made. The establishment of Yodore and the construction of Zenkan(禪鑑) and Kyokrakji(極樂寺) are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Such relationship also explains the reason why Kyokrakji was located in the rough area in the back of Kyokrakji. In this respect, it is highly likely that Zenkan who established Kyokrakji in Urasoe Gusk, Okinawa in Eiso Dynasty was a Buddhist monk from Goryeo. However, it seems that the works of Goryeo roof tile engineers in the period of Eiso Dynasty were the result of one-time exchange rather than a part of continued tra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at case,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presence of Goryeo roof tile engineers in Okinawa in the period of Eiso Dynasty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pecial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at period. Can the reason be found in the situation of Goryeo under the invasion of Mong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