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비교 분석

        윤용한 ( Young Han Yoon ),박승환 ( Seung Hwan Park ),김원태 ( Won Tae Kim ),김정호 ( Jeong H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 및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 중 UTCI, PMV, WBGT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열적 쾌적성을 비교 ·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학교시설(3개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7 ~ 8월까지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의 경우 UTCI, PMV, WBGT를, 녹지구조는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를 측정하였다. 학교별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4.71㎥/㎡) > B학교(3.34㎥/㎡) > C학교(0.38㎥/㎡)의 순이었으며 학교별 열적 쾌적성 지표를 살펴보면, UTCI는 녹지공간 32.30~35.68℃, 운동장 40.66~42.94℃, PMV수치는 녹지공간 1.76~2.66이었으며 운동장은 모두 3으로 나타났다. WBGT는 녹지공간 26.15~31.38℃, 운동장 31.67~34.53℃이었다. 3개 지표 모두 녹지공간 대비 운동장에서 매우 불쾌적한 수준이었다. 열적 쾌적성 및 녹지와의 상관분석결과, 열적 쾌적성 지표인 UTCI, PMV, WBGT 모두 일사, 흑구온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This study of the school`s outdoor space for relaxing and activity of the two most numerous students, high heat and low heat with a green space, playground targe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using the thermal comfort students feeling compare the analyzed. The destination of this study, school facilities of Nam-gu, Namdong- gu, Incheon were studied and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List of measurement, in the case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was measured in the case of green, ratio of green coverage and GVZ was measured. GVZ analysis were as follows: A school (4.71 ㎥/㎡) B school (3.34㎥/㎡) C school (0.3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by schools, UTCI was Green space 26.15~31.38℃ and playground 40.66~42.94℃, PMV values were 1.76 to 2.66 as a green space. WBGT was Green space 26.15~31.38℃, playground 31.67~34.53℃.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UTCI, PMV, WBGT all A school, B school, C school, on the green space was comfortable levels more than playground. The results of the school type thermal comfort and green correlation analysis of thermal comfort UTCI, PMV, WBGT all solar radiation, globe temperature, and a positive correlation shown solar radiation, globe temperature is not comfortable, the higher was considered. UTCI, PMV, WBGT of thermal comfort indicator all ratio of green coverage, GVZ and negative correlation appears ratio of green coverage, GVZ was increas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value of thermal comfort indicators was considered to be comfortable.

      • 큐브형 미세물분사에 따른 수직적 미기상 변화 연구

        윤용한 ( Yong-han Yoon ),김정호 ( Jeong-ho Kim ),송원석 ( Won-seok Song ),김학기 ( Hag-ke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전 지구적으로 기후환경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면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립기상연구소는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인 RCP 8.5 및 RCP 4.5에 따라 21세기 말에 한반도 평균기온은 각각 6.0℃ 및 3.4℃ 상승할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50년 폭염은 현재보다 약 3배, 열대야는 약 6배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더불어 최근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Climate Change, IPCC)은 2014년 5차 보고서를 통해 향후폭염과 기후변화의 연결고리가 점차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2008년 기상청 ‘폭염특보제’ 시작 이래 지난 2012년 7, 8월에는 폭염경보가 발령돼 무려 14일간 지속됐으며, 온열환자 2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폭염은 일반적으로 기상재해 중 물리적 시설 또는 재산 피해보다 인명피해가 더높게 나타난다. 폭염을 포함한 기후변화에 의한 사망자가2000년의 경우 15만 명에 달하였으며 2030년에는 3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폭염과 같은 기후재해를 해결하고자 국소적인 기온저감 등과 같은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필요 시 즉각적인 기온저감 및 열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큐브형 미세물분사 적용에 있어서 증발잠열을 통한 수직적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기후재해대응 증발냉각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충주시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녹색기술융합학과 전공실습장에서 실시하였으며 2016년 3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다. Test-Bed는 가로, 세로 5m, 5m큐브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높이 1.5m(이하 Type A), 2.5m(이하 Type B), 3.5m(이하 Type C)로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물분사노즐의 규격은 0.08㎜/min으로 Test-Bed 상단의 사방위에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측정위치는 설치유형에 따라 바닥면부터 0m(이하 H<sup>1</sup>), 0.3m(이하 H<sup>2</sup>), 0.5m(이하 H<sup>3</sup>), 0.7m(이하 H<sup>4</sup>), 1.0m(이하 H<sup>5</sup>), 1.5m(이하H<sup>6</sup>), 2.0m(이하 H<sup>7</sup>), 2.5m(이하 H<sup>8</sup>), 3.5m(이하 H<sup>9</sup>)에서 수직적 기온변화와 큐브형 증발냉각시스템 내부 및 외부의 지상 1.5m에서 기상요소를 측정하였다. 조사분석 항목으로는 수직적 지점별 기온을 측정하였으며, 내·외부 간 비교를 위하여 기온, 풍향, 풍속, 상대습도, 일사량을 조사하였다. 큐브형 증발냉각시스템의 내·외부 간 기온의 경우 내부가 외부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의 경우 특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사량은 분사지점이 높아질수록 내부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대습도의 경우 미세물입자를 분사하는 내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Type A의 수직적 기온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 내기온이 H<sup>5</sup> > H<sup>6</sup> > H<sup>3</sup> > H<sup>1</sup> > H<sup>2</sup> > H<sup>4</sup>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1.5m에서 미세물분사 노즐이 Test-Bed 중심부로 향하여 분사됨에 따라 분사높이와 동일한 H<sub>6</sub>지점보다 H<sub>4</sub>지점에서 증발냉각효과가 극대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ype B의 수직적 기온변화는 H<sub>1</sub> > H<sub>3</sub> > H<sub>2</sub> > H<sub>5</sub> > H<sub>4</sub> > H<sub>6</sub> > H<sub>7</sub> > H<sub>8</sub> 순으로 조사되었다. H<sub>8</sub>지점에서 H<sub>6</sub>지점으로 낮아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H<sub>5</sub>지점부터 H<sub>2</sub>지점에서는 수직적인 변화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H<sub>8</sub>지점에서 분사된 미세 물입자가 H<sub>6</sub>지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Type C에서는 H<sub>1</sub> > H<sub>3</sub> > H<sub>2</sub> > H<sub>4</sub> > H<sub>7</sub> > H<sub>9</sub> > H<sub>6</sub> > H<sub>5</sub> > H<sub>8</sub>의 순이었으며, 수직적변화에 따라 기온변화의 경향을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분사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대류현상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도시녹지가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수림의 층위구조 등이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지내의 기온 및 습도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 현황과 그 비율, 녹적량과 기온 및 습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고온역은 포장면과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수림지 및 수면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수림(교목+소교목)으로 둘러싸인 수면, 소하천 주변에도 저온을 나타냈다. 습도는 기온분포에 거의 대응하는 형태로 고온역이 저습역이고, 저온역이 고습역으로 나타났다. 녹지가 미기상조절효과를 갖는 메커니즘은 토지피복비율의 종류, 그 비율의 차이에 따라 미기상조절효과의 정도가 서로 달랐다. 더욱이 각 녹적량의 증가는 수고에 관계없이 모두 기온은 떨어뜨리고 습도는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 효과의 효율은 교목, 소교목, 판목의 순이다. 지금까지의 실증결과로부터 고온완화에는 수림지, 수면, 초지의 순으로, 그 비율을 증가해서 배치하면 효과가 커지고, 같은 방법으로 습도의 상승에는 수면, 수림지, 초지의 순으로 그 비율을 증가해서 배치하면 효과가 높아진다. 그 효율성을 고려하면 수면, 소하천을 핵으로 그 주변은 교목 중심의 수림이 좋고, 그 층위구조는 단층림보다는 2~3층의 혼효림이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This study observe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the green zone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land coverage and the structure of forests have on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Based on this set of data, this study interpret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levance of land coverage of the green zone with temperature and distribution of humidity, as well as the amount of green with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high temperature regions were formed in barren areas, and low temperature regions in forests or near the water. In particular, low temperature was found in areas covered with tall and small trees, the water surrounded by forests and areas enclosing small rivers. Furthermore, mechanisms causing low temperature were, among others, the ratio of land coverage (forest, grassland, water). In fact,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and ratios of the land coverage. Humidity also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areas had low humidity and low temperature areas had high humidity. Such a phenomenon.

      • KCI등재

        설계시공일괄발주(턴키) 설계에서 LCC를 활용한 경제성 분석 실태: 조경분야를 중심으로

        윤용한 ( Yong Han Yoon ),김정호 ( Jeong Ho Kim ),한대호 ( Dae Ho Ha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환경정책연구 Vol.10 No.4

        최근 5년간 시행된 턴키사업 중 공동주택단지 10개소를 선정하여 공종별 LCC 기법 적용실태를 분석하고 이 중조경분야의 적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 10개소의 총 LCC 분석건수는 총151건이었고, 공종별 평균 적용비율 순위는 건축(34.4%)> 전기(21.2%)>기계(18.5%)>토목(13.2%)>조경(12.6%) 등의 순으로 조경분야가 가장 낮았다. LCC 절감액 비율은 기계(32.1%)>건축(23.9%)>전기(23.4%)>토목(17.5%)>조경(3.1%)의 순이었으며 조경분야는 LCC 분석건수가 비슷한 토목분야보다 약 5~6배 정도가 낮은 절감액을 보이고 있었다. 조경분야의 LCC 분석항목은 총 19건이었으며, 이 중 포장재 15건, 건물녹화 1건, 잔디식재 1건, 식재기반 1건, 시설물 1건 등이었다. 조경분야 LCC 분석의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경분야 공사비 비율을 고려한 분석항목의 설정, 둘째, 조경분야의 법적 규정 및 확대 적용, 셋째, 조경분야에 적합한 VE/LCC 기준 마련등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onditions in applying the LCC method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selecting 10 apartment complexes among the Turn-key projects which have been ongoing for the last 5 years.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identify the problems to the application of double landscape architecture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mong the 10 case targets, a total of 151 LCC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e average application ratio placing for each construction type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architecture (34.4%)> electricity (21.2%)>machine (18.5%)>civil engineering (13.2%)>landscape architecture (12.6%). As numbers show, landscape architecture was the lowest. The ratio of LCC reduction amount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machine (32.1%)> architecture (23.9%)>electricity (23.4%)>civil engineering (17.5%)>landscape architecture (3.1%).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had a reduction amount that was about 5 to 6 times lower than civil engineering which had a similar number of LCC analysis cases. The total LCC analysis items of landscape architecture was 19, including 15 double packing material, 1 building covering, 1 grass planting, 1 planting infrastructure, and 1 facilit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to promote LCC analysis in landscape architecture: first, set an analysis item that considers the construction expense ratio of landscape architecture; second, legal regul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expansion of its application; third, prepare VE/LCC standards which are suitable for landscape architecture.

      • KCI등재

        Expanding an Actor’s Boundary by Learning Necessary Characteristics of Motion Capture Technique

        YOON YONG AH(윤용아)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5 영상기술연구 Vol.- No.23

        대한민국의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 그 외의 배우양성기관에서 매해 5,000명이 넘는 젊은 배우들이 배출된다. 그 중에서 무대연기나 매체연기를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꾸준히 연기활동을 하는 인구는 5%가 넘지 않는 것으로 추산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배우들은 넘쳐나지만 그들을 수용할 수요층은 턱없이 부족하다. 그 현상은 대한민국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그 이유는 대기업의 투자, 배급, 그리고 제작에 대한 독과점, 그로인한“스타”선호현상이 가장 크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시스템적으로 변화해야 되겠지만 배우들도 자신의 연기영역 확대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모든 배우들은 꿈과 소신을 가지고 이 분야에 발을 들여놓았기 때문에 교육자의 신분으로서 저자는 항상 이 많은 젊은 배우들이 어떻게 하면 자신들의 꿈을 포기하지 않고 연기자의 삶을 펼쳐나갈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그것의 한 방법으로 저자는 배우들이 모션캡쳐 연기에 대한 기술적인 측면과 또한 그 분야에 들어서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들, 그리고 필요한 트레이닝 등을 숙지하여 연기영역을 확대하기 바란다. 모션캡쳐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캐릭터의 활용은 미래의 영화산업에 있어 간과하면 안 되는 트렌드이며 아직까지는 한국의 영화들이 할리우드만큼 모션캡쳐 배우들의 활용도가 높지는 않지만 그 수요는 점차 확대될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이에 대한민국의 연기자들도 앞으로 보다 활성화될 전망이 있는 이 새로운 연기분야에 대해 미리 대비하여 배우로서의 영역을 확대하고 나아가 해외에까지도 진출하는 등, 각자의 꿈을 펼쳐나가길 원하는 취지로 이 논문을 작성했다.

      • KCI등재

        옥상녹화에서 혼합식재에 따른 블루페스큐와 지피초화류의 생육 반응

        윤용한 ( Yoon Yong-han ),서수현 ( Suh Soo-hyun ),이선영 ( Lee Sun-yeong ),오득균 ( Oh Deuk-kyun ),주진희 ( Ju Jin-hee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an appropriate plant combination by evaluating the growth of flowering ground-cover plants planted with Festuca glauca ‘Eljiah Blue’ on the roof-top environment. As for the plant materials, Allium senescens and Chrysanthemum coreanum which are shorter than Festuca glauca ‘Eljiah Blue’ and Sedum takesimense and Agastache rugosa which are taller than Festuca glauca ‘Eljiah Blue’ were selected. Festuca glauca ‘Eljiah Blue’ was planted on Conrol, and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Allium senescens (T1),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Sedum takesimense (T2),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Agastache rugosa (T3), and Festuca glauca ‘Eljiah Blue’ with Chrysanthemum coreanum (T4) were plan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Plant height and covering rat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growth of Festuca glauca ‘Eljiah Blue’. Also, relative growth rate (RGR) of plant height, RGR of plant width, and mortality rate of the flowering ground-cover plants were estimated. Plant height and cover rate of Festuca glauca ‘Eljiah Blue’ was greatest in T3. RGR of plant height was greater in the order of Agastache rugosa, Allium senescens, Chrysanthemum coreanum, and Sedum takesimense. In particular, RGR of plant width was also greatest for Agastache rugosa . Mortality rates of Agastache rugosa and Allium senescens were lowest at 11%. Therefore, based on good growth of Festuca glauca ‘Eljiah Blue’ planted with Agastache rugosa,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as a desirable combination of plant species for rooftop gardening.

      • 식재용토 재활용을 위한 건설폐토석의 개량방안 연구

        윤용한 ( Yong Han Yoon ),김원태 ( Won Tae Kim ),박봉주 ( Bong Ju Park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7 녹지환경학회지 Vol.3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o improve soil from construction sites in order to reuse waste soil from construction sites, which is piled up at waste processing companies around the Sudokwon Landfill Site, as soil for planting. We selected calcium superphosphate and peat moss to resolve constraints in reusing waste soil for planting, and mixed 10.4kg of calcium superphosphate and 15L of peat moss with 1m3 of soil from construction sites. As a result, we could lower the acidity of the soil down to pH 6.5, the target of improvement of effective soil layer. We also increased organic matter contents but only up to around a fourth of 30g·kg-1, the target of improvement of organic matter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erbaceous plant growth experiments using soil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and mountain soil as a control, all seeds in mountain soil germinated within 7 days from sowing, but seeds in waste soil from construction site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germinated 70% and 90%, respectively, on day 30 from sowing. In addition, compared to mountain soil, improved waste soil from construction site showed a difference of over 14 days in germination time. By sample soil, plant height on day 30 was 162mm in mountain soil, and next 15.0mm in improved soil, and 13.1mm in unimproved soil. Undried weight measured after the growth experiment was 6.811g per individual in mountain soil, and next 5.955g in improved soil and 5.616g in unimproved soil.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ied sample soil from construction sites can be reused as soil for planting through improvement. In addition, by accumulating research data like our results, we expect to supply soil demanded for the top soil layer of Sudokwon Landfill Site and the post-management of landfill sites an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ly dust and spoiled landscape by abandoned heaps of waste soil from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한국의 사실적 연기법 적용방안 연구

        윤용아(Yoon, Yong Ah)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1 영상기술연구 Vol.- No.37

        Based on the records, the areas where the act of “acting” was performed in Korea were traditional plays that were highly formatted such as mask dance, puppet play, pansori, and changgeuk. It is correct to see the form of acting conducted through traditional plays as a concept of performance that was comprehensively strong in the form of festivals rather than a concept of realism based acting that we commonly understand in the contemporary era. In other words, traditional plays are not usually based on narratives and express conflicts within social systems in a formatted form of indirect fiction or metaphor, not in a way that characters realistically convey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and the theme of the play.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stern-style dramas that pursued realistic acting to approach truth or authenticity have never been performed in Korea, so there is no realism based acting method native to modern Korea except for traditional dramas that mainly expressed technical and formatted performances. In the 1910s, Sinpa play, part of modern drama, was introduced from Japan, and from then on, Korean actors began to use life problems as the subject of work based on reality and language perception, and attempted to express them realistically. It was the time that realistic acting started to be required. Since 1910, plays have been the main demand for realism based acting, and film industry which started in 1919, as sub-demand. Since the establishment of KBS in 1961 and the growth of film market. there were more realism based dramas/films produced and the demand for realism based acting surged. As demand surged, Korea began to introduce realism based acting methods developed in the West. Currently taught acting methods at Korean art schools, private academies, and the fields have all been brought from the West. Their forms vary, such as the System, Grotowski, American acting methods, and Meisner Techniques, but Korean people tend to call them all a “method”. In Korea, the founder of the methods is often known as Russian Stanislavski, who established modern acting theory, but the correct way to call his theory is the “System.” The Methods we know is “American Acting Methods” to be correct. The American ac ting Method has not been properly taught or attempted in Korea, but only criticism of it is high. The problem comes up from here. The first is a problem in which students and actors were given indiscriminate guidance from whom did not have thorough understanding of it. Second, acting is divided into various genres such as stage acting, camera acting, mime, and musical, and the goals and training courses pursued by genre are all different, but the Method has been considered as the goal of all acting genre, so it is confusing for aspiring actors what training to focus on.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realism based acting methods, and the purpose of i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s in areas requiring realism based acting by examining cases of realism based acting such as the Systems or the Method, identifying problem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